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 20:46최종 업데이트 20.06.02 20:46
  • 본문듣기
글 노동자가 되어 원고료를 받고 산 지는 30년, 말 노동자가 되어 강연료를 받고 산 지는 20년이 되었다. 글이 쌓여 책을 낸 뒤에라야 강연 요청이 들어왔기에 10년의 차이가 난다. 책 제목이 곧 강연 제목이 되었다.

지금은 글을 쓰고 강연을 하면서 살아간다. 역사, 여행, 문학, 레포츠, 음식 등 여러 주제를 다뤄오다가 세월이 흘러 술이라는 주제 하나로 정리되었다. 엄밀하게 말하면 술이라는 큰 저수지가 만들어지고, 다시 술 문화, 술 제조법, 양조장 창업, 술 기행 따위의 다양한 주제로 갈래를 치고 있다. 내가 어디까지 어디로 흘러갈지 나도 알 수 없다.

그 술의 길을 밀고 나가는 두 바퀴는 글과 말이다. 글은 매주 한 편을 쓰려고 한다. 일기나 다름없다. 그 주간에 내 마음에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온 '생동감 있고 현장성 있는 것'을 기록하려 한다. 그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 생은 아무 흔적도 남아 있지 않을 것 같다.
 

함께 술잔을 부딪치며 대작하다. ⓒ 막걸리학교

 
그런데 요상하다. 글은 아무리 써도 익숙해지지 않는다. 쓸 때마다 막연하고, 아슬아슬하다. 한 편의 글을 쓸 때마다 오늘 저 강을 건널 수 있을까 두렵다. 평론하는 친구에게 한 번은 이렇게 푸념한 적이 있다.

"20년을 넘게 글을 써왔는데 익숙해지지 않아. 젠장 뭐 이런 게 있어. 이제쯤이면 편안하고 즐겁게 술술술 글이 써져야 되는 게 아냐?"


그날 우리의 결론은 이랬다. 글은 익숙해지는 순간 망하는 것이다. 글은 늘 새롭게 써야 한다. 글은 자기 복제를 하는 순간 사기이고 범죄다. 글의 운명이 그렇다면, 글 쓰는 일은 도전할 만하다.

글 쓰는 일은 내 머리 속에 종이비행기를 닮은 화두 하나를 날리고, 그 화두를 좇아가는 일이다. 책상 위에서만 화두를 좇지 않고, 길 위에서도 타국의 낯선 방에서도 좇는다. 배경이 달라지면 화두의 물결이 달라진다. 가장 탐하는 시간은 문득 깨어난 새벽 시간이다.

새벽 글은 새벽 우물에서 두레박으로 긷는 물 같고, 저녁 글은 마구잡이로 쏟아지는 소나기 같다. 새벽 글은 내 안에서 생각 하나를 길어올리는 일이라 신중하고 조심스럽고, 저녁 글은 오만 잡상이 소나기처럼 내 머리 속으로 들이쳐서 산만하고 어지럽다. 아침 글은 단순하지만 담백하여 그대로 쓸 만한데, 저녁 글은 그대로 썼다가는 탈이 난다.

손끝에서 나오는 글은 독백이나 속삭임과 같다면, 입에서 쏟아지는 말은 북소리처럼 요란하다. 나는 그냥 자연스럽게 말하듯이 글을 쓰면 좋은 글이 된다고 믿는 주의다. 그런데 글 세계와 말 세계의 도덕률이 다르다. 글은 자기 복제를 하면 안 되지만, 말은 끊임없이 자기 복제를 해야 한다. 말 할 때마다 말이 달라지면 안 된다.

강연 요청이 들어오면 그 주제는 상대방이 정한다, 내가 가장 잘 하는 것으로. 그 순간 강연 주제는 지극히 제한된다. 같은 주제의 강의를 반복하다 보면 내 안에 녹음기를 틀어놓는 것 같다. 그 순간 강연자는 히트곡을 얻어 같은 리듬을 타고 같은 가사를 불러야 하는 가수를 닮게 된다.

막걸리학교의 첫 번째 강의이자, 수강생들이 가장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강의는 '내 생의 첫술빚기'다. 전체 10강에서 세 번째에 배치되다가, 첫 번째로 격상되었다. 수강생들의 절반 이상이 술을 빚고 싶어서 오기 때문에, 그 욕구를 단번에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다.
 

술빚기 실습을 하는 모습, 약재를 넣어서 술을 빚고 있다. ⓒ 막걸리학교

 
강의는 소독과 청결, 원료 배합 비율, 발효 원리, 발효 온도 관리를 이야기하고, 술빚기 실습으로 들어간다. 술 빚는 원리를 이해하고 배운 대로 하면, 큰 과녁 앞에서 활을 쏘는 것처럼 쉽다. 그러나 같은 한강이라도 같은 물이 한 번도 흘러간 적이 없다는 말로 강의를 마무리한다. 똑같은 재료로 똑같이 술을 빚어도 똑같은 술이 나오지 않는다.

술 빚기는 시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술빚는 원리는 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천 년 후나 동일하다. 급변하는 정보 기술과 달리 술을 배워두면 언젠가는 쓰임새가 있는 이유기도 하다.

그래서 술빚기의 기초 강의의 순서와 내용은 큰 틀에서 달라질 게 없다. 그런데도 나는 말을 하면서 어떻게 새로워질 것인가? 같은 내용을 어떻게 새롭게 전달할 것인가? 고민한다. 새롭지 않으면 아무런 생명력이 깃들지 않는 것 같아서, 늘 새로운 이야깃거리를 찾으려 한다.

그러다 보면 해야 할 이야기가 빠지고, 강연이 어려워지고 만다. 강의안을 함께 짠 팀원들은 "원래 하기로 한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새로운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강연이 어려워집니다"라고 말하고, 나는 그 말에 순순히 동의한다. 말이 지닌 한계, 반복 노동의 지루함에서 빠져나오려다, 또 함정에 빠지고 만다.
 

요사이는 혼자 술 마실 수 있는 바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 막걸리학교

 
글쓰기는 고독한 작업이고, 말하기는 요란한 작업이다. 혼자 있을 때는 글의 힘이 세지고, 광장에서는 말의 힘이 세진다. 그래서 정치가는 화려해 보이고 작가는 고독해 보인다. 하지만 글을 통해서는 자기 스스로를 위로받을 수 있다면, 말을 통해서는 자기보다는 상대방을 위로해야 한다.

글쓰기는 홀로 마시는 독작(獨酌)이라면, 말하기는 누군가와 나누는 대작(對酌)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