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건강한 토양
 건강한 토양
ⓒ 픽사베이

관련사진보기

   
"날씨 때문에 작황이 너무 안 좋아서..."

언제부턴가 이런 말을 참 많이 듣고 산다. 며칠 전 경기도 농민들을 만날 때였다. 농민들이 '쌀값을 보장하라'는 현수막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니 작년에 쌀값이 얼마나 좋았는데, 코로나 때문에 사람들이 집밥만 먹는데 쌀값을 얼마나 더 받아야 하느냐고 되물었더니 농민들은 '도시민들은 저렇게 생각하나 보다'며 황당한 표정을 짓는다.

따뜻한 겨울과 긴 장마 이후 수확량이 확 줄었다는 것이다. 특히 일찍 심은 조생종 벼는 30~40% 줄어든 폭망 수준으로 쌀값이 올라도 도지(소작료)에 농약값에 이것저것 빼고 나면 남는 게 없다는 거다. 쌀의 고장 경기도에서 30년 넘게 농사 지어온 선수들의 말이었다. 아침에 눈 뜨면 들녘에 나가 불어오는 바람결 하나에도 예민하게 반응해온 그들은 몇 번이나 내게 말했다. 이런 날씨 처음 겪는다고.

이제 농산물 가격보장만으로는 식량공급을 장담하기 힘든 세상이 왔다. 그동안 공업발전과 한강의 기적을 위해 묵묵히 희생해온 농업은 이제 기후의 역습 앞에 아예 사라지고 마는 것일까. 그런 걱정을 할 무렵 '탄소 농부'들에 관한 이야기를 듣게 됐다. 토양을 살려 기후변화에 대응한다는 이상한 나라의 농부들 말이다.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에서 생긴 일

"(2017년) 포도 수확이 시작되는 9월초 기온이 화씨 110도(섭씨 43도)를 넘어섰다. 이상고온은 나파 밸리에서 놀라운 일이 아니다." (<뉴욕타임스>, 2019.10.31)

세계 최고의 와인 산지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 그러나 천하의 나파 밸리도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다.

2015년에는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1~2월 날씨가 포도의 이른 성장을 촉진시켰다. 그런데 그해 5월 한파가 찾아와 수확량이 40~50% 줄었다. 2017년 10월에는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가 일으킨 산불이 덮쳐 건물을 태우고 포도농원을 검은 연기로 뒤덮었다. 이제껏 경험해보지 못한 가장 나쁜 품질의 포도가 수확되기도 했다.

산불은 이후 5년간 캘리포니아 전 지역을 가뭄에 시달리게 했다. 산불로부터 시설을 보호하려는 전기회사가 전원공급을 끊는 바람에 와인 농원들은 며칠간 정전상태에서 살기도 했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개인주의로 악명높은 나파 밸리의 와인 생산자들도 기후변화 앞에 힘을 합쳐 맞서기 시작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한다. 생산자 700명이 자발적으로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이 중에는 일찌감치 토양을 살리는 농법을 실천해 캘리포니아주의 기후대응 보조금을 받고 있는 와이너리도 있다. 매티아슨 부부가 운영하는 농장이 대표적이다.

토양 살려 기후대응보조금 받는 와인 농장

질과 스티브 (매티아슨) 부부는 지난 2003년부터 나파 밸리에서 와인을 만들어왔다. 지속가능한 농업과 로컬푸드 운동을 실천하려고 와이너리를 만들었기에 농장 이름도 기업형태의 브랜드가 아닌 '매티아슨 가족 포도농장'이다. '최고의 비료는 농부의 발걸음'이라는 신념을 가진 이들 부부는 18년째 친환경 방식으로 농사를 짓고 와인을 만들어 헌신적인 환경운동가로 불려왔다.

그런데 요즘에는 '캘리포니아의 기후 전사'로 통하고 있다. 이들은 캘리포니아주가 기후변화 대응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한 기금을 통해 3만1445 달러(3400여만 원)를 지원받는다. 아내 질 클라인씨는 지원금을 받는 소감을 이렇게 말했다.

"저의 삶은 '기후'가 좌우합니다. 농민으로서 우리는 기후변화 방어의 최전선에 서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기후변화 영향을 줄여나갈 모든 것을 하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이들 부부가 찾아낸 기후대응 기술은 무엇일까? 알고 봤더니 첨단기술도 신기술도 아니었다. 그저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일이다.

퇴비를 많이 준다. 퇴비는 와인생산 공정에서 나오는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해 직접 만들어 쓰고 있다. 풀을 많이 심는다. 포도나무 밑에 여러해살이 녹비작물을 심어놓아 수확이 끝난 겨울철에도 파란 풀들이 농장 바닥을 뒤덮고 있다. 곳곳에 나무 울타리를 만들어 야생동물과 곤충과 새들의 서식처를 제공했다.

