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공자가 제자를 가르치던 중국 곡부의 행단을 본떠 만든 궐리사의 행단이다. 현재 1층은 청소년들을 가르치는 학습관으로 사용되고 2층은 고문서를 보관하고 있다.
▲ 중국 곡부의 행단과 비슷하게 만든 궐리사의 행단 공자가 제자를 가르치던 중국 곡부의 행단을 본떠 만든 궐리사의 행단이다. 현재 1층은 청소년들을 가르치는 학습관으로 사용되고 2층은 고문서를 보관하고 있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공자왈, 맹자왈~ " "공자 가라사대~ " 누구나 한 번쯤 공자라는 인물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혼란스러웠던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나 인(仁)을 설파하기 위해 전국을 주유(周遊)했었다. 하지만 살아남기 위해 부국강병을 우선시한 국가들에게 인(仁)을 설파하기에는 아직 이른 시기였다. 

공자 생전에 그의 사상은 어느 국가에서도 받아 주지 않았지만 수백 년이 흐른 후 한나라가 법가와 도교 대신 유교를 주요 사상으로 채택하면서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주류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부터 들어왔던 유교사상은 시대를 거듭하면서 국가의 주류로 점차 편입되기 시작했다. 유교를 근본 이념으로 채택한 조선시대에 공자의 존재감은 신과 동급이 되면서 그 누구도 감히 비판할 수 없었다.     

그러나 서양 열강들의 침입으로 시작된 혼돈의 근대화를 거치고 난 후 우리에게 공자는 낡고 시대에 뒤처진 인물로 인식하게 되었고, 한동안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이 베스트셀러에 오를 정도로 공자에 대한 논쟁이 한동안 팽배했었다. 오산의 궐동, 주택가 바로 옆에는 우리나라에서 단 두 개뿐인(다른 하나는 논산의 노성 궐리사) 공자를 모신 사당이 있다.

주변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주택가지만 고개를 들어 위쪽을 바라보니 수령이 족히 수백 년은 넘어 보이는 거대한 은행나무와 엄숙해 보이는 한옥 건물이 나의 눈길을 끌었다. 그렇다. 이곳이 바로 오산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궐리사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궐리사로 들어가는 외삼문은 굳게 닫혀 있었다. 다행히 궐리사를 관리하시는 사무처장님의 도움으로 궐리사를 무사히 취재할 수 있었다.     

현재 궐리사의 사무동은 궐리사 권역 내에서 서쪽에 위치한 한옥 건물인 인성 학당 지하 1층에 위치해 있었다. 현재 오산 화성 궐리사는 예절, 유학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인성 학당에서 진행하고 있다. 궐리사는 공자가 살았던 마을인 궐리촌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일반 향교나 서원 등에서는 공자의 위폐를 모시는 데 반해 여기는 공자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원래 궐리사는 오산, 논산을 비롯해 강릉, 제천까지 네 군데가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두 군데만 남아 있다. 오산 화성 궐리사는 본래 공자의 64세손인 공서린 선생이 중종 때 발생한 기묘사화로 인해 낙향하여 강당을 세우고 그 앞에 손수 은행나무를 한 그루를 심은 후 북을 걸고 두드려 제자를 기르면서 여생을 보내던 곳이라 한다.

여기서 잠깐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어떻게 공자의 후손이 어떻게 한국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알아보자. 고려말 공자의 53세손 공안의 둘째 아들 공소가 공민 왕비인 노국공주가 고려에 들어올 때 함께 오면서 고려에 귀화했다. 이때 창원 땅을 받아 창원 공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공서린 선생이 별세한 이후 이곳은 몇백 년 동안 폐허로 변했는데 정조가 머지않은 수원에 화성을 건설하면서 상황은 급변하게 된다. 정조는 조선 후기의 개혁군주이긴 하지만 유학에 통달하고, 문체반정 등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 유교를 더욱 숭상하고자 하는 의지도 있었다.

정조는 빈터에 대사당을 짓게 하고 이곳의 지명을 궐리로 고치게 했으며(현재의 궐동) 친히 사액을 내리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또한 창원 공씨였던 성씨를 공자의 도시 곡부(취푸) 이름을 따서 곡부 공씨로 변경했다.
 
궐리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성묘는 공자의 영정을 친히 모시고 있다.
▲ 공자의 영정을 모시는 성묘 궐리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성묘는 공자의 영정을 친히 모시고 있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이제 궐리사의 뒤편 숲길을 따라 걸으며 이곳의 매력을 차차 알아가 보기로 하자. 겉에서 봤을 때보다 안에서 바라본 궐리사의 모습은 규모도 크고, 다른 서원이나 향교와 다른 건물 배치가 이색적으로 다가왔다. 멀리 한국에서 보기 힘든 2층 한옥 양식의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겉모습은 한옥이지만 현판이나 모양새는 영락없는 중국 스타일이다. 이 건물은 행단이라 불리는 곳으로 공자가 제자를 가르치던 중국 곡부의 행단을 비슷하게 만들어낸 것이라 한다. 1층은 청소년을 가르치는 학습관으로 사용하고 2층은 고문서 1500권을 보관하는 서고로 쓰이고 있다. 이제 궐리사의 중심권역인 성묘로 이동해본다. 성묘라는 명칭 역시 정조가 하사했다.
 
