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 이 글에는 영화 <사냥의 시간>의 주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사냥의 시간> 포스터.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사냥의 시간> 포스터. ⓒ ?넷플릭스

 
2011년 단 한 편의 영화 <파수꾼>으로 한국 독립영화의 중추이자 한국영화 최대 기대주로 떠오른 윤성현 감독은 10대들의 예민한 감수성을 섬세하게 표현해 찬사를 받았다. 꾸준히 한국 독립영화를 봐 온 필자에게도, 이 영화는 <용서받지 못한 자>, <똥파리>, <한공주>, <벌새>와 함께 '위대한' 한국 독립영화 중 하나로 기억된다. 윤성현 감독의 차기작을 기대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그는 오랫동안 차기작을 내놓지 않았다. 

그 사이 <파수꾼>의 주연이었던 이제훈과 박정민은 충무로 유망주의 자리를 넘어 연기력과 흥행력을 두루 갖춘 '스타'가 되었다. 몇 년 전부터 윤 감독이 차기작을 내놓을 것이란 소문이 들렸다. 이제훈과 박정민이 출연할 거라고도 했다. 소문만 무성하던 끝에 2020년 2월 개봉이 확정되었고, 곧 2020년 상반기 최고 기대작으로 우뚝 섰다. 최우식, 안재홍, 박해수도 함께한 만큼 기대가 치솟았다. 베를린 영화제에도 초청되었다니, 기대하며 기다렸다. 

코로나19 사태와 넷플릭스 해외 판권 이슈의 악재를 지나 결국, <사냥의 시간>은2020년 4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외적 잡음을 잠재울 압도적이고도 파괴적인 영화를 목도할 시간이 되었다.

하지만 곧바로 관객들은 비판의 목소리르 쏟아냈다. 대체로 압도적인 비주얼과 처참한 스토리 중 '처참한 스토리'의 손을 들어 준 것이다. 이는 앞서 스토리로 찬사를 받는 윤성현 감독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이라,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을 수 없다. 방구석의 작은 스크린이 아닌 영화관의 큰 스크린으로 보았으면 달랐을까 하는 의구심도 풀어보려 한다. 

'헬조선 탈출기'에서 '사냥의 시간'으로
 
 영화 <사냥의 시간>의 한 장면.

영화 <사냥의 시간>의 한 장면. ⓒ 넷플릭스

 
2030년 망해 가는 한국에서 청년 장호(안재홍 분)와 기훈(최우식 분)은 3년의 감옥 생활을 마치고 출소하는 준석(이제훈 분)을 마중한다. 들어 보니, 3년 전 그들은 함께 작당모의하여 거사를 치르다가 준석만 잡혀 들어갔던 것이다. 물론 준석이 주도자였다. 그런데 준석은 출소하자마자 보다 거대한 일을 벌이려 한다. 동네 불법 도박장 금고를 털자며 장호와 기훈을 끌어들인다. 그곳은 당연히 조폭들이 관리하는 곳, 잘못하면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기에 장호와 기훈은 꺼려 하지만, 도박장에서 일하는 친구 상수(박정민 분)를 끌어들여 작전을 계획하고 개시한다. 

친한 총포상 형 봉식한테 총을 얻어 도박장 금고를 털어서는, 대만의 섬 컨딩으로 밀항을 한 뒤 꿈에나 그리던 에메랄드 빛 바다와 푸른 하늘을 보며 편안하게 살아가자는 원대한 계획이었다. 나름 철저한 리허설로 도박장 털기 작전은 훌륭하게 성공한다.

하지만 '한'이라는 정체불명의 추격자가 엄청난 잠행술과 추격술, 사격술로 그들을 쫓기 시작한다. 도시를 넘어와 도망친 친구들은 아무도 모르는 건물에 잠행하며 밀항을 준비하고 기훈은 부모님이 걱정되어 집으로 돌아간다. 이곳은 찾지 못할 거라 믿고 있던 둘에게 여지없이 한이 손길을 뻗치는데... 과연 이들은 한의 추격을 뿌리치고 무사히 밀항할 수 있을까?

디스토피아 범죄 스릴러에 걸맞은 비주얼
 
 영화 <사냥의 시간>의 한 장면.