밭을 가는 경운작업을 최소한으로 줄였다. 그 결과 뿌리를 깊이 내린 풀들이 농장을 뒤덮고 있다. 포도를 묶을 때 쓰는 끈은 플라스틱 대신 자연분해되는 식물성을 쓰고, 가지치기한 포도덩굴은 태우지 않고 잘라서 다시 흙으로 되돌려 보낸다.

쉽지 않은 실천이지만, 방식 자체는 우리나라 친환경 농민들도 많이 하는 일이다. 그런데, 이런 농사방식이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라고?

"탄소를 토양 속에 가둬놓는 다양한 식물들이 자라납니다. 토양이 물을 보유하는 용량이 늘어나면 적은 물로도 포도나무에 물을 댈 수 있죠." (질 클라인씨)
 
와인생산자 질 클라인 매티아슨씨
 와인생산자 질 클라인 매티아슨씨
ⓒ 유튜브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질 클라인씨는 '탄소'를 언급한다. 건강한 토양이 온실가스의 원인물질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캘리포니아 식품농업부는 건강한 토양 만들기에 관해 이런 홍보문구를 사용하고 있다.

"건강한 토양 프로그램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효과는 매년 도로 위에 있는 자동차 8423대를 없애는 것과 같습니다."

궁금했다. 어떤 원리로 우리 발 밑의 토양이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는 건지.

기후변화 방어의 전위부대, 농민

1990년대 초반, 라탄 랄이라는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토양학자가 두 명의 미 농무부 동료들과 함께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토양'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는 최초의 서면 보고였다.

원리는 너무 간단했다. 식물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광합성을 한 뒤 남은 탄소를 토양에 저장하는데, 토양은 마치 스펀지처럼 대기 중에 떠 있는 이산화탄소를 계속 제거할 수 있으며, 토양 속에 탄소가 많아지면 작물재배에 좋은 비옥한 땅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토양 속에 탄소를 가둬놓을 수 있다는 '토양의 탄소 격리(sequestration)' 개념이다.

"우리의 농사방식이 (탄소 잡는) 토양의 능력을 도울 수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민이 밭을 갈 때 쟁기질(경운)을 심하게 하면 토양 속에 저장된 탄소들이 빠져나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배출됩니다. 반대로 쟁기질을 최소화할수록 탄소배출을 막는 거죠. 수확이 끝난 밭에 토양을 덮는 피복작물을 심으면 비나 바람에 토양이 침식되는 걸 막고, 탄소가 배출되는 것도 막습니다."(라탄 랄 교수)
 
라탄 랄 오하이오 주립대 교수
 라탄 랄 오하이오 주립대 교수
ⓒ 유튜브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라탄 랄 교수는 '농업분야 최다인용 상위 1% 연구자'로 3년 연속 이름을 올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 중 한 사람이다. 오하이오 주립대학 '탄소관리및격리센터'를 이끌어온 그는 지난 2004년 <사이언스> 논문을 통해 '황폐화된 경작지 토양에 1톤 분량의 토양탄소가 늘어날 경우 밀 수확량이 20~40kg/ha 증가되는 등 작물수확도 늘 뿐 아니라 토양의 탄소격리를 통해 화석연료를 통해 매년 배출되는 탄소의 10~15%를 토양 속에 가둘 수 있다'고 밝혔다. 토양을 살리면 식량위기뿐 아니라 기후위기에도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류는 기후변화에 대해 확실한 답을 갖고 있지 못하지만, 농업은 우리가 손을 뻗으면 바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매달린 열매(해결책)입니다. 답은 우리 발밑에 있습니다."(라탄 랄 교수)

사실 우리 발밑의 토양은 거대한 탄소 저장소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지구 토양 속에 약 2500기가 톤의 탄소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공기 중에 떠 있는 탄소량의 3배 이상이고 모든 살아 있는 동식물 몸을 이루는 탄소량의 4배가 넘는다.

문제는 산업혁명 이후 150년간 토양을 빠져나와 대기로 배출된 탄소량이 산업혁명 전 7800년간 토양을 자연적으로 빠져나온 탄소량의 무려 42.5%에 달한다는 점이다. 중장비를 동원해 쉴 새 없이 농토를 뒤집는 대규모 기업농들과 토양침식, 사막화 등 잘못된 토지이용이 수천 년 간 땅속 깊이 묻혀 있던 탄소들을 아주 빠른 속도로 공기 중으로 배출시켜 온실가스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를 뒤집어 생각해보면, 만일 농업의 토양관리 방식이 바뀐다면, 탄소배출을 줄이고 작물이 잘 자라게 해 이산화탄소를 잡아 올 수 있다는 말이 된다. 그래서 지난 2015년 파리 기후 협약에서는 프랑스 주도로 전 세계 토양의 탄소저장능력을 늘리기 위한 "4/1000" 국제이니셔티브가 출범했다. 토양 내 탄소축적량을 매년 4/1000, 즉 0.4%씩만 늘려도 이산화탄소 증가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거다.

