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부산 온천천 아기두꺼비 대이동 시작됐지만, 또 로드킬 부산 온천천 연못의 아기 두꺼비들이 올해도 대이동에 나섰다. 그러나 또 다시 땅으로 발걸음을 내딛자마자 밟혀 죽기 시작했다.
ⓒ 이주영

관련영상보기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온천천 두꺼비를 보호해주세요"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와, 여기도 있어요."
"'폴짝폴짝'이 아니라 걷는 모습은 처음 봐요."

비가 내린 지난 1일 부산 도심 하천인 온천천의 생태연못을 찾은 시민들로부터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온천천을 지나다 아이들과 연못에서 발걸음을 멈춘 김아무개(35)씨는 "어떻게 두꺼비가 온천천에 있는지 신기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반가운 감정은 이내 탄식으로 변했다. 온천천에서 산란한 아기(새끼) 두꺼비 중 일부가 전날 밤부터 이동을 시작했지만, 대거 '로드킬'을 당했기 때문이다. 연못 둘레 자전거 도로에는 밟혀 죽은 아기 두꺼비가 곳곳에 즐비했다. 숫자는 566마리. 말라죽은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압사당한 흔적이었다. 죽은 개체 옆으로 다른 아기 두꺼비가 안간힘을 다하며 이동하는 모습에 시민들은 안타까운 표정을 지었다.

'로드킬' 동료 사이로 이동하는 새끼 두꺼비들

온천천 연못의 두꺼비들은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대이동에 나섰다. 봄이 돼 겨울잠을 깨자마자 이 연못으로 몰려든 성체 두꺼비들이 지난 2월 대거 알을 낳았다. 짝짓기를 마친 암컷 두꺼비는 마리당 보통 수천 개 이상 알을 산란한다. 환경단체인 온천천네트워크와 생명그물의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 10여 마리 이상의 성체 두꺼비가 온천천에서 관측됐다.

[관련기사] 
[영상] 부산 온천천 아기 두꺼비들의 목숨 건 대이동 http://omn.kr/1nn6l

알에서 태어난 두꺼비 유생(올챙이)이 뭍으로 이동하기 위한 변화의 시간은 60여 일 정도다. 뒷다리와 앞다리가 나고, 꼬리가 없어지면 아기 두꺼비들은 물을 나와 꼬물꼬물 흙을 밟기 시작한다. 크기는 엄지손가락 손톱만 한 1cm. 아가미가 아닌 피부와 폐로 숨을 쉬게 되면서 본능적으로 비가 오면 산을 향해 이동한다.

양서류는 환경변화에 민감한 종이다. 이러한 특성에 계곡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청개구리 등 양서류 3종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지정돼 있다. 기후에 가장 민감한 종인 양서류가 사라진다는 것은 사람이 사는 공간의 환경변화를 의미한다. 이른바 자연의 경고등인 셈이다. 하지만, 여러 부산 도심 하천에서 두꺼비를 보기는 쉽지 않다. 두꺼비와 도시의 공존은 온천천의 건강성을 확인하는 잣대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부산 온천천 연못에서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다리와 꼬리가 없어지자마자 비가오면 산을 향하는 두꺼비들은 연못의 높은 축석에 막혀 제대로 나아가지 못했다.
▲ "온천천 두꺼비를 보호해주세요"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부산 온천천 연못에서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다리와 꼬리가 없어지자마자 비가오면 산을 향하는 두꺼비들은 연못의 높은 축석에 막혀 제대로 나아가지 못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죽은 동료들 사이를 비집고 뭍으로 가는 새끼 두꺼비.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온천천 두꺼비를 보호해주세요" 죽은 동료들 사이를 비집고 뭍으로 가는 새끼 두꺼비.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이런 중요성에도 온천천 아기 두꺼비의 여정은 순탄치 않다. 땅으로 발걸음을 내딛자마자 밟혀 죽기 시작했고, 연못에는 생태교란종인 황소개구리와 반수생 미국 거북인 리버쿠터까지 발견됐다. 생태교란종인 이들은 아기 두꺼비에게 위협적인 존재다. 특히 붉은귀거북과 비슷한 리버쿠터는 주인이 키우다 고의로 온천천에 방류했을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지난해 보행로 개선 공사에서 생태연못의 구조까지 달라졌다. 연못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이 높아져 두꺼비의 이동을 막고 있다. <오마이뉴스> 카메라에도 돌에 막혀 연못을 넘어가지 못한 아기 두꺼비들의 모습이 포착됐다. 현장에서 두꺼비 보호 활동을 펼치고 있던 이지영 온천천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연못가의 돌을 왜 이렇게 배치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들은 온천천 두꺼비들을 보호하기 위한 더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환경단체의 요청에 호응한 연제구 온천천관리사무소는 지난해부터 울타리를 치고, 간이 이동 통로를 만들었다. 그러나 출입을 막는 펜스가 늦어지면서 올해 또 1차 로드킬이 발생했다. 이지영 사무국장은 "지난해보다 열흘 정도 이동이 빠르다"면서 "도시와 공존하는 두꺼비를 부산시와 연제구에서 이들을 보호할 방법을 더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연못에서 산란을 거쳐 뭍으로 이동하는 부산 온천천 아기 두꺼비들의 목적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새끼 두꺼비들이 태어난 연못과 인근 산과는 거리가 제법 떨어져 있고, 온천천을 벗어나면 바로 차로와 이어진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는 두꺼비들이 하천의 화단과 인근 풀숲을 찾아 숨어지내다 봄이 되면 다시 연못으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온천천 두꺼비를 보호해주세요"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붉은 원은 연못 옆 온천천 자전거 도로에 죽은 두꺼비의 모습.
▲ "온천천 두꺼비를 보호해주세요"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붉은 원은 연못 옆 온천천 자전거 도로에 죽은 두꺼비의 모습.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온천천 두꺼비를 보호해주세요" 부산 온천천에 반가운 손님이 다시 찾아왔다. 생태변화에 민감한 양서류인 두꺼비가 산란을 마쳤고, 꼬리까지 없어진 새끼 두꺼비가 1일 대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500여 마리 이상이 로드킬을 당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태그:#온천천, #부산 도심하천, #새끼 두꺼비, #생물지표종, #양서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