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붉가시나무, 비밀병기 대장군전을 만들다 

"진격하라! 한 치도 물러서지 말라!", "발포하라!" 사극 불멸의 이순신에서 조선 수군이 왜군 함대를 명중시키면서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극 중에서 조선 수군이 발사한 대장군전이 왜군 함선에 날아들자 혼비백산 흩어지는 모습이 통쾌하다. 

왜군의 장계에 '조선군은 통나무를 뽑아 대포에 넣어 쏜다'든지, '조선군이 쏘는 화살은 통나무만 하다'는 내용을 볼 때 적을 기선 제압하려고 사용했을 것. 대장군전은 조선시대 개발한 천자총통용 화살이자 포탄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자총통은 명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16세기 이전부터 고안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화살촉 모양의 철혹이 있고 세 개의 날개를 부착한 형태로 재질은 철재와 목재의 혼합. 무게가 56근(33.6kg)이고, 사정거리는 900보(1.4km)라고 병기 도감 화포식언해에 기록됐다. 임진왜란 때는 소형화되어 지자총통에도 사용하면서 장군전(將軍箭) 등 맞춤형이 생산되었다고.

대장군전은 탄자 형태로 관통력을 지니고 있어서 천자총통의 화포로도 충분한 거리를 날아 적함에 구멍을 뚫어 무력화하는, 그야말로 막강 해전을 목적으로 만들었다. 

소형선을 타고 접선 후 백병전을 기본으로 하는 왜군에게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겠지만, 긴 사정거리와 파괴력은 왜군 대장선을 종잇장처럼 찢어 침몰시켜 심리적 압박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실제로 일본에는 대장군전의 실물이 하나 남아있는데, 안골포해전 당시 구키 요시타카가 전투 도중 함선에 박힌 것을 챙겨 갔던 것. 

구키 요시타카가 이끌던 함선은 모두 격침되어 패잔병은 육로로 도주했다.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한 왜군은 왜 이런 굴욕을 당했는지 설명하기 위해 본국에 가져간 것. 구키 가문에선 "격침당한 기함에서 건져왔다"는 말은 차마 못 하고, 1593년 부산해전에서 노획했다고만 적어놨다.

그때의 실물이 지난 2017년 국립진주박물관의 정유재란 7갑자(420년) 기념 전시회에 구키 가문의 협조를 받아 국내에 전시했다. 그런데, 대장군전 몸통 중간에는 '가리포 상 김등 조'(加里浦 上 金等 造)라는 글씨가 적혀 있었다. 가리포는 전남 완도에 설치됐던 수군 첨절제사진(僉節制使鎭)이 있던 곳. 대장군전은 가리포 사람 김씨가 만들어 진상한 것으로 추측한다.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대장군전은 바로 상왕산 붉가시나무로 만든 것이다. 이것을 보고 해군사관학교에서 재현해 만든 대장군전이 400m 거리에서 화강암 틈새를 파고들어 80cm나 뚫었다고 한다. 이 정도 파괴력이면 관통탄이라 불러도 손색 없을 정도다. 

완도수목원 숯가마, 최초 산림문화자산 

상왕산 붉가시나무는 참숯으로도 이용했다. 청해진 장보고 상단은 품질 좋은 붉가시나무 숯인 백탄을 만들어 당과 무역했다. 완도수목원 2전망대에서 백운봉으로 50m 거리 등산로에는 숯가마 터가 남아있다. 대대로 이어오던 것인데, 1970년대까지 지역주민들이 생계 수단으로 가시나무 숯을 생산해 판매한 흔적이라고 한다.

지난 2015년 전남도는 완도수목원 숯가마 터를 전국 최초로 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했다. 산림의 역사성과 보전 가치를 문화재로 보호받지 못해 방치된 자산을 관리,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해 생태관광 자원화하려는 산림문화자산이 지금 주목받고 있다. 

정조실록 18년(1794년) 12월 25일 위유사 서영보의 별단에 완도에서는 해남 우수영으로 격월로 숯 20석 공납한 기록이 있다. 상왕산 붉가시나무 백탄은 열효율이 높아 쇠를 달구어 무기를 만드는 곳에도 쓰였을 것이다. 

