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의 중심과 바닥에는 노동이 있다.
▲ 노동을 둘러싼 사회의 모습들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의 중심과 바닥에는 노동이 있다.
ⓒ 장윤호

관련사진보기

 
입시의 시간이 왔다. 고등학교 3학년 담임들은 수시 원서를 내는 학생들과 하루 종일 면담을 하고 있다. 학생이 작성해온 자소서(자기소개서)를 같이 훑어보며 수정하고, 그도 부족하면 국어 선생님을 찾아가 문장을 다듬는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3학년 부장은 각반에서 요청하는 부탁과 질문, 그리고 학생의 상담으로 눈코 뜰 새가 없다. 게다가 학부모의 민원과 상담까지 더해지기도 하다보니, 옆에서 보기에 안쓰러울 때도 있다. 

입시는 언제나 핫이슈이다. 최근에는 정시와 수시의 비율로 논쟁이기도 하다. 정시의 비율을 더 확대하는 것이 더 공정하다고 주장을 하기도 하고, 수시가 더 공정하다고 주장을 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 혁신학교를 추진하던 일부 학교에서 각종 이유를 대며 반대하는 바람에 혁신학교 추진을 포기해야만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교육을 바꿔보고자 하는 몸부림이 입시라는 거대한 벽을 넘지 못하고 좌절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를 지켜보다보면, '뭘해도 안돼. 결국 수능을 넘을 수가 없어'라고 자조 섞인 말이 절로 나오고기도 한다. 

산술적으로는 이제 대학 입학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이미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미달이 나는 경우도 흔해졌고, 벚꽃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수도권에 있는 일부 대학들의 입시 경쟁은 더욱 치열하기만 하다.

교육당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갖은 고민과 노력을 한다고 하지만, 해결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왜 해결이 안될까? 아주 중요한 것을 빠뜨렸기 때문이다. 바로 '노동'을 빠뜨렸다. '입시'하고 '노동'! 전혀 관련이 없을 것 같은데 왜 입시에서 노동이 중요할까?

입시는 서열화이다. 입시가 치열한 것은 상위권에 있는 주요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것이다. 그 대학들의 서열화가 너무 공고해졌다. 수능과 입시 뒤에는 대학의 서열화가 있다. 대학의 서열화가 더욱 공고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이 인정을 하든 하지 않든 누구나 아는 것은 그 서열의 앞 쪽에 있는 대학을 나와야 우리 사회에서 인정을 받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유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 문제이다. 대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직할 가능성이 어디가 더 높을까? 노동환경이 더 좋고, 임금이 더 높은 곳에 취직할 가능성이 어디가 더 높은지를 사람들은 잘 알고 있다. 그러니 그 대학들을 선호하고는 것이고 경쟁률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생각을 달리해보자.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을 없애고, 남녀간의 차별을 없애고, 노동환경의 차별을 없애고, 5인 미만 사업장의 노동환경을 강화하고, 소위 4대보험의 차별적 적용을 없애고, 사회보장제도를 비롯한 각종 제도에서의 차별을 없앤다면 대학의 서열화가 지금처럼 기승을 부릴까? 좀 더 이야기해보자. 지금처럼 대졸자와 고졸자를 차별하지 않는다면, 그래서 고등학교만 졸업하고도 사회생활을 하는데 힘들지 않고, 결혼해서 한 가정을 꾸리고 자식들을 키우며 그럭저럭 살아갈 수 있도록 노동조건이 이루어져 있다면 굳이 대학에 가기위해 학생들이 목숨을 걸까?

이것이 헛된 망상일까? 우리 부모세대들은 아니 필자와 같은 세대에도 대학 진학율이 지금처럼 높지 않았다. 고졸이 대졸보다 훨씬 많았고, 외벌이만으로도 가정을 꾸리고 살아갈 수가 있었다. 입시가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고용 구조와 노동환경이 더 근본적인 문제라는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지 않는한 입시 경쟁은 결코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노동은 교육과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마을과도 관련이 있다. 지방은 인구 감소로 몸살을 앓고 있다. 어찌보면 당연하다. 지역에 있던 일자리가 줄어들고 일부 지역으로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지역에서 태어나서 그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고, 그 지역에서 일을 하며 살아가는 구조가 깨졌다. 대학을 진학하는 때부터, 아니 고등학교 진학부터 타지로 나가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렇게 마을과 지역을 떠난 사람들은 다시 그 지역으로 돌아오지 못한다. 그 중요 이유도 결국 일자리이다. 그리고 임금을 비롯한 노동환경의 열악함 때문이다.

노동은 우리가 살아가며 마주치게 되는 각종 현상들과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노동이라는 안경을 끼고 바라보아야만 문제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기도 하다. 노동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노동의 관점에서 교육을 바라보고, 노동의 관점에서 마을을 바라보고, 노동의 관점에서 사회를 바라본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조금은 더 좋아질 것이다.
 

태그:#노동교육, #노동인권, #노동인권교육, #교육과정 개정, #노동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