메뉴 건너뛰기

close

사회다큐사진집단 '비주류사진관'이 올해 마지막 행사로 페이스북 사진영상전 <프레임, 2018 한국>을 열었다. 

이들은 지난 24일까지 기록한 사회적 약자와 한국사회의 민낯을 모았다. 총 10명이 각 15컷씩, 총 150장을 제작노트와 함께 보내왔다. 이들이 꼽은 2018년에 기록하고 기억해야할 우리의 모습이다. 감춰야 할 치부가 아닌 우리가 실제 살아가는 모습, 살려고 발버둥 치는 모습, 시대의 아픔, 갈등의 현장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정남준 비주류사진관 운영위원은 행사를 기획한 취지에 대해 "'망'이란 바램, 소멸, 상실의 의미"라며 "2018년 한해 각자에게 '망'이란 의미가 어떻게 기억이 되었는지 묻고 싶다. 1년 사진작업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빈부와 계급이 상존하는 불평등한 현실과 인간 내면적 상실을 각자 특유의 사진적 정체성을 함께 표현해 보았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참여사진가는 김현진(당진), 루니(제주), 손은영(서울), 신디(서울), 이상희(부산), 정남준(부산), 정정숙(대구), 조종완(부산), 최인기(서울), 홍민철(부산) 현장사진가이다. 황지웅 회원이 150컷의 사진을 영상으로 만들었다. 전시는 페이스북 '사회다큐사진집단_비주류사진관, 세상을 말하라'에서 볼 수 있다. 

아래는 전시 사진 중 일부. 
 
정규직, 비정규직, 외주노동자들의 노동이 고스란히 묻어나 피어나는 연기는 정규직, 비정규직 가릴 것 없이 하나로 피어납니다.공장의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를 때 그 안의 수많은 노동이 살아 있구나 생각해 주시길, 연기가 사라진 굴뚝은 노동자의 신성한 노동이 멈추었다는 것을
▲ 굴뚝이 있다 정규직, 비정규직, 외주노동자들의 노동이 고스란히 묻어나 피어나는 연기는 정규직, 비정규직 가릴 것 없이 하나로 피어납니다.공장의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를 때 그 안의 수많은 노동이 살아 있구나 생각해 주시길, 연기가 사라진 굴뚝은 노동자의 신성한 노동이 멈추었다는 것을
ⓒ 김현진

관련사진보기

 
올해도 어김없이 제주신산공원에서 제주퀴어문화축제가 펼쳐졌다. 퀴어들과 그의 친구들(엘라이)은 차별금지법 제정을 외치며 흥겹지만 사실은 처절하게 투쟁했다.원희룡이 드디어 사고를 쳤다. 아니 사고는 이미 치고 있었지만 제주를 송두리째 망가뜨릴 제2공항과 영리병원을 끝까지 밀어붙일 각오인 듯 싶다. 민중들은 그저 원희룡 퇴진을 외칠 뿐.
▲ 제주, 아스팔트위의 사람들 올해도 어김없이 제주신산공원에서 제주퀴어문화축제가 펼쳐졌다. 퀴어들과 그의 친구들(엘라이)은 차별금지법 제정을 외치며 흥겹지만 사실은 처절하게 투쟁했다.원희룡이 드디어 사고를 쳤다. 아니 사고는 이미 치고 있었지만 제주를 송두리째 망가뜨릴 제2공항과 영리병원을 끝까지 밀어붙일 각오인 듯 싶다. 민중들은 그저 원희룡 퇴진을 외칠 뿐.
ⓒ 루니

관련사진보기

 
거의 모든 지역에 젊은 층은 대도시로 떠나고 노년층만 남았다.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이 그 지역의 일자리를 채우고 있다. 사람이 떠난 빈집과 빈 건물은 세월과 함께 무너져 흉물스러운 모습으로 남아있고 그 지역에서 가장 크고 멀쩡한 건물은 새로 지어진 면사무소를 비롯한 관공서들이였다. 이런 농촌의 모습들 ,농촌의 공동화 도시의 집중화는 비정규직 등 일자리 문제와 부의 편중심화 도시빈민층 양산과 더불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2018년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이다
▲ 공(空) 거의 모든 지역에 젊은 층은 대도시로 떠나고 노년층만 남았다.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이 그 지역의 일자리를 채우고 있다. 사람이 떠난 빈집과 빈 건물은 세월과 함께 무너져 흉물스러운 모습으로 남아있고 그 지역에서 가장 크고 멀쩡한 건물은 새로 지어진 면사무소를 비롯한 관공서들이였다. 이런 농촌의 모습들 ,농촌의 공동화 도시의 집중화는 비정규직 등 일자리 문제와 부의 편중심화 도시빈민층 양산과 더불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2018년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이다
ⓒ 손은영

