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염치. 남을 대하기에 떳떳한 도리나 얼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을 뜻한다. 이 단어는 주로 '없다'와 만나 분노로 이어지곤 한다. '염치 있는' 사람들을 만나본다.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염치'란 단어가 원래 갖고 있는 사회적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편집자말]
"친일 세력, 민족 정기라는 걸 우리가 제대로 증명하지 못했거든요? 거기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느냐, 우리 자신이 친일파나 마찬가지라는 논리가 되어 버렸어요. 자손들한테 '민족 정기다, 애국해라', 무슨 얼굴을 갖고 그런 얘기하겠어요? 친일파를 처벌하지도 못했고, 그 사람들이 날뛰는 꼴을 그대로 봐놨고, 그들에 대한 단죄가 없는 그 세대로서..."

부끄러워하는 그 마음이 느껴졌다. 평생을 친일반민족 행위 연구에 헌신했던 임종국 선생이 1988년 CBS 라디오 대담에서 했던 말이다. "무슨 얼굴로 애국을 얘기하겠냐"는 그 말을 당시 현장에서 직접 들었던 이가 바로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이다.

그로부터 23년 후, 임 소장은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일제 식민통치는 염치없는 인간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그러니 일제 잔재 청산이란 것도 단순히 인적 청산만을 뜻하는 게 아니라, '염치없는 인간 대량 생산'이라는 식민통치 이데올로기를 청산하는 일이기도 하다"며 이렇게 확언했었다.

"이걸 못하면 민주주의도 허상이다."

친일인명사전 편찬을 주도하는 등 역시 친일 청산에 힘을 썼던 그였기에, '일제시대 염치없는 인간이 많이 만들어졌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는 어느 정도 이해가 갔다. 하지만 염치와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와 닿지 않았다. 지난 12일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그와 마주 앉았던 이유다. 먼저 염치의 정의에 대해 물었다.

인간다움, 그리고 부끄러움과 참회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
ⓒ 이정환

관련사진보기

 
- 염치없다는 말이 인간의 기본을 버렸다는 뜻이라고 말씀하신 바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공자, 맹자, 그들의 이야기를 다 합치면 그겁니다. 가장 기본적인 인간다움. 지구상의 모든 동물 중에서 인간만이 염치가 있어요. 예의가 됐든 사회규범이 됐든 그 기본이 되는 게 염치입니다."

임 소장은 "지구상에 인간을 공존하게 만드는 모든 질서 자체가 예의에서 비롯된다"며 "인사를 잘 하거나 어르신에게 자리를 비켜주는 그런 게 아니다, 사회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가장 기본을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와 같은 예의를 어겼을 때 부끄러움을 느끼는 게 인간답다는 말이었다.

따라서 그에게 염치없음은 "수치를 모르는 것"이었다. 물론 그 반대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마음은 참회로 이어질 수 있다. 임 소장은 이렇게 예를 들었다.

"굴이 무너져서 사람들이 갇혔어요. '누구 하나 때려잡아 먹자', 그런 상황에서 사람 고기가 아니라고 하면서 주워먹었던 사람이 있어요. 그러나 그 후 그 사람이 참회를 하느냐 마느냐, 이런 차이인 거죠."

- 인간다움을 잃어버렸을 때 부끄러워할 줄 아는 것이 염치다?
"그렇죠."

"염치없는 친일파 가면 미국이 더 예쁘게 만들어 줘" 
1966년 9월 10일 <동아일보>에 실린 '친일문학론' 광고. 해방 이후 처음으로 임종국 선생이 당시 유명 작가들의 친일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1966년 9월 10일 <동아일보>에 실린 "친일문학론" 광고. 해방 이후 처음으로 임종국 선생이 당시 유명 작가들의 친일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관련사진보기

 
그와 반대로 부끄러운 줄 모르는 뻔뻔한 사람, 철면피란 말의 사전적 정의다. 임 소장의 말이 이어졌다.

"세계적으로 철면피가 양산되는 건 전쟁이 끝난 다음입니다. 전쟁으로 윤리 의식이 허물어지기 때문이죠. 그런데 우리나라는 일제시대부터 생겨요."

임 소장에게 그 시대를 대표하는 철면피는 당연히 이완용이었다. 그는 "법이 규정할 수 없는 가장 큰 죄가 민족 배반 아니냐"며 "그런 큰 죄를 저지르고 나면 다른 건 우습게 보인다, 이완용은 나라만 팔아먹은 게 아니라 불법적인 재산 탈취까지 다 저질렀다"고 말했다.

그는 "친일파들의 본질은 '염치없음'"이라고 강조했다. "잘못을 알고도 행한 사람들"이며 또한 그래서 "자기가 잘했다고 우겨요"도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임 소장은 "식민지 시대가 염치없는 사람들을 만들었고, 우리나라에 내려오던 염치의 근본이 그 때 완전히 뒤틀려 버렸다"고 말했다. 그 다음에도 이어진 뒤틀림을 임 소장은 이렇게 표현했다.

"광복이 된 후에도 친일파들은 가면을 바꿀 필요가 없었어요. 그 가면 그대로 쓰고 일본으로 향했던 눈을 미국에 돌리면 다 예쁘게 봐줬어. 그대로 이승만 독재에 핵심 인사들이 됐죠. 염치없는 친일파들의 가면을 미국이 더 예쁘게 만들어줬거든."