난대림 수종을 이용한 숯 생산은 산림문화자원으로 인정받았다. 숯가마 터가 많은 것은 다른 지역의 낙엽성 참나무와는 달리 완도에서 자생하는 사계절 푸른 붉가시와 종가시 수종은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해 양질의 숯을 생산하기 때문. 가마 입구와 굴뚝이 원형대로 보존된 상태, 선조들의 생산 활동을 파악하는 보존 가치가 높은 자산으로 체계적 관리와 보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기후변화에 떠오른 상왕산 붉가시나무

북극의 눈물, 최후의 툰드라 등 환경 다큐멘터리 방송을 접한 적 있는가. 극 지대 만년설이 지금도 쉬지 않고 녹아내리는 모양새다. 지구 온난화는 진행 중. 지난 20년간 평균 기온이 약 0.3~0.4°C가 올라갔다. 지구는 약간의 기온 변화에도 많은 변화가 생긴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기후변화 해결 방법으로는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 외에 식물의 역할에 의존한다. 산림자원인 숲을 보존해야 할 가장 큰 이유다. 이산화탄소를 나무가 소화하지 않는다면 지구는 어떻게 되었을까?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기후변화 대응에 우수한 수종이 참나무 종류, 그중에서 사계절 내내 광합성을 하는 상록수종으로 붉가시나무가 가장 으뜸이라나? 완도수목원 붉가시나무숲은 1,220㏊ 정도로 국내 최대. 이 정도면 연간 중형자동차 약 3,600대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저장할 수 있다고 한다. 완도의 숲과 바다는 끊임없이 산소를 뿜어내는 그야말로 천혜의 자원이다.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는 붉가시나무 자생 북한지다. 천연기념물 제110 호. 면적 33㎡. 함평읍 기각리는 우리나라 난대성 식물 중 붉가시나무의 자생 북한계 지대로 알려졌다. 이곳에 자생하는 붉가시나무는 지난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110호로 지정했다. 수령이 200년 되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북쪽에서 자생하는 이유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그런데 전북이 북방한계지로 학계에 보고된 붉가시나무가 인천 앞바다 무인도에서도 발견됐다. 

지난 2001년 인천시 옹진군에서 1㎞ 떨어진 무인도 납도에서 붉가시나무 2그루가 발견됐다. 납도에 자생하는 붉가시나무는 수령이 300여 년으로 추정되며, 위도상 최북단에서 자라고 있다. 붉가시나무는 나뭇결이 곱고 색깔이 불그레해 가구나 내장용 목재로 가치가 있는 장래 유망 경제수종이라고.

붉가시나무 활용 가치는 어디까지?

전남산림자원연구소는 지난 2009년 8월 기능성 웰빙식품을 발표했다. 칼슘과 철분이 풍부한 붉가시나무 열매를 이용해 묵을 만드는 제조 기술을 개발한 것. 전남산림자원연구소는 난대지역의 대표 수종인 붉가시나무 열매를 이용해 기능성 '묵'을 개발, 특허 등록을 하는 등 제조 기술을 정립했다. 

도토리묵의 재료인 도토리는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의 열매를 주로 이용했다. 그러나 연구소는 완도수목원 등 난대지역에 분포하는 붉가시나무 열매를 이용해 "완도주민들이 전통 방식으로 묵을 만들어 먹었다"는 말을 듣고 묵 제조법을 정립하게 됐다고. 성분 분석 결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식품이나 다이어트 건강식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입증했다.

붉가시나무엔 가시가 있다? 없다?

얼마나 가시가 많으면 가시나무일까? 그런데, 상왕산 붉가시나무엔 가시가 없다. 사용할 일이 없어 퇴화해 버린 것일까? 완도 호랑가시나무에 있는 가시가 붉가시나무엔 하나도 없다. 붉가시나무는 참나무 종류에 속한 나무란다. 그래서인지 참나무처럼 도토리 열매를 알알이 달고 있다. 

간밤 비바람에 우수수 붉가시나무 열매가 떨어져 바닥에 가득하다. 가지도 나뒹군다. 떨어진 가지마다 도토리 열매가 풍성하다. 잎사귀도 푸릇푸릇. 상왕산 붉가시나무는 참나무이면서도 가시나무다. 배고픔을 '가시게 했다'고 붙여진 이름이란다. 관음사 터 오르는 길에서 오래된 붉가시나무 군락을 만났다. 빽빽한 상록수림을 지나고 나자 요새처럼 눈앞에 나타난 관음사 터에는 우람한 바위가 신령스럽다. 샘물도 맑다.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옛터 풀 섶에 살며시 드러난 맷돌이 인상적이다. 붉가시나무에서 떨어진 도토리를 모아다가 저기 보이는 맷돌을 쉬지 않고 돌려서 묵을 만들었을까? 그래서 백성들의 '배고픔을 가시게' 했을까? 관음암 터 바윗돌에 단단히 박혀서 고목이 된 붉가시나무에는 지나간 세월이 오롯이 배어있다.

 정지승/다큐사진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완도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완도신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완도신문은 1990년 9월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고, 참 언론을 갈망하는 군민들의 뜻을 모아 창간했다. “진리는 반드시 따르는 자가 있고 정의는 반드시 이루는 날이 있다”는 사훈을 창간정신으로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언론의 길을 걷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