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화 '생일'를 본 뒤 세월호 참사로 딸 김시연양을 잃은 윤경희씨가 "두 번째 보는 거라 눈물이 안 날 줄 알았는데 보는 내내 저희 아이가 너무 생각나 많이 울었다"며 눈물을 닦고 있다.
▲ "두번째 보는 거라 눈물이 안 날줄 알았는데..." 영화 "생일"를 본 뒤 세월호 참사로 딸 김시연양을 잃은 윤경희씨가 "두 번째 보는 거라 눈물이 안 날 줄 알았는데 보는 내내 저희 아이가 너무 생각나 많이 울었다"며 눈물을 닦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세월호 참사,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가습기살균제 참사, 스텔라데이지호 침몰, 춘천봉사활동 산사태 사고, 삼성 반도체공장 노동자 황유미씨 백혈병 사망, 태안화력 비정규직노동자 김용균씨 사망, 제주 고교 현장실습생 이민호군 사망, CJ 고교 현장실습생 김동준군 사망, 군포 토다이 현장실습생 김동균군 사망, tvN 이한빛 PD 사망...

사람 하나하나가 우주라고 했다. 수많은 우주가 허망하게 소멸됐고, 그 우주와 시공간을 공유했던 많은 사람이 남아 있다. 웃어도 울어도 안 되는, '유족' 혹은 '피해자' 등의 박제된 이름으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 지금, 여기에, 남아 있다.

영화 <생일>은 남아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세월호 참사를 다룬 영화지만 2014년 4월 16일, 그날은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스크린을 바라보는 지금 이 순간이 영화에 켜켜이 담겨 있다. 참사를 겪고 남아 있는 이들의 '지금 이 순간'이 영화의 주인공이었다.
  
영화 <생일>의 한 장면
 영화 <생일>의 한 장면
ⓒ NEW 제공

관련사진보기

 
역설적으로 영화는 내내 2014년 4월 16일을 보여준다. 그날 이후 시간이 멈춰버린, 남아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우주를 잃고 남아 있는 사람들은 너무도 많다. 영화 <생일>은 그들을 한자리에 모이도록 했다. 전국의 재난 참사 및 산재 피해 가족들은 5일 오후 7시 CGV용산아이파크몰 16관에서 열린, 너무도 특별한 <생일> 상영회에 참석했다. 생명안전 시민넷, 반올림, 그리고 <생일>의 영화사가 마련한 자리였다. 이들과 함께 많은 시민이 140석 규모의 영화관을 가득 메웠다.

영화를 보는 내내 고요한 흐느낌이 계속됐다. 평범함을 상실한 누군가의 삶은 너무도 비현실적이어서 현실적이었고, 그 정도를 헤아릴 길이 없는 누군가의 아픔은 너무도 현실적이어서 비현실적이었다.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영화 안 흐느낌과 영화 밖 흐느낌도 좀처럼 구분되지 않았다. 영화 속 주인공들의 '엉엉' 우는 모습을 보기 어려웠던 것처럼, 영화 밖 진짜 주인공들과 관객들도 입술을 꽉 깨물며 새는 울음을 힘겹게 내뱉었다.

 "울음과 웃음, 무엇이 맞을까요?"
 
전국에서 모인 재난 참사, 산재 피해 가족들과 함께 영화를 본 이종언 감독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인사말 하는 이종언 감독 전국에서 모인 재난 참사, 산재 피해 가족들과 함께 영화를 본 이종언 감독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120분의 영화는 그렇게 마무리됐다. 세월호 유족이 대구지하철 유족의 손을 잡았고, 그들이 또 가습기살균제 유족의 팔짱을 꼈으며, 그들이 또 스텔라데이지호 유족의 어깨를 감쌌다. 그렇게 이어지다 보니, 멀리 동떨어져 있는 것만 같던 '나'에게도 그들의 숨결이 다다랐고 연대의 눈빛이 생겨났다. 140명 중 한 명에서 한 마음의 140명으로 서서히 스며들었다.

영화가 끝난 직후 세월호 참사 유족, 대구지하철 참사 유족, 춘천봉사활동 산사태 사고 유족, 삼성 반도체공장 노동자 황유미씨 유족, 태안화력 비정규직노동지 김용균씨의 유족이 무대 앞으로 나와 나란히 앉았다. 그 가운데 <생일>의 이종언 감독도 앉았다. 모두의 눈가가 촉촉했지만, 마냥 침통하지 않은 표정으로 각각 마이크를 잡았다.

세월호 참사로 딸 김시연양을 잃은 윤경희씨는 "(<생일>을) 두 번째 보는 거라 눈물이 안 날 줄 알았는데 보는 내내 저희 아이가 너무 생각나 많이 울었다"며 눈물을 훔쳤다. 이어 윤씨는 "어쩌다 제가 세월호 유가족이 되어서 이 자리에 앉아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를 잡고 있는지, 그 자체가 너무 서럽다"라며 "한 명의 책임자도 처벌하지 못한 채 5주기를 맞닥뜨려야 하는 현실이 아이에게 너무 미안하다"고 토로했다.

윤씨는 "이 자리에 계신 다른 참사 유가족 분들도 같은 마음이실 것 같다"라며 "우리 가족들의 마음을 잘 담아주신 감독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어려운 영화를 찍어주신 배우님들께도 매우 감사드린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알리고 싶은데 잘 되겠죠"라고 덧붙였다.
 
