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운악산 중턱에 자리잡은 현등사는 주변 산세는 물론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가평을 대표하는 고찰로 유명하다.
▲ 운악산 중턱에 자리잡은 현등사의 전경 운악산 중턱에 자리잡은 현등사는 주변 산세는 물론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가평을 대표하는 고찰로 유명하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가평은 경기도의 알프스라 불릴 정도로 1000미터급의 고봉들이 연달아 이어져 있다.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산인 화악산(1468m)은 물론 두 번째로 높은 명지산(1267m)도 가평에 있다. 명지산은 산세가 크고 웅장하며 계곡이 깊어 가히 장관을 이룬다. 특히 가을에 찾으면 산 전체에 피어있는 단풍과 기암괴석의 조화가 특히 훌륭하며 명지폭포와 용소 등 절경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그 옆에 자리한 연인산(1068m)만큼 연인들의 사랑을 재확인할만한 명산은 없을 것이다. 연인산의 초입엔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며 아홉굽이의 그림 같은 경치를 수놓았다는 데서 유래한 용추구곡이 있다. 그밖에도 산 정상부에 양수식 발전소의 상부저수지가 건설되어 이색적인 풍경을 자아내는 호명산(535m), 자연휴양림은 물론 기암괴석의 계곡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유명산(862m)도 결코 빼놓을 수 없는 명산이다.     

가평 답사의 참맛은 이런 명산들을 차례차례 등반해야만 느낄 수 있다. 허나 이러한 산들에서는 현재 남아있는 인문학, 역사적인 자취가 다소 희미하다. 경기도의 수많은 다른 고장에 비해 아름다운 자연경관만큼이나 역사적인 유적이 부족하다는 것은 아쉽기 그지없다. 

'천년고찰' 현등사가 있는 운악산

하지만 운악산 현등사가 가평에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빈약한 가평의 역사와 문화를 채워주기에 충분하다. 신라 법흥왕 27년(527)에 불교를 공인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인도에서 불법을 전하러 온 마라가미 스님을 위해 왕이 직접 지어준 사찰로, 신라 말 도선국사가 다시 중창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는 천년고찰이라 할 수 있다.     

그 현등사에 가기 위해서는 이 절이 위치한 운악산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한다. 운악산은 포천과 경계를 맞닿고 있으며 화악산, 명지산 보다 높이는 낮지만(936m) 바위와 암릉지대가 많아 경기 5악의 하나로 손꼽힌다. 운악산에서 시작하는 조종천은 굽이굽이 계곡을 만들면서 청평으로 내려와 북한강으로 합류한다.

일교차가 크고 서늘한 가평의 기후로 인해 포도, 사과 농사가 발달했는데 특히 운악산이 위치한 조종면 일대에 집중적으로 농장이 분포되어 있다. 운악산으로 들어가는 길에는 일명 비가림 포도라고 불리는 포도를 파는 매대는 물론 나지막한 높이의 사과나무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하지만 벌써부터 뼈를 깎은 듯한 운악산의 기골찬 산세가 우리를 서둘러 오라고 유혹하고 있다.      
 
운악산으로 들어가는 초입에는 두부마을이 있다. 그곳에서 파는 두부전골은 등산객들의 출출한 배를 달래준다.
▲ 운악산 초입의 두부마을 운악산으로 들어가는 초입에는 두부마을이 있다. 그곳에서 파는 두부전골은 등산객들의 출출한 배를 달래준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운악산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현등사로 올라가는 초입에는 두부요리를 파는 가게들이 집중적으로 모여있다. 비가 온 이후 갑자기 날씨가 무척 쌀쌀해졌고, 바람도 꽤 매섭기에 뜨끈한 국물로 몸을 좀 녹이고 출발했다. 그중 꽤 사람들이 모여 있는 한 가게에 들어가 두부전골과 감자전을 시켰다. 과연 산에서 먹은 두부는 일반 두부에 비해 식감이 무척 훌륭했다.

이제 운악산 두부마을을 지나 현등사의 일주문을 시작으로 이 일대의 답사를 시작했다. 운악산 현등사는 등산로에서 2km 정도를 올라가야 볼 수 있기에 가는 과정이 만만치 않다. 그러나 운악산의 수려한 경치는 물론이요, 수많은 설화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천년 고찰이 있기에 1시간 반가량의 긴 산책길을 걸어서 올라간다.  
   
아직 본격적인 단풍철이 시작되지 않았지만 계곡을 따라 단풍잎들이 조금씩 붉은빛으로 물들고 있었다. '조금만 더 늦게 올걸' 하는 후회도 있었지만 고개를 들면 경기도의 최고 명산이라 할 만한 운악의 자태가 눈에 아른거리고 밑을 바라보면 폭포가 연달아 이어지는 계곡을 만끽할 수 있다.

다만 등산로에서 계곡 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그 자태를 온전히 만끽하기 어려운 점이 다소 아쉽긴 하다. 백년 폭포와 무우 폭포는 운악산에 흐르는 폭포 중 가장 명성이 높아 조선시대부터 수많은 문인들이 이곳을 찾았다고 전해진다. 그 인물들 중 근현대사의 거목인 민영환이라는 이름이 있어 나의 이목을 끌게 되었다.
  
