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스페셜 >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한 장면.

< MBC 스페셜 >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한 장면. ⓒ MBC

 
2019년은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 그리고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100년이 된 해이다. 이 100년의 시간을 기념하기 위해 각 방송사는 저마다 '특집'이란 이름으로 다양하게 이를 기념하고자 한다.

대부분 지나간 역사의 시간을 기억하자며, 그 시절 사건들을 다큐 형식으로 소환한다. 관련 다큐가 우르르 쏟아져 나오는 요즘, MBC에선 눈에 띄는 독특한 시도를 했다. 바로 옛 것을 오늘에 되살리는 방식이다. < MBC 스페셜 -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는 김수로, 박찬호, 강한나, 김동완, 공찬 등 연예인들과 함께 '예능'의 형식으로 임시정부의 시간을 떠올린다.

출연자들이 임시정부가 있었던 상해, 충칭 등을 방문해 선열들이 살았던 방식을 재현해 내는 식이다. 7일 그 첫 번째 시간엔 상해 임시정부를 방문하여 어려운 형편에서 임시정부를 운영하고 독립운동을 하던 그 시절 선열들의 행보를 따라갔다.

박찬호 등 출연진들이 도착하자 이들을 맞이한 건 단대 사학과 양지선 교수였다. "우리의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이 주인인 나라, 그것이 바로 상해 임시정부"라며 임시정부의 의의를 정의내린 양 교수는 임정의 역사, 임정의 수난사를 들려준다.

임정의 수난사, 그것과 함께 한 2019년의 사람들

전남 함평 지주의 아들로 태어난 김철, 그는 1917년 가산을 정리해 상해로 왔다. 그렇게 그가 마련한 자금을 기반으로 하비로에 1919년 첫 임시정부 청사가 세워졌다. 하지만 프랑스 조계지였던 이곳의 하비로 청사는 결국 일본의 압력에 굴복한 프랑스의 폐쇄 명령으로 문을 닫게 된다.

그 후 자리 잡은 곳이 보경리 청사다. 거기엔 피땀 흘려 모은 돈을 한 푼 두 푼 모아 보내준 미국과 멕시코 동포들의 정성이 깃들어 있다. 이렇게 임시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내세우며 첫 근대적 정부를 구성했지만, 현실에서의 행보는 팍팍했다. 임정은 하비로 청사 이래 7년간 무려 12번이나 이사를 해야 했다.

1920년대에는 끼니를 잇기 힘들 정도였고, 불과 30원인 집세를 내지 못해 집주인에게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어려웠던 시간은 '천황이 눈앞에 지나갈 때 폭탄이 있었다면 던졌을 텐데' 하며, 돈이 생기면 먹을 걸 사들고 왔던 철공소 직원 이봉창의 소회가 거사로 움트던 독립 운동의 요람이 되었다.

그 고난의 장정에 2019년에서 온 출연자들이 참여한다. 그들은 여성 독립운동가로 임정의 안살림을 책임졌던 정정화 여사의 <장강일기>, 그리고 김구 선생의 어머니이신 곽낙원 여사의 회고에 등장했던 그 시절 독립운동가들이 먹었다던 쫑즈(찹살떡), 두부탕, 짠지 등을 맛본다. 지금은 부드러운 쌀떡이지만 당시 추위 속에 '얼음덩어리'와 같았을 떡, 그리고 가난한 이들이 주로 사먹었다던 중국 국수 찌꺼기, 시장에서 팔고 남은 배추 시래기 등만으로도 출연자들은 당시의 어려움을 헤아릴 수 있다.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 ⓒ mbc



이어 출연자들은 저마다 주어진 미션에 따라 임정 시절 독립 운동가들의 삶 체험에 나섰다. 김수로와 강한나에게 맡겨진 건 상해의 거리에서 '수로 상회'와 '한나 상회'를 열어 물건을 파는 것.

이들인 연 '상회'의 모티브가 된 건 백산 안희제 선생의 '백산 상회'다. 임정 당시 독립 자금의 60%를 책임지셨다는 안희제 선생은, 경남 의령 출신으로 영남 지역에 거주하는 지주들의 힘을 모아 '백산상회'를 연 뒤 그 운영 자금을 모아 중경 임시 정부로 보냈다고 한다.

그 시절 그의 집안과 가까운 사이였던 경남 진주 출신이자 LG의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도 구인회 상점을 해서 번 돈을 안희제 선생 편에 임정으로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1927년 결국 백산상회는 일제의 탄압으로 문을 닫게 되었고, 그럼에도 안희제 선생은 1942년 광복군에 거액의 자금을 대는 밀명을 수행하는 등 독립운동의 안살림에 혁혁한 공헌을 했다.

