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상영작인 <일렉트로니카 퀸즈 - 전자음악의 여성 선구자들>의 한 장면.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상영작인 <일렉트로니카 퀸즈 - 전자음악의 여성 선구자들>의 한 장면.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올해로 23회째인 서울국제여성영화제(아라 SIWFF)의 슬로건은 '돌보다, 돌아보다'이다. 사회적 편견, 유리천장에 맞서 최근까지 행동해 온 서로를 보듬고 주변 약자를 생각해보자는 취지일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임에도 많은 영화들이 초청돼 상영 중인 가운데 유독 최초, 시초라는 키워드가 눈에 띈다.

지난 27일 진행된 영화제의 첫 심야 행사 '선셋시네마' 상영작은 호주 여성 감독 폴렛 맥도나의 <더 치터스>였다. 더불어 앞서 오후에 상영됐던 여러 영화 중 <일렉트로니카 퀸즈- 전자음악의 여성 선구자들> 또한 평일 오후 시간대임에도 오픈된 좌석의 3분의 2 이상이 들어찰 정도로 성황이었다.

악기 대신 전선과 전자 기기를 들다

리사 로브너 감독의 <일렉트로니카 퀸즈- 전자음악의 여성 선구자들>는 단연 전자음악 마니아들에게도 잘 알려진 최초 여성 음악가를 조명한다. 다프네 오람, 로리 스피겔, 베베 바론 등 흔히 지금의 EDM(Electronic Dance Music) 시초 격이라 할 수 있는 음악을 십 수 년에 걸친 연구 끝에 만들어내고 새로운 전자악기를 조합해낸 주인공들이다.

1900년대 이전까지 주류 음악으로 추앙받던 클래식이 사실상 남성들의 전유물이었고, 작곡 및 연주 또한 남성 중심으로 재편되기 마련이었다. 아무리 재능 있고, 감수성이 뛰어나도 여성이기에 살림과 육아를 도맡았던 여성들은 클래식 음악계에 발을 들이기 어려웠는데 1900년대 중반 세계 대전과 산업 혁명이 가속화되며 상황이 급반전된다. 영화는 바로 이 지점을 짚으며 순식간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여성 전자음악가들을 소개하기 시작한다.

흑백의 자료 화면과 인터뷰, 여기에 각 음악가들이 만들어 온 음악을 배경으로 깔면서 영화가 진행된다. 난해한 곡 구성으로 동시대엔 인정받지 못했던 사람도 있었고, 델리아 더비셔 등 TV 드라마 OST와 영화 음악을 해오며 능력을 인정받은 사례도 등장한다. 대중의 관심과 업계의 인정 유무와는 별개로 고전적 악기가 아닌 전자기기와 전선을 들고 이리저리 연결하는 여성 음악가들의 모습은 가히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상영작인 <일렉트로니카 퀸즈 - 전자음악의 여성 선구자들>의 한 장면.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상영작인 <일렉트로니카 퀸즈 - 전자음악의 여성 선구자들>의 한 장면.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최근까지 국내에서도 불고 있는 EDM 열풍에 몇몇 이들은 대중적이면서도 흥겨운 박자와 멜로디를 쉽게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그 역사를 파고 들어가면 EDM은 주류 음악계에 나름 충격파를 던지며 혁신과 해체를 꾀해 온 투쟁의 의미를 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싼 돈을 들이거나 권력자에 아부하지 않아도 음악에 대한 열정과 기기에 대한 지식만 갖추면 자신만의 노래를 만들 수 있는 EDM의 매력을 그 여성들은 일찌감치 알아챘을 것이다. EDM 등장 초기 이런 여성을 향해 마녀라고 칭한 것도 그래서 어쩌면 무리는 아니었을 것이다. 

호주 최초의 여성 영화인들

<더 치터스>는 약 90분 분량의 무성 장편 영화라는 점에서 일단 그 희소성이 크다. 게다가 여성 감독의 작품이라니. 1920년대 등장해 호주 영화 역사와 산업에 한 획을 그은 맥도나 자매들이 주축이 된 영화다. 연출과 제작에 자질을 보인 막내 폴렛을 비롯해, 미술과 무대를 도맡아 온 둘째 필리스, 그리고 배우로 활동한 이자벨까지. 

이 세 자매가 호주 영화 역사의 산증인이었다. 물려받은 유산을 탕진하고, 끼니까지 굶어 가며 영화 만들기를 주저하지 않은 세 사람은 훗날 호주 영화는 물론이고 제3세계 여성 영화인의 족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호주를 대표하는 최초의 여성 감독, 영화인이라는 점에서 현재까지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한다.

이들이 남긴 여러 작품 중 <더 치터스>는 사적 복수와 엇갈린 남녀의 사랑을 소재로 한 멜로 장르 영화다. 동시기에 큰 인기를 구가한 찰리 채플린 영화보다도 호주에선 관심도가 높았고, 무성 영화 시대 끝자락에서 공연과 음악, 영화의 결합이라는 복합 문화 체험의 역사라는 점에서 현재의 영화팬들에게도 관심을 끌 만하다.
 
 지난 28일 저녁 진행된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선셋시네마 현장.

지난 28일 저녁 진행된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선셋시네마 현장. ⓒ 이선필

 
선셋시네마에선 뮤지션 이주영의 라이브 공연과 함께 상영이 진행됐다. 무성 영화 특성상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함께였기에 1930년대의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었다. 현장에서 이주영은 키보드와 기타, 심벌 등을 이용해 각 시퀀스와 장면의 감정을 고조시키고, 풍부하게 전달하려 했다. 

공개된 <더 치터스>는 세월의 흔적, 보관상 문제 등으로 일부 장면의 색감이 고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생동감 있는 음악 덕에 극 중 폴라(이자벨 맥도나)의 다층적인 감정이 무리 없이 전달될 수 있었다. 영화는 과거 상사에게 억울하게 해고된 남성이 자신의 딸 폴라를 이용해 수십년에 걸친 복수를 시도한다는 내용이다.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오는 1일까지 이어진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더 치터스 일렉트로니카 퀸즈 EDM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