민영환은 이곳을 자주 찾아 울적한 심사를 달랬다고 전해진다. 민영환이 자결한 이후 그의 뜻을 기리기 위해 바위에 민영환이라는 글씨를 새겼다.
▲ 민영환 바위 민영환은 이곳을 자주 찾아 울적한 심사를 달랬다고 전해진다. 민영환이 자결한 이후 그의 뜻을 기리기 위해 바위에 민영환이라는 글씨를 새겼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앞서 지나간 현등사의 입구에는 3개의 비석이 제단 위에 서있었는데 일제의 무단 침략에 항거하다 자결한 조병세, 최익현, 민영환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단인 삼충단이라고 한다. 조병세, 민영환 선생은 을사늑약이 체결되고 나라의 국운이 흔들리자 자결하셨고, 최익현 선생은 의병을 일으켜 적극 투쟁하다가 대마도에서 순국하신 인물이다.

다른 인물은 이곳과 큰 관련은 없으나 민영환 선생의 흔적은 운악산과 현등사 전체에 남아있었다. 폭포에서 산을 조금 더 오르다 보면 폭포가 흐르는 거대한 너럭바위를 볼 수 있는데 이 바위를 일컫어 민영환 바위라고 한다.

민영환 선생은 평소 근심과 걱정이 있을 때마다 이곳을 찾아 나라를 걱정하며 탄식을 했다고 전해진다. 결국 민영환 선생은 자결을 선택했고, 이에 1906년 내지 부지사 나세환 등 12명이 이 바위를 찾아와 閔泳煥(민영환)이란 글자를 세기 고는 그 정신을 기렸다고 전해진다.   
   
민영환 바위를 지나 108계단을 오르면 드디어 현등사의 경내에 들어오게 된다. 그 입구에서 기단부가 없이 탑만 올라가 있는 다소 기묘한 모양의 3층 석탑을 만나게 된다. 현등사 지진 탑이라고 불리는 이 탑은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이 경내의 지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건립했다고 전해진다.

겉으로 봐선 아무렇게나 쌓은 듯 하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부처 모양의 부조도 새겨져 있고 비례와 균형이 정밀해 보인다. 개성이 넘쳤던 고려시대의 유물의 특성을 마음껏 살필 수 있었다.      
 
현등사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보조국사 지눌이 절의 지기를 다스리기 위해 탑을 세웠다고 전해지는 지진탑이 있다.
▲ 현등사 지진탑 현등사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보조국사 지눌이 절의 지기를 다스리기 위해 탑을 세웠다고 전해지는 지진탑이 있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지진 탑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산 능성이를 따라 길게 펼쳐진 현등사의 자태가 눈앞에 펼쳐진다. ㄷ자 형식의 요사채와 관음전을 위시로 하여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삼층석탑 그리고 각종 전각들이 길게 이어져 있다.

그중 '대선급제사'라는, 절에서 보기 힘든 현판이 걸어져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사연이 있었다. 강릉에 살았던 성씨 총각이 과거를 보기 위해 서울로 오는 도중 현등사에 머물게 되었고, 법당 앞에서 지고 다니던 솥 냄비에 밥을 지었다고 한다.

밥을 먹는 도중 법당의 부처가 계속 아른거리자 밥 한 그릇을 바치고는 "어이 부처 내 밥 먹고 과거에 합격시켜줘"라고 거들먹거리다가 과거에 불합격했고 꿈에 부처가 나와 꾸짖음을 들었다고 한다. 그는 절을 중창시켰고, 절치부심하여 결국 대과에 급제했다. 영조 임금은 그 사연을 듣고는 현등사에 대선급제사라는 현판을 내려주었다.
      
현등사에는 과거급제에 관한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영조임금은 그 사연을 듣고는 친히 대선급제사라는 현판을 내렸다.
▲ 영조임금이 내린 대선급제사 현판 현등사에는 과거급제에 관한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영조임금은 그 사연을 듣고는 친히 대선급제사라는 현판을 내렸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정말 설화 같은 이야기지만 실제로 그 현판은 지금도 걸려 있다. 현등사의 다른 건물들도 볼 만한 장소가 많다. 하지만 주 전각인 극락전은 현재 보수공사 중이다. 현등사에서 계단을 오르면, 부처의 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에 올라 현등사의 그림 같은 전경을 눈앞에서 볼 수 있다.

비록 가평이 역사적인 자취가 부족하다 해도 현등사가 존재하는 한 경기도의 당당한 고장으로 존재할 것이다. 다음 도시는 또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현등사를 마지막으로 가평의 이야기를 마무리 짓는다.

덧붙이는 글 | <우리가모르는경기도 : 경기별곡> 1편이 전국 온라인, 오프라인 서점에서 절찬리 판매중입니다. 다음 브런치, 오마이뉴스에서 연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했고, 사진자료 등을 더욱 추가해서 한번에 보기 편해졌습니다. 경기도 여행은 우리가 모르는 경기도와 함께 합니다.


태그:#경기도, #경기도여행, #가평, #가평여행, #운민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 인문학 전문 여행작가 운민입니다. 현재 각종 여행 유명팟케스트와 한국관광공사 등 언론매체에 글을 기고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경기도 : 경기별곡 1편> <멀고도 가까운 경기도 : 경기별곡2편>, 경기별곡 3편 저자. kbs, mbc, ebs 등 출연 강연, 기고 연락 ugzm@naver.com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