윤봉길 의사가 일한 세탁소로 간 박찬호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인성학교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인성학교 ⓒ mbc


 


박찬호가 불려간 곳은 세탁소. 힘을 쓰는 일이라면 자신 있다던 박찬호였지만, 그를 맞이한 2019년의 세탁소는 버튼 하나로 작동되는 기계식이었다. 박찬호의 호언장담을 기계가 듣기라도 한 것처럼, 기계는 고장이 나고 박찬호는 일일이 손으로 세탁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힘이라면 자신이 있다던 박찬호였지만, 이불 하나 빨고 난 뒤 그의 표정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그러나 그를 기다리는 건 또 다른 이불이었다.

왜 세탁소였을까? 세탁소에서 일했던 독립운동가는 다름 아닌 윤봉길 의사였다.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임정으로 가고자 했던 청년. 하지만 청년은 그곳까지 갈 여비조차 여의치 않았다. 그래서 청도의 세탁소에서 일을 해 그 돈으로 임정으로 향했고, 기꺼이 의거의 주인공이 됐다.

이른 새벽 제일 먼저 길을 떠난 김동완을 맞이한 곳은 영화 촬영장. 단역이려니 했는데 그가 해야 할 역할은 서거 30주년을 맞이한 레이먼드 킴, 김염을 기리는 영화의 김염 역할이었다.
 
 < MBC 스페셜 >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한 장면.

< MBC 스페셜 >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 한 장면. ⓒ MBC



<야초한화>로 1930년대 중국의 청춘스타로 떠올랐던 김염. 1934년 가장 잘 생긴 남자 배우, 가장 사랑받는 남자 배우 1위였던 김염은 일본이 자신들을 선전하기 위한 영화에 출연해 달라고 제의하자 거부하고 위대한 항일 영화로 선정된 <대로>를 택한다. 이후에도 김염은 40여 편 항일 영화를 찍으며 중국의 영화 황제가 되었다.

이런 김염의 선택에는 그의 집안 배경이 큰 몫을 했다. 세브란스 의전 1회 졸업생으로 탄탄대로의 성공을 뒤로 하고 만주로 망명하여 진료소를 열고 동포를 진료하며 독립자금을 대던 중 밀정에 의해 독살을 당한 김필순이 그의 아버지다. 이후 그를 맡아 키운 고모부 김규식과 김순애 역시 파리 강화회의에 참석한 우리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였다. 7명의 형제들 중 4명이 독립운동에 참여한 집안. 김염의 선택은 항일이었고, 그를 사랑했던 중국인들은 2019년에도 그의 죽음을 기린다.

세탁소에서 허리가 아프도록 빨래를 한 박찬호는 이후 공찬과 함께 인성학교를 방문한다. 1917년 여운형에 의해 상해에 세워진 초등학교인 인성학교. 이역만리 중국에서도 한국어와 한국 혼을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진 이 학교는 당시로서는 내로라하던 김태연, 이광복, 현정건, 선우혁, 여운홍 등의 독립운동가들이 선생님으로 재직하며 독립정신을 고취시켰다.

이 학교 출신 학생들 상당수가 이후 독립운동 단체인 상하이 소년 척후대의 주요 인원으로 성장했다. 이런 인성학교의 전통을 이어받아 1999년 상해 한국인 학교가 만들어졌고, 공찬은 이곳의 1일 교사로, 박찬호는 이곳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이룬 꿈에 대해 설파했다.

<독립 원정대의 하루 살이>는 두 가지 플랫폼의 형식을 띤다. 1월 7일 TV를 통해 방영된 프로그램은 상하이로 간 연예인들의 1일 독립운동가 삶 체험을 중심으로 한 '예능적 형식'에 방점을 찍은 반면, 웹 사이트에 올린 웹 다큐는 '그 남자의 집 대한민국', '백산 안희제와 독립 자금의 비밀' 등의 타이틀을 달아 TV버전에 부족했던 역사적 사실을 다큐 형식으로 구성해 보여준다.

혹시라도 TV버전의 예능적 접근이 아쉬웠던 사람들이라면 <독립 원정대의 하루살이> 사이트를 방문해보길 권한다. 그 과정에서 김수로, 강한나, 박찬호, 김동완이 했던 체험의 본연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독립원정대의 하루 살이-1부, 독립자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