"농업은 기후변화에 맞서 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인간의 활동은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방출해 기후변화를 가속화하지만, 매년 이산화탄소의 30%는 광합성을 통해 식물이 흡수하고, 식물이 죽고 분해되면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지렁이와 같은 토양의 살아 있는 유기체가 그들을 탄소가 풍부한 유기물로 변형시킵니다. 지구 토양은 대기보다 2~3배 많은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 탄소 수준이 매년 0.4% 증가하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가 크게 줄어듭니다."("4 PER 1000" 국제 이니셔티브 누리집에 나와 있는 출범취지 중)
 
"4 PER 1000" 국제 이니셔티브의 홍보포스터
 "4 PER 1000" 국제 이니셔티브의 홍보포스터
ⓒ 4 PER 1000

관련사진보기

 
탄소를 많이 보유한 토양은 기후위기 대응에만 도움되는 게 아니다. 캘리포니아 농민들이 겪고 있는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되고 있다.

토양을 살려 가뭄을 극복하는 아몬드 농장

캘리포니아주 머데스토의 한 아몬드 농장, 한겨울인 12월에도 아몬드 나무 밑에는 풀들이 초록색 카펫처럼 깔려 있다. 농민이 심어놓은 겨자나무와 클로버가 흙을 푸르게 뒤덮은 것이다. 흔한 풍경은 아니다. 대부분의 아몬드 농장은 제초제를 뿌려 아몬드 나무 밑의 풀들을 깨끗이 제거한다. 아몬드 열매를 땅에 떨어뜨려 수확해야 하는데 풀이 무성하면 작업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농장의 주인은 오히려 겨자나무와 클로버를 아몬드 나무 아래 심고 있다. '이봐, 우리는 잡초농사가 아닌 아몬드 농사를 짓는 거야'라는 이웃 농가들의 핀잔을 들으면서도 말이다. 이유가 있었다. 흙을 살려 가뭄을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토양살리기 재생농업을 위해 나무 밑에 풀을 심어 관리하고있는 캘리포니아의 한 아몬드 농장
 토양살리기 재생농업을 위해 나무 밑에 풀을 심어 관리하고있는 캘리포니아의 한 아몬드 농장
ⓒ 캘리포니아주립대 치코 재생농업 치유센터

관련사진보기


"우린 물이 없었습니다. 그 경험은 사물을 달리 보게 했어요." (호세 로블레스)
     
농장주인 호세 로블레스씨는 NPR과의 인터뷰에서 극심한 가뭄으로 나무에 줄 물의 양의 줄여가던 중 발상의 전환을 했다고 말했다. 가만히 보니 유기물이 많은 건강한 토양일수록 땅 속에 더 많은 수분을 보유하더라는 것이다. 실제로 탄소가 많이 함유된 토양은 수분을 많이 보유하고 질소나 인 같은 비료 성분들이 하천으로 흘러내려 가지 못 하도록 땅속에 잡아두기도 한다.

그래서 그는 나무 밑에 식물을 심었다. 의도적으로 심은 식물은 '잡초'가 아니라 토양을 덮어 탄소배출을 막는 '피복 작물'이었다. 물론 풀이 너무 웃자라지 않도록 수시로 깎아주고 퇴비를 뿌려주는 등 전보다 훨씬 손이 많이 가지만 그는 이미 확실한 차이를 확인했다고 한다.

"아몬드 나무가 수분을 더 오래 보유하니까, 스트레스를 덜 받아요."

로블레스씨 역시 캘리포니아주가 운영하는 '건강 토양 프로그램'으로부터 2만1000달러(약 2300만 원)의 보조금을 받고 있다. 이 많은 보조금은 어디에서 나올까?

탄소배출권 거래수익 400억 원을 토양 살리기에 투입

캘리포니아주는 2만5000에이커(약 3000만 평)에 달하는 농지에 '건강한 토양 프로그램'을 적용해 지원하고 있다. 지원금액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간 405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47억 원 규모이다. 매년 백억 원 넘게 토양 살리기에 투입한 셈이다.

놀라운 것은 이 돈이 주 정부 예산이 아니라,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에서 나오는 수익금이라는 것이다. 수십억 달러 규모의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운영되는 캘리포니아는 여기서 나오는 수익을 다시 기후변화대응에 재투자하는 '캘리포니아 기후투자'(CCI)라는 공공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활동이나 사회적 약자들의 생활환경개선 등에 탄소수익금을 재투자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토양 살리기를 벌이는 것이다.