관련사진보기

 
촛불의 힘으로 박근혜를 탄핵하고 정권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광장엔 억압 받는 민중들이 부당함에 항거하며 지금도 맨주먹 맨 몸으로 찬 겨울 바람을 맞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공정한 세상을 꿈꾸는 것이 그저 꿈일지라도 나는 그 꿈을 꾸고 싶습니다. 슬픔이 많은 세상도 함께 슬퍼하며 손을 맞잡을 때 내가 꾸는 그 꿈도 한걸음 더 다가 올거라고.
▲ 소외된 거리 촛불의 힘으로 박근혜를 탄핵하고 정권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광장엔 억압 받는 민중들이 부당함에 항거하며 지금도 맨주먹 맨 몸으로 찬 겨울 바람을 맞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공정한 세상을 꿈꾸는 것이 그저 꿈일지라도 나는 그 꿈을 꾸고 싶습니다. 슬픔이 많은 세상도 함께 슬퍼하며 손을 맞잡을 때 내가 꾸는 그 꿈도 한걸음 더 다가 올거라고.
ⓒ 신디

관련사진보기

 
위험 속에서 사는 사람들을 그것이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피하지 않고 마주하며 산다. 그것이 그들이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익숙해진 풍경속에 은닉되어 내재하는 불안과 그 불안이 삶의 풍경이 되어버린 고리 사람들의 경계에 선 모습을 그려내고자 했다.
▲ 헤테로토피아 위험 속에서 사는 사람들을 그것이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피하지 않고 마주하며 산다. 그것이 그들이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익숙해진 풍경속에 은닉되어 내재하는 불안과 그 불안이 삶의 풍경이 되어버린 고리 사람들의 경계에 선 모습을 그려내고자 했다.
ⓒ 이상희

관련사진보기

 
남항을 서로 두고 불어오는 자갈치 비린내도 이곳 대평동 수리조선소 녹슨 선박의 철판을 때리는 노동자의 굵은 핏줄에 녹아 붉은 가루가 되어 떨어진다. 쇳밥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여전히 절대적인 육체노동이 필요한 이곳 수리조선소 노동자들의 노동은 점점 국적불문의 노동으로 재생산된다. 국내 경기 하락에 따라 동반 쇠퇴하고 있는 수리조선소 현장에서 기계가 아닌 한 사람으로서, 노동이 곧 희망이라는 따뜻한 밥상을 그리며 현장 기록은 계속 될 것이다.
▲ 쇳밥 남항을 서로 두고 불어오는 자갈치 비린내도 이곳 대평동 수리조선소 녹슨 선박의 철판을 때리는 노동자의 굵은 핏줄에 녹아 붉은 가루가 되어 떨어진다. 쇳밥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여전히 절대적인 육체노동이 필요한 이곳 수리조선소 노동자들의 노동은 점점 국적불문의 노동으로 재생산된다. 국내 경기 하락에 따라 동반 쇠퇴하고 있는 수리조선소 현장에서 기계가 아닌 한 사람으로서, 노동이 곧 희망이라는 따뜻한 밥상을 그리며 현장 기록은 계속 될 것이다.
ⓒ 정남준

관련사진보기

 
변화되지 못하는 삶에 강박증을 앓는 현대인들처럼 변화되지 못하는 구역 또한 그런 강박증을 앓는 것 같다. 끝임 없이 변화되는 세상, 변화하지 못하는 구역, 도시도 생로병사가 있는 것일까. 한국전쟁 이후 군복과 미제품들이 거래되었고 점차 확대되면서 구제품과 음향전자제품 먹거리시장 등이 형성된 대구 교동시장. 피할 수 없이 선택된 그들의 삶을 기록으로 남긴다.
▲ 교동시장 변화되지 못하는 삶에 강박증을 앓는 현대인들처럼 변화되지 못하는 구역 또한 그런 강박증을 앓는 것 같다. 끝임 없이 변화되는 세상, 변화하지 못하는 구역, 도시도 생로병사가 있는 것일까. 한국전쟁 이후 군복과 미제품들이 거래되었고 점차 확대되면서 구제품과 음향전자제품 먹거리시장 등이 형성된 대구 교동시장. 피할 수 없이 선택된 그들의 삶을 기록으로 남긴다.
ⓒ 정정숙