영화 <사냥의 시간>의 한 장면. ⓒ 넷플릭스

 
영화 <사냥의 시간>은 디스토피아 범죄 스릴러를 표방한다. 모든 게 무너지다시피 하여 희망을 찾아볼 수 없는 곳에서 청년들이 크게 한탕한 뒤 희망이 살아숨쉬는 곳으로 탈출, 평범하게 살아가려는 게 전체적 맥락이다. 청춘들이 흔히 꿈꿀 만한 헬조선 탈출기에서 시작한 영화는, 제목 그대로 정체불명의 추격자 한이 펼치는 사냥의 시간으로 돌변한다. 훔친 돈을 전부 돌려준다는데도 오직 한 번 찍은 놈은 끝까지 추격해 죽이고 만다는 사냥을 목적으로 한 '한'의 알 수 없는 집념으로 영화가 흘러간다. 

영화의 외향은 디스토피아 범죄 스릴러 장르와 완벽하게 들어맞는다. 빛을 찾아볼 수 없는 와중에 컴컴하면서 붉디붉은 도시, 일단 분위기 조성은 됐다. 한의 과정을 생략한 잠행술은 서늘함 그 자체이고, 뛰어다니지 않고 조용히 총을 그것도 정확하게 겨누는 총격술은 예술 그 자체이다. 여기에 긴장감을 유발하는 배경음악이 한몫해, 스릴러로서 보여 줄 수 있는 최고의 극단을 만들어냈다. 

방구석 스크린으로 봤는데도 이 정도라면, 영화관에서 감상했으면 소위 '난리'날 뻔했다. 심장 밖으로 아드레날린이 분출되는 느낌이 아닌, 심장 안으로 근육이 조여오는 느낌을 직접적으로 받았을 것이 분명하다. 이 영화에서 윤성현 감독은 <파수꾼>에서 보여 준 섬세함을 보다 확장시켜 보여 주는 데 성공했다. 그것을 통해 핵심을 보여주지 못한 게 문제이지만.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소홀했던 '캐릭터'

<사냥의 시간>은 '사냥의 시간'을 보여주는 데 전심전력을 쏟았다. 그 시간의 기가 막힌 외향 및 내향 비주얼을 통해 현재 우리 청년들이 당면한 상황 또는 사회의 단면이나 현상을 비유·은유적으로 풀어내길 바랐는데, 전혀 그러지 못한 것 같다.

가장 큰 문제는 캐릭터에 있지 않나 싶다. 네 청년 친구와 '한'이라는 추격자까지 그 누구에게도 감정이입이 힘들다는 건 둘째 치고, 영화 전체에서 '캐릭터'라는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데 가장 소홀히 했다.

단순히 개개인의 사연이 없다는 수준이 아니라 앞뒤 없이 본체만 덩그러니 던져진 것 같고, 그와 함께 스토리의 맥락도 함께 사라진 듯한 느낌이다. 즉, 훌륭한 배우들이 분한 캐릭터들을 잘 살렸으면 스토리도 함께 살았을 텐데 그러지 못하니 처참한 스토리가 도드라져 버렸다. 

최근 비주얼텔러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2017년 <악녀>, 2018년 <마녀> < PMC: 더 벙커 > 등이 독특한 액션으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은 바 있다. <사냥의 시간>도 비주얼텔러의 약진으로 소개될 만하다. 하지만 이들 영화는 공통적으로 스토리 또는 캐릭터 부분에서 지극한 약점을 노출했다. 이들 영화에서 완벽을 기대할 순 없고 기대해서도 안 되겠지만, 한 면의 신선함 내지 대단함이 한 면의 아쉬움을 상쇄하기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사냥의 시간>이 과연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라는 값진 타이틀을 얻을 수 있을까. 쉽지 않을 것 같다. 비주얼적 성공조차 영화관 스크린으로 보지 못한다는 점 때문에 상당 부분 빛이 바랠 테니 말이다. 여타 '큰 영화'들처럼 좀 더 기다렸다가 넷플릭스가 아닌 극장 개봉을 택했으면 어땠을까 생각해 본다. 크게 달라질 건 없을지 모르겠지만, 조금이라도 더 낫지 않았을까 싶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형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singenv.tistory.com)와 <프리즘>에도 실립니다.
사냥의 시간 헬조선 탈출 추격전 디스토피아 범죄 스릴러 스토리와 캐릭터 실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