"토양은 변화하는 기후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돕는 힘이 있습니다. 토양은 식물과 미생물의 도움을 받아 대기 중 온실가스를 포집하고 이를 땅속에 저장시킵니다. 대기와 토질 모두 좋아지는 거죠." (캐런 로스 캘리포니아 농식품부 장관)

캐런 로스 캘리포니아 농식품부 장관은 농업이 캘리포니아주의 기후 목표를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퇴비사용에 대한 농장 간의 워크숍을 지원하고, '건강 토양 주간'을 운영하며 매년 연방 정부-주정부 관련 기관 간의 토양 살리기 성과 공유와 확산을 꾀한다. 미국의 공영라디오 NPR은 최근 캘리포니아의 기후대응 신무기는 '토양'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주 건강토양 프로그램 누리집
 캘리포니아주 건강토양 프로그램 누리집
ⓒ 웹사이트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우리도 토양 살리는 '탄소 농사' 지원할 때

캘리포니아주의 사례는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 특히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수익금을 활용해 적극적인 토양살리기에 나선 점은 중앙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눈여겨볼 대목이다.

토양학자인 최우정 전남대 교수(기후변화대응농생명연구소장)는 우리나라 토양은 유기물이 부족해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며, 농정 당국의 과감한 정책 전환이 뒷받침된다면 우리 농업이 2050년 탄소중립을 이루는데 매우 효과적인 무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논을 예로 들면, 쌀 수확이 끝난 뒤 논에 볏짚이 남아 있잖아요. 이걸 소 사료로 주면 탄소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이지만 다시 토양으로 되돌리면 토양 유기물이 돼서 식물이 잘 자라고 식물은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잡아 올 수 있죠. 이게 '탄소 격리' 개념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토양은 유기물 함량이 낮아서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농업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은 재해보상 등 사실상 피해 보상 중심으로 수동적인 면이 있는데, 농민들이 토양에 탄소를 저장해 소득을 얻는 '탄소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조금 더 과감한 정책적 전환이 필요합니다." (최우정 교수)


우리 농사속담 중에 '중농은 작물을 가꾸고 상농은 흙을 가꾼다'는 말이 있다. 아무리 날씨나 기술이 좋아도 땅심을 높이지 않고는 풍년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날씨마저 기대할 수 없어진 지금, 토양을 잘 가꿔 탄소 농사를 짓는 '상농'들이 식량 위기를 극복하고 지구를 구할 것이다. 농정당국의 과감한 '토양 살리기' 정책을 기대해본다.


[참고자료]

- Valerie Payn, 'Why your life depends on healthy soil' (Greentimes, 2016.5.9)
www.thegreentimes.co.za

- Eric Asimov, 'In Napa Valley, Winemakers Fight Climate Change on All Fronts' (New York Times, 2020.2.27.)

- Jelisa Castrodale, 'California's Glass Fire Has Destroyed At Least 19 Napa Valley Vineyards, Wineries, and Restaurants' (Food&Wine 뉴스, 2020.10.2)
www.foodandwine.com

- Chris Struck, 'WWC20 - Matthiasson, Napa Valley' (와인전문블로그 사이트 'Jancis Robinson', 2020.9.16.)

- 매티아슨 와이너리 누리집 (www.matthiasson.com)

- 캘리포니아 기후&농업 네트워크 누리집 (www.calclimateag.org)

- Alayna DeMartini, 'Rattan Lal: Our Soils Rock Star' (오하이오 주립대학 농식품환경대학 CFAES 누리집, 2018.6.6)

- Judith D. Schwartz, 'Soil as Carbon Storehouse: New Weapon in Climate Fight?' (예일대학 환경스쿨 발간 'Yale Environment 360' 누리집, 2014.3.4)

- Rattan Lal, et al. 'Soil Carbon Sequestration Impacts on Global Climate Change and Food Security' (Science 304 : 1623-1627, 2004.7)

- 김동엽, 이창환, '토양탄소의 저장과 지구온난화 방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Tech-Issue Emerging S&T Report, 2005.12)

- Dan Charles, 'A Prophet Of Soil Gets His Moment Of Fame' (미국 공영라디오 NPR 뉴스, 2020.8.11)

- "4 PER 1000" 국제이니셔티브 누리집 (www.4p1000.org)

- Lauren Sommer/KQED, 'California's Latest Weapon Against Climate Change is Low-Tech Farm Soil' (미국 공영라디오 NPR 뉴스, 2019.5.2.)

- 캘리포니아 농식품부 누리집 중 '건강한 토양 프로그램' (Healthy Soils Program)

- 캘리포니아 기후 투자 누리집 (calclimateinvestments.ca.gov)

 

태그:#기후변화, #기후위기, #토양, #농업, #탄소
댓글5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1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FM 99.9 OBS 라디오에서 기후 프로그램 만들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