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구름과 비

바람과 구름과 비 ⓒ tv조선

 
TV조선의 토일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는 최근 방영되는 유일한 사극으로 5%대의 안정적 시청률을 확보하며 고군분투 중이다(7월 19일 5.1% 닐슨 코리아). 이병주 작가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드라마는 10권 분량의 방대한 내용을 21부작 드라마로 압축하여 매 회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지난 18일 방송분 마지막 장면에선 고종(박상훈)이 최천중(박시후)과 그의 아버지를 사면복권 하며 최천중을 잡으려 군사를 풀었던 흥선대원군(전광렬)의 허를 찌르는 반격을 개시했다. 3년 전 최천중은 대원군에 의하여 쫓기다가 사랑하는 이와 헤어져 이역만리까지 가 유배 아닌 유배 생활을 해야 했다.

그동안 사랑하는 여인 봉련(고성희)은 대원군의 볼모가 되어 대원군이 원하는 미래를 점쳐주는 신세가 되었다. 돌아온 최천중은 자신의 적인 건 물론, 경복궁 중건 등으로 백성들에게 장동 김문 못지않은 원성을 사고 있는 대원군 이하응을 몰아내기 위한 작전에 돌입한다. 

우선 자신과 인연을 맺은 규수 민자영(박정연)이 고종의 왕비로 간택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한편, 고종을 사이에 두고 대원군과 힘겨루기에서 밀리고 있는 대왕대비 조씨(김보연)에게 접근하여 대원군 이하응을 물리치고 싶다면 자신에게 전권을 위임해달라고 요구한다. 

섭정이란 미명 아래 전권을 휘두르는 대원군에게 눈엣가시였던 최천중의 복권은 그저 한 사람의 재등장 이상의 의미였다. 효(孝)를 내세워 허수아비 신세로 만들어버린 고종이 스스로의 존재감을 드러낸 사건이요, 대원군이 정적인 대왕대비와의 힘겨루기에서 허를 찔린 형국이 되었다. 거기에 최천중의 후원을 받은 왕비는 호시탐탐 고종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을 키우려고 한다.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간 최천중은 고종을 설득하고 대왕대비, 중신들과 모의하여 당상관 회의에서 대원군의 실각, 일종의 '명예 혁명'을 시도한다. 하지만 야심차게 시도한 최천중에 의한 대원군의 퇴진은 바로 전날 발생한 경복궁 화재 과정에서 당황한 고종에 의해 물거품이 되고 만다. 

대원군의 실각을 도모한 최천중 
 
 바람과 구름과 비

바람과 구름과 비 ⓒ tv조선


고종 앞에서 마주하게 된 최천중과 대원군 이하응은 바로 하루만에 입자와 상황이 하늘과 땅만큼 달라졌다. 결국 자신의 손으로 옹립한 고종, 그리고 그의 섭정자 대원군을 자신의 손으로 물리고자 했던 최천중의 시도는 19회에서는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최천중은 일찍이 자신의 오른팔과 같은 용팔용에서 '조선의 난파선론'을 피력한 바 있다. 난파선과 같은 조선, 과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하고 말이다. 망할 운명이니 일찌감치 스스로의 몸을 뺄 것인가, 아니면 한 사람의 백성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배와 운명을 함께 할 것인가. 거기서 최천중은 후자의 운명을 선택했다. 멸문지화를 당하고 점쟁이가 된 신세지만, 백성들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은 채 그들을 돕기 위해 자기 자신과 재산마저 아낌없이 쏟아부었던 최천중.

그런 그가 자신의 '점쟁이' 능력을 활용하여 조선을 쥐고 흔드는 부패한 권력을 갈아엎고자 하는 건 '인지상정'이다. 그래서 그는 대원군과 손을 잡고 장동 김문을 축출하는데 앞장섰고 성공했다. 그 뒤를 이어 그가 일찍이 왕재라 예언했던 고종이 철종의 뒤를 잇고, 그의 아비 이하응은 대원군이 되어 '섭정'을 한다. 하지만 말이 '섭정'이지 실질적인 '국정'의 주인이 되었다. 대원군과 최천중은 큰 뜻을 가지고 의기투합했지만, 백성을 먼저 생각하는 최천중과 달리 대원군은 자신의 권력이 우선이었다. 당연히 최천중과 대원군의 갈등은 예견된 일이다.

그런데 결과론적으로 보자면 최천중은 그 '순진무구'한 개혁 의지에만 집중하다 호랑이한테 나라를 맡긴 셈이 되었다. 자신의 사주 명리학적 능력을 활용하여 부패한 장동 김문을 밀어냈지만, 결국 그가 손잡은 건 또 다른 '권력'일 뿐인 셈이 되었다. 그런데 그가 대원군을 견제하기 위해 손을 내민 건 훗날 대원군의 가장 큰 정적이 되는 명성황후 민자영이었다. 그의 의도야 어떻든 19회까지만 보면 최천중은 자신의 알량한 개혁에의 열망으로 조선을 구렁텅이로 빠뜨리는 '조력자'가 되어가고 있는 셈이다. 

얼핏 캐릭터 붕괴로 보일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백성을 구하기 위해 난파선에 기꺼이 남고자 하는 '영웅적 캐릭터'가 '성장'해 가는 과정으로 보는 것이 맞지 않을까? 부패한 권문 세가, 그들의 바짓가랑이 사이를 기꺼이 기며 저잣거리의 사람들과 다르지 않게 살아가던 대원군 이하응이 보인 모습은, '왕조 시대'에 '개혁'을 꿈꾸던 최천중에게 가장 이상적인 선택지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상적인 '왕권'은 권력의 맛을 본 순간, 이미 더 이상 '백성'을 안중에 두지 않는다. 어떻게 해서든지 자신의 '권력'을 공고하게 만들기 위한 '욕망'의 정치가 되는 것이다. 최천중은 결국 자신의 손으로 옹립한 대원군을 '결자해지'해야 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유부단하기 그지 없는 고종, 그리고 거기에 조력자일 줄 알았지만 또 다른 복병이 될 명성황후의 야망은 '위로부터'의 평화로운 권력 이양을 꿈꾸던 저잣거리의 영웅 최천중에게 결국은 고민을 안길 것이다. 

왕조 시대의 시대적 한계 안에서 백성들의 '안온한 삶'이 불가능하다면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대원군도, 민자영도 결국은 백성들을 위한 권력이 아니라면, 그 어떤 왕도, 왕의 측근도 백성들의 평안을 도모해 줄 수 없다면, 결국 최천중은 어떤 결론에 도달하게 될 것인가? 그것이 <바람과 구름과 비>가 마지막에 보여줄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바람과 구름과 비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