성묘의 옆에는 실제로 제를 지낼때 향으로 쓰기 위해 심어논 향나무가 아직도 남아있다. 그 기묘한 모습 덕분에 오산을 대표하는 나무 중 하나로 꼽힌다.
▲ 궐리사의 명물 향나무 성묘의 옆에는 실제로 제를 지낼때 향으로 쓰기 위해 심어논 향나무가 아직도 남아있다. 그 기묘한 모습 덕분에 오산을 대표하는 나무 중 하나로 꼽힌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그 건물 옆에는 기이하게 생긴 향나무가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 나무 역시 수백 년의 수령을 자랑하는 나무로 오산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나무이기도 하다. 제를 지낼 때 향으로 쓰기 위해 심었다고 전해진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 공자님의 영정을 친히 배알 했다. 오산 궐리사가 생길 때 다른 지역의 궐리사에 모신 영정을 옮겼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도 남아 있는 걸로 봐서 적어도 수백 년은 되지 않았을까 추측한다(원본은 옆 전시관에 있다). 성묘에서 다시 왼쪽 문으로 들어가면 어디서도 보지 못한 거대한 공자상이 눈에 아른거린다.

이 공자상은 1993년 중국 곡부시에서 기증한 것으로 석상을 모신 기단부에는 공자의 생애를 조각으로 새겨져 있고, 그 좌우에는 그의 학통을 이어받은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의 석상들도 함께 서 있었다. 보통 성현의 말씀을 기록할 때는 '맹자왈, 주자 왈' 이런 식이지만 공자만큼은 '자왈'로 통칭한다고 하니 그의 위상이 얼마나 대단한지 새삼스레 느낄 수 있었다.      
 
성묘의 바로 옆 구역에는 공자의 석상이 모셔진 성상전이 위치한다. 중국 산동성 곡부시에서 기증받은 공자의 석상을 중심으로 그의 학맥을 이어받은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의 석상이 나란히 서있다.
▲ 공자의 석상이 모셔진 성상전 성묘의 바로 옆 구역에는 공자의 석상이 모셔진 성상전이 위치한다. 중국 산동성 곡부시에서 기증받은 공자의 석상을 중심으로 그의 학맥을 이어받은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의 석상이 나란히 서있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공자상이 있는 성상전 구역의 서남쪽에는 공자의 생애를 그림으로 나타낸 성적도와 공자의 생애에 대한 자료, 궐리사의 중요한 인물인 공서린과 관련된 유물까지 전시되어 있는 공자문화전시관이 있다. 특히 궐리사 성적도는 공자님의 76대손인 공재헌이 중국에 건너가 그 목판을 구해 온 귀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사무처장님이 그 판본을 손수 넘겨가며 귀한 자료들을 보여주셨는데 글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공자의 생애를 쉽게 이해하기 편리한 듯 보였다. 단지 아쉬웠던 것은 이런 수많은 유물들이 자그마한 공간에 전시되다 보니 그 매력을 온전히 보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궐리사가 세워지기 수백 년 전부터 존재했던 공서린 선생이 손수 심은 은행나무를 우러러보며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위드 코로나가 되면 조만간 문을 연다고 하니 우리 주변의 소중한 문화재를 알리고 소중하게 가꿔 보는 것은 어떨까?
      
궐리사 성적도는 공자의 생애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전시관에 목판과 판본이 전시되어 있다.
▲ 궐리사를 대표하는 유물 궐리사 성적도 궐리사 성적도는 공자의 생애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전시관에 목판과 판본이 전시되어 있다.
ⓒ 운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우리가모르는경기도 : 경기별곡> 1편이 전국 온라인, 오프라인 서점에서 절찬리 판매중입니다. 다음 브런치, 오마이뉴스에서 연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했고, 사진자료 등을 더욱 추가해서 한번에 보기 편해졌습니다. 경기도 여행은 우리가 모르는 경기도와 함께 합니다.


태그:#경기도, #경기도여행, #오산, #오산여행, #운민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 인문학 전문 여행작가 운민입니다. 현재 각종 여행 유명팟케스트와 한국관광공사 등 언론매체에 글을 기고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경기도 : 경기별곡 1편> <멀고도 가까운 경기도 : 경기별곡2편>, 경기별곡 3편 저자. kbs, mbc, ebs 등 출연 강연, 기고 연락 ugzm@naver.com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