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주시경 선생
▲ 주시경 선생 주시경 선생
ⓒ 한글학회

관련사진보기

주시경은 1905년 29살이 되는 해에 을사늑변을 당하였다.

개화파 지식인으로서 분노와 충격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장지연은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을 발표하고, 시종무관장 민영환은 을사늑약의 폐기를 상소했으나 대세를 돌이킬 수 없음을 깨닫고 자결하였다. 일본에 망명 중이던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는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면서 칼날을 갈고 돌아왔다.

1906년 2월 남산에 조선통감부가 설치되고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통감으로 부임하여 군주 노릇을 하였다. 여기저기에서 자강운동이 전개되고 각지에서 항일 의병이 봉기하고 최익현ㆍ임병찬을 비롯한 의병 지도부가 순창에서 피체되어 일본 쓰시마 섬으로 유배되었다.

이같은 국난기에 주시경은 우리말ㆍ우리글 지키기와 보급에 열과 성을 다하였다.

1905년 소위 「을사5조약」에 의하여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고 국망을 눈앞에 둔 절박한 시기에 이르자, 주시경은 그의 이러한 사상체계에 입각하여 더욱 헌신적으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주시경은 이 위험한 시기에 만일 국어국문을 재발견하여 과학적으로 체계화하고 국민들 사이에 널리 보급시켜 놓지 못한 채 타성에 젖어 한문사용의 폐습에 지배되다가 다시 일본어ㆍ일본문자에 지배되어 국문과 국어를 잃어버리는 날에는 국권회복과 독립달성은 어렵게 된다고 보았다.

반면에 그는 만일 이 절박하고 위험한 시기에도 분발하여 나라사랑과 함께 자기 나라의 언어와 문자를 사랑할 것을 청소년 학생들에게 계몽하고 국어국문을 교육하게 국민들에게 교육시켜 놓으면 신진 청년들에 의하여 반드시 국권회복과 독립달성의 날이 올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주석 7)


주시경은 이같은 신념을 갖고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그 중의 하나는 전덕기 목사가 주도하고 신채호 등이 참여하여 1906년 창간한 『가뎡잡지』 교보원으로서의 역할이다. 이 잡지는 얼마 뒤에 『가정잡지』로 제호를 바꾸었다.

『가정잡지』는 1906년 6월 20일 내부 인가가 났다. 당시 사장은 유성준, 총무 겸 편집은 류일선, 교보원은 주시경ㆍ김병현, 회계는 유진태ㆍ전덕기 등이 맡아 6월 25일 제1호를 발간하였다. 그런데 1907년 1월까지 7호를 간행하고 나서 재정난으로 휴간되었다.

그 뒤 1908년 1월 속간되었는데, 이때부터 사장은 류일선, 편집 겸 발행인은 신채호, 교보원은 주시경, 총무는 김상만, 회계는 유명혁이 각각 맡았다.

제2년(1908) 제1호부터 신채호가 편집과 발행을 맡는 새로운 체제가 된 것이다. 이 잡지는 현재 제2년 제1호(1908. 1, 5), 제3호(1908, 3.?), 제7호(1908.8.25) 등이 남아있으며, 제2년 제2호, 제4호, 제5호, 제6호 등은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주석 8)


주시경은 여기서도 '교보원'이란 직함을 갖고 국문기사와 논설을 쓰고 편집과 한글 강해의  책임을 맡았다. 그가 『가정잡지』에 쓴 글은 제1년 제1호에 '국문', '력사', '지리문답', '평론', '위선', '논설' 등을 연재하고, 일부는 제6호에까지 계속되었다.

주시경은 또 애국계몽단체인 서우학회(西友學會)에 협찬원(協撰員)으로 참여하고 기관지 『서우(西友)』의 편집을 맡아 많은 글을 썼다. 1906년 10월 서울에서 평안도ㆍ황해도 출신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대한자강회ㆍ기독교청년회ㆍ국민교육회ㆍ언론인 등을 중심으로 조직된 서우학회는 독립협회ㆍ만민공동회ㆍ개혁당운동ㆍ헌정연구회 간부들이 두루 가담하였다.

이들은 을사조약에 의한 사태의 근본적인 변동에 대처하여 종래의 개화운동을 국권회복운동으로 전환시켰다. 박은식ㆍ김병희ㆍ신석하ㆍ장응량ㆍ김윤옥ㆍ김병일ㆍ김달하ㆍ김석환ㆍ김붕준ㆍ곽윤기ㆍ김기주ㆍ김유탁 등이 발기하였으며, 정운복ㆍ강화석ㆍ유동작ㆍ최재학ㆍ안병찬ㆍ이갑ㆍ유동열ㆍ노백린ㆍ이유정ㆍ옥동규ㆍ정재화ㆍ박경선ㆍ이달원 등이 중심이 되었다.

이 학회는 정치활동을 표면에 내세우지 않고 학회라는 명칭으로 교육 진흥만을 표방하였으나, 그 실제적 목표는 '민력양성'을 통한 국권회복과 인권의 신장이었다. 즉 서우학회는 국권회복과 국민주권의 자유독립국가를 수립하는 데 그 목표가 있었다. (주석 9)

 
주시경 선생의 육필원고본 <국어문법>, 오른쪽에 "주시경 서"라는 글씨가 보인다.
▲ 국어문법 주시경 선생의 육필원고본 <국어문법>, 오른쪽에 "주시경 서"라는 글씨가 보인다.
ⓒ 김영조

관련사진보기

 
서우학회는 애국정신과 교육구국론ㆍ실업구국론ㆍ사회관습개혁론 등을 내세우며 회원이 1천여 명에 달하고. 관서지방의 중심적 역할을 하다가 이후 서북학회ㆍ신민회로 계승되어 1908년 한북흥학회와 통합하여 서북학회로 이어졌다. 주시경은 이 과정을 함께 하였다.

주시경은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되기 전 그나마 고종이 왕권을 지키고 있을 때를 택해 정부에 국어연구와 사전편찬을 위한 건의서를 올렸다. 나라가 외적에 침범되더라도 나랏 말과 국어만 지키면 언젠가는 국권을 회복하게 된다는 생각에서였다.

주시경의 건의서는 세종 때의 국어연구기관인 언문청(諺文廳)과 같은 관청을 설치하여 우리의 국어국문을 부흥시키자는 내용이었다. 정부에서 응답이 없자 1906년 6월 학생 교재용으로 『대한국어 문법』을 직접 간행하였다.

이 책은 한글의 바른 인식을 위한 글자꼴과 맞춤법의 본보기 규정 및 음운 이치를 논술한 것으로 상동청년회관에서 교재로 사용하였다.


주석
7> 신용하, 「주시경의 사상체계」, 『주시경학보』 제8집, 234쪽.
8> 김주현, 『계몽과 혁명』, 89쪽, 소명출판, 2015.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1)』, 796쪽,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한글운동의 선구자 한힌샘 주시경선생‘]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한힌샘, #한힌샘_주시경 , #한글, #가정잡지, #서우학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