대구지하철 참사로 딸을 잃은 전재영씨가 영화 '생일'을 본 소감을 밝히고 있다.
▲ "가족 잃은 사람의 마음을 이해해줄 수 있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대구지하철 참사로 딸을 잃은 전재영씨가 영화 "생일"을 본 소감을 밝히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이어 대구지하철 참사로 인해 딸을 잃은 전재영씨의 말이 이어졌다. 그는 "'나도 저랬었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감정이 이입됐다"라고 영화를 본 소감을 밝혔다.

"영화에 수호 엄마(전도연 분)와 아빠(설경구 분)는 침울해있고 다른 유족들은 탁자에 앉아 웃고 이야기 나누는 장면이 나오잖아요. 많은 분들께서 어떤 모습이 맞는지 묻더라고요. 뭐가 맞을까요. 계속 슬퍼하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웃는 게 맞을까요. 저는 둘 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울고 싶을 때 울고 웃고 싶을 때 웃는 게 맞잖아요. 근데 어떤 분들은 그렇게 안 보는 것 같아요. 웃으면 '자식 잃었는데 웃느냐' 그러고, 울면 '아직까지 우느냐' 그러고... 가족 잃은 사람의 마음을 이해해줄 수 있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아이가 죽으면 그 순간 다 멈춰버립니다."

고 김용균씨의 어머니 김미숙씨도 "아들을 잃은 지난 4개월이 떠올라 영화를 보는 내내 마음이 무겁고 참담했다"라며 울먹였다. 
 
영화 '생일'을 본 고 김용균씨 어머니 김미숙씨.
▲ "아이가 죽으면 그 순간 다 멈춰버립니다" 영화 "생일"을 본 고 김용균씨 어머니 김미숙씨.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아이가 죽으면 그 순간 다 멈춰버립니다. 저도 지금 (아이를 잃고) 4개월이 지났는데 애 사진을 보면 내가 용균이 같고 용균이가 나 같은 마음이 듭니다. 그래서 저도 죽어 있는 느낌이고 또 용균이가 제 속에서 살아 있는 느낌입니다. 그런 느낌으로 하루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저는 행복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냥 아들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을 지 그것 하나로만 버티고 있습니다. 여기 계신 모든 분들이 저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을 겁니다. 기업살인처벌법을 만들어서 우리 아이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더 이상 아이들이 죽지 않도록 하는 게 살아있는 사람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도 "영화 내용은 세월호였지만 꼭 제 이야기를 다룬 영화 같았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우울증에 걸린 영화 속 수호 엄마처럼 우리 유미 엄마도 우울증에 걸려 유미만 계속 생각하고 있다"라며 "모든 (재난 참사 및 산재 피해 유족들의) 마음이 다 똑같았을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더 이상 죽지 말아야 하고 희생되지 말아야 한다"라며 "그러기 위해선 <생일>처럼 세월호 참사를 다룬 영화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현장의 이야기가 영화로 만들어져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춘천봉사활동 산사태 사고로 딸을 잃은 최영도씨는 "<생일>은 사건의 기록이자 치유의 과정을 담고 있는 영화 같았다, 누구든 재난과 참사를 당할 수 있지만 그걸 치유하는 과정은 다양할 것"이라며 "주위 사람들이 희생자 가족들을 돕고, 사고가 잘 해결되도록 공적인 조직 체계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영화를 보면서 하게 됐다"라고 강조했다.

이종언 감독은 "처음 영화를 만들겠다고 생각한 건 제가 2015년 안산에 다니면서부터다, 참사로 인해 (유족들의) 무너졌던 마음과 변해버린 일상에 대해 많은 분들이 아셨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다"라며 "(영화를 통해) 우리가 (그런 점을) 더 보고, 주목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영화 '생일' 이종언 감독.
 영화 "생일" 이종언 감독.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이날 상영회에는 재난 참사 및 산재 피해 가족들 외에도 많은 이들이 자리했다.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이미애 사무관은 "특별조사위원회 일을 시작하면서 오히려 당사자분들과 많은 시간 함께 하지 못했는데 오늘 다시금 그들의 마음을 느끼고 상기할 수 있었다"라며 "영화를 보는 내내 정말 많이 울었다, 많은 이들이 (<생일>의 내용처럼) 함께 마음을 나누며 살아갔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고등학생인 최태건군도 "5년이란 시간이 지나면서 약간은 세월호에서 마음이 떠나 있었는데 오늘 다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라며 "현재 제 나이와 비슷한 분들이 당한 일이라 공감이 되더라, 많은 분들이 영화를 보고 저처럼 다시 세월호를 생각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4.16세월호참사 5주기를 앞두고 '전국의 재난 참사, 산재 피해 가족 초대, 영화 '생일'(감독 이종언) 상영회 및 작은 이야기마당'이 5일 오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반올림과 생명안전시민넷 주최로 열렸다. 행사를 마친 뒤 이종언 감독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재난 참사, 산재 피해 가족 초대 영화 "생일" 상영회 4.16세월호참사 5주기를 앞두고 "전국의 재난 참사, 산재 피해 가족 초대, 영화 "생일"(감독 이종언) 상영회 및 작은 이야기마당"이 5일 오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반올림과 생명안전시민넷 주최로 열렸다. 행사를 마친 뒤 이종언 감독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태그:#생일, #세월호, #영화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