관련사진보기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젊은 생명이 비명에 갔다. 신자유주의 이후 노동시장에 대한 유연화의 결과는 참혹하게 인간을 등급화, 차별화, 소모품화 시킨다. 이윤의 한 부분으로 인간을 설정할 뿐이다. 노동자의 노동은 세상을 유지시키고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는 숭고한 작업이다. 통상 공공기관의 현장은 사진을 찍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노동하는 노동자의 사진을 통해 노동의 현실을 가감없이 전하고 싶고, 또 노동조합의 축적된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 노동자의 길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젊은 생명이 비명에 갔다. 신자유주의 이후 노동시장에 대한 유연화의 결과는 참혹하게 인간을 등급화, 차별화, 소모품화 시킨다. 이윤의 한 부분으로 인간을 설정할 뿐이다. 노동자의 노동은 세상을 유지시키고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는 숭고한 작업이다. 통상 공공기관의 현장은 사진을 찍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노동하는 노동자의 사진을 통해 노동의 현실을 가감없이 전하고 싶고, 또 노동조합의 축적된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 조종완

관련사진보기

 
임금을 착취하자 젊은 노동자가 죽었다. 주거권을 강탈하자 철거민이 죽었다. 복지예산이 줄자 장애인도 죽었다. 농작물 값을 후려치자 농부가 삶의 터전을 떠났다. 개발이란 핑계로 수산시장 상인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국민소득 3만 불 시대 피의 값으로 금자탑을 세운 나라답다.
▲ 시대의 금자탑 임금을 착취하자 젊은 노동자가 죽었다. 주거권을 강탈하자 철거민이 죽었다. 복지예산이 줄자 장애인도 죽었다. 농작물 값을 후려치자 농부가 삶의 터전을 떠났다. 개발이란 핑계로 수산시장 상인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국민소득 3만 불 시대 피의 값으로 금자탑을 세운 나라답다.
ⓒ 최인기

관련사진보기

  
각자 나름의 주어진 책무가 있고 그 자리를 지켜야 하는 의무가 있다. 소녀상을 온몸으로 지키는 청년의 눈빛과 소녀상을 저지하며 바라보는 경찰의 눈빛, 군중의 침탈이 우려되 놀란 눈빛의 일본 영사관 직원들,노동자는 책무보다 더 무거운 생존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싸운다,여기 노동자는 하나다! 란 구호와 함께 거리에서 노동자들과  따뜻한 연대를 나누는 동지들의 눈빛을 바라본다.
▲ 라보다 각자 나름의 주어진 책무가 있고 그 자리를 지켜야 하는 의무가 있다. 소녀상을 온몸으로 지키는 청년의 눈빛과 소녀상을 저지하며 바라보는 경찰의 눈빛, 군중의 침탈이 우려되 놀란 눈빛의 일본 영사관 직원들,노동자는 책무보다 더 무거운 생존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싸운다,여기 노동자는 하나다! 란 구호와 함께 거리에서 노동자들과 따뜻한 연대를 나누는 동지들의 눈빛을 바라본다.
ⓒ 홍민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사진을 보는 이들의 동의를 끌어내어 사회를 변확시키는 힘이 있다. 그 길에서 자신과의 끊임없는 싸움과 세상의 희망을 쫓는 현장사진가들을 응원합니다.


태그:#비주류사진관, #프레임 2018년 한국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금은 폐지, 헌옷, 고물 수거 중 하루하루 살아남기. 콜포비아(전화공포증)이 있음. 자비로 2018년 9월「시(詩)가 있는 교실 시(時)가 없는 학교」 출간했음, 2018년 1학기동안 물리기간제교사와 학생들의 소소한 이야기임, 책은 출판사 사정으로 절판되었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