그러면서 임 소장은 친일파들의 이데올로기 자체가 민주주의와 안 맞는다고 강조했다. 그들의 이데올로기는 "파시즘"이며, 그렇기에 "노동자들이 배부르고 잘 사는 거 못 보고, 인권이나 여성 인권 등에  체질 자체가 안 맞는다"는 것이었다. "자기 머슴이어야 하며, 그래서 독재를 찬양하는 것"이란 주장도 잇따랐다. 그를 만나게 만든 질문으로 이어졌다.

"염치는 전염된다"... 친일인명사전 또한 그랬다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임종국 선생의 유고. 친일반민족행위 연구에 헌신한 그의 아버지는 친일부역자였다. <친일문학론>을 쓰던 아들에게 "내 이름이 빠지면 그 책은 죽은 책"이라며 자신의 이름을 넣으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임종국 선생이 평생을 바쳐 기록한 '친일인명카드'는 훗날 친일인명사전의 밑거름이 됐으며, 그의 뜻을 담아 민족문제연구소가 만들어졌다.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임종국 선생의 유고. 친일반민족행위 연구에 헌신한 그의 아버지는 친일부역자였다. <친일문학론>을 쓰던 아들에게 "내 이름이 빠지면 그 책은 죽은 책"이라며 자신의 이름을 넣으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임종국 선생이 평생을 바쳐 기록한 "친일인명카드"는 훗날 친일인명사전의 밑거름이 됐으며, 그의 뜻을 담아 민족문제연구소가 만들어졌다.
ⓒ 이정환

관련사진보기

 
- '염치없는 인간들이 지금도, 미래에도 나오는 한 민주주의가 위태롭다'고 하셨습니다.
"투표의 자유가 있다고 자유 대한민국이 아닙니다. 정치적 자유 뿐 아니라 사상의 자유, 경제적 자유, 생존의 자유도 보장되는 게 올바른 민주주의입니다. 그러니까 몰염치가 많으면 사회가 불안해지는 건 당연하죠. 특히 파시즘적인, 극우 이데올로기에 심취해 있는 사람의 숫자가 많을수록 불안해집니다. 올바른 민주주의가 그냥 선거하는 것만이 아니잖아요."

다수결의 논리에 따라 염치없음이 얼마든지 이용될 수 있다는 그의 경고가 서늘하게 들렸다. 이런 질문이 튀어나왔다.

- 염치, 전염성이 있나요?
"있습니다."

반대로 생각해도 그의 말이 맞았다. 그의 '동지', 임종국 선생의 경우가 그랬다.
 
"1966년 1월쯤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빠가 그때 코트를 입고 있었으니까. '친일문학론'을 집필하면서 헌 신문을 뒤지다보니 학병 지원 연설을 나간 아버지의 기사가 났습니다. 오빠는 그 글을 쓰다 말고 집에 와서 아버지께 여쭈었습니다. '아버지! 친일문학 관련 책을 쓰는데 아버지가 학병 지원 연설한 게 나왔는데, 아버지 이름을 빼고 쓸까요? 그러면 공정하지가 않은데...' 하자 아버지께서는 '내 이름도 넣어라. 그 책에서 내 이름 빠지면 그 책은 죽은 책이다'고 하셨습니다." (정운현, 임종국 선생 평전 중에서)

그리고 임종국 선생은 평생을 바쳐 친일인명카드를 기록했다. 아버지와 아들의 염치가 훗날 친일인명사전으로 옮아왔던 셈이다.

염치 없음도 전염되지만 염치 있음도 전염된다.
 
식민지역사박물관 방문자들의 관람 소감. 2019년 12월 7일 방문자의 글이 특히 마음에 와 닿았다. 그는 "나라에 부끄러운 짓을 한 친일파들은 저리 잘 먹고 잘 사는데, 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싸운 자들은 항상 탄압 받는가"라고 물었다. 그리고 이렇게 썼다. "이건 잘못되었다. 바로 잡아야 한다". 식민지역사박물관은 지난 2018년 8월 개관했다.
 식민지역사박물관 방문자들의 관람 소감. 2019년 12월 7일 방문자의 글이 특히 마음에 와 닿았다. 그는 "나라에 부끄러운 짓을 한 친일파들은 저리 잘 먹고 잘 사는데, 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싸운 자들은 항상 탄압 받는가"라고 물었다. 그리고 이렇게 썼다. "이건 잘못되었다. 바로 잡아야 한다". 식민지역사박물관은 지난 2018년 8월 개관했다.
ⓒ 이정환

관련사진보기

 
[염치주의 연재 기사들]

1. 트위터리안 요시키, "프로매국노" 일본인을 만나다
2. 수의사 김정호, '북극곰 없는 동물원' 꿈꾸는 동물원 수의사
3. 판사 박주영①, 동사무소에서 판사는 부끄러웠다 "법에 무지하여..."
4. 판사 박주영②, "역사는 디스코 팡팡 같아... 진보와 염치는 한 몸"
5. 배우 김남길, "이젠 저도 건물주 됐으면 좋겠어요"
6. 가수 아이유, 이것은 팬레터입니다, 수신자는 '아이유'
7. 심리학자의 분석, 조국-나경원 욕먹는 각각의 이유
8. 대학생이 꼽은 '염치없는 교수', 세 가지 유형

태그:#임헌영, #임종국, #민족문제연구소, #친일문학론, #염치주의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