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현행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의 공간 구조를 116개의 근린생활권으로 세분화하는 안을 제시했다.
 서울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현행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의 공간 구조를 116개의 근린생활권으로 세분화하는 안을 제시했다.
ⓒ 서울연구원

관련사진보기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1910년 한성의 인구는 27만 9000여 명에 이르렀다.

서울 인구는 1948년 정부 수립 무렵 127만 명에 이르렀다가 1970년 500만 명을 넘었고 1987년 '1000만 시대'를 열었다.

사람들이 대도시로 몰리는 이유는 명확하다. 일터와 교육, 의료, 쇼핑, 오락 등 생활에 필요한 기능들이 한 곳에 몰려 있는 것이 살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는 이러한 '고밀'과 '집적'의 환경이 감염병 확산에 더없이 취약한 구조라는 것을 드러냈다. 황금연휴 기간 동안 서울 이태원 클럽에서 터진 집단감염 사태는 클럽에 다녀온 확진자의 가정과 직장을 통해서 서울을 넘어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김인희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은 지난 12일 서울연구원이 주최한 '포스트코로나 시대 서울의 정책' 토론회에서 "코로나19 사태는 도시가 주는 고밀과 집적이라는 장점을 포기하고 저밀도 전원도시로 갈 것이냐는 고민을 던져주고 있다"고 말했다.
  
김인희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이 12일 오후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대응 서울연구원 정책 제안 토론회'에서 '탄력적 도시회복을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을 주제로 정책제안을 하고 있다.
 김인희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이 12일 오후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대응 서울연구원 정책 제안 토론회"에서 "탄력적 도시회복을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을 주제로 정책제안을 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그러나 대도시가 주는 다양한 이익을 포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선택이다. 다행히 서울은 2013년부터 '1도심·5부도심·11지역중심' 체계를 강남, 여의도, 영등포 등 3도심과 7광역중심·12지역중심으로 재편하는 '2030 서울 플랜'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는 하나의 중심 대신 다핵으로 인구밀도를 적절히 분산시키는 기존 계획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민들의 활동 패턴이 바뀐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서울연구원이 이동통신사 빅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코로나19 사태 이후 공원과 녹지 등 시민들의 야외공간 이용률이 51%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왔다. 비말을 통한 감염병이 전파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시민들을 밀폐 공간에서 탁 트인 공간으로 이끈 것으로 연구원은 보고 있다.

이석민 안전환경연구실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일상화되면 공원이나 녹지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방역과 함께 시민 스트레스 등을 위한 복합 공간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는 교통 문제에 대한 숙제도 안겨주고 있다.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인해 13일부터 서울 지하철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됐다. 지하철 내 혼잡도가 150%가 넘는 경우에 마스크 미착용자는 탑승하지 못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혼잡이 심한 주요역과 환승역 승강장에 안전요원을 배치하기로 했지만 '임시방편'이라는 지적도 있다.

서울연구원 한영준 박사는 "재택 및 유연근무제 확대로 교통량을 근본적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는데, 코로나19 확산 가능성에 맞춰서 '적정'과 '혼잡'의 개념도 완전히 바뀔 것"이라며 "버스와 지하철 이외에 수요대응형 셔틀이나 스마트 모빌리티 등 새로운 서비스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서울 ①] http://omn.kr/1nm2q 
"고용보험 사각지대 노동자 위해 서울시가 보험료 대납"

태그:#코로나19, #스마트모빌리티, #김인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