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시골살이를 하고 있지만 농사를 짓는 일은 요령껏 피하고 싶었다. 시골살이 초반에 겪은 날카로운 첫 농사의 기억 때문이었다. 우리는 첫 농사에서 자연 재해와 농산물값 하락 등 농민으로 겪을 수 있는 총체적인 난관을 다 겪었다.

그 다음해도 농사를 지어서 그다지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다. 그 후로 우린 농사와는 거리를 두고 지내왔다. 농사와는 인연이 안 맞는 걸로 여겼다. 남의 밭에 다니며 취재를 하고 기사를 쓰는 글밭을 일구는 편이 나았다.

제일 쉬운 게 들깨 농사라더니
 
이렇게 말린 들깻대를 작대기로 두드려 들깨알을 털어내는 것을 충청도에서는 '바심한다'라고 한다.
▲ 들깨를 베어서 말려 놓은 모습 이렇게 말린 들깻대를 작대기로 두드려 들깨알을 털어내는 것을 충청도에서는 "바심한다"라고 한다.
ⓒ 오창경

관련사진보기

 
재작년부터 농지법이 개정되면서 직불금의 덫에 걸려 어쩔 수 없이 밭에 뭔가를 심어야 했다. 몇 년 동안 묵혔던 밭둑에 서서 뭘 심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을 때였다.

"들깨 농사가 농사 중에 젤루(제일) 쉬운 중(줄)만 알어."

이웃의 한 마디에 그 해의 농작물은 들깨가 되었다. 아시다시피 작년은 근래에 없던 최악의 기후였다. 50여 일간 이어진 장맛비는 얼치기 농사꾼의 들깨 밭을 제물로 삼켜버렸다. 이 정도면 농사와의 인연은 역시 악연이었다. 농사만 지었다 하면 자연 재해가 닥치는 징크스에 걸린 것이 분명했다.

들깨 한 톨 건지지 못하고 허망하게 끝난 밭에서 차라리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들깨 농사가 잘 돼서 들깨를 수확하는 지난한 과정도 자신 없었다. 시골 일에 보람을 느끼기 전에 참담한 실패부터 맛본 나한테는 수확의 모든 과정에서부터 자신감을 잃었다.

잘 익은 들깻대를 베어서 말리고 바심(작대기로 두드려 깨알을 터는 것을 부여에서는 이렇게 말한다)을 해서 어레미(체)로 내려서 선풍기로 디리고(날리고)서야 들깨의 모양을 갖춘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들깨를 물에 여러 번 씻어서 불순물들을 제거한 다음에 말려서 기름집에 가져가야 들기름이 되는 것이다.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과정을 거쳐야 들기름이 되어 밥상에 오르는 것이 모든 농사이다. 어디서 본 것만 많은 얼치기 농사꾼에게 이 모든 과정은 산 너머 산이다.

다시 농사의 계절이 돌아왔다. 올해는 뭘 심어야 할지 고민 할 사이도 없이 이웃에서 들깻모종이 많이 남았다고 가져다주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또 들깨를 심어야 했다. 4백여 평의 밭에 들깨를 심는 일도 얼치기 농사꾼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들깨 모종을 심은 다음날 허리와 어깨가 끓어지는 듯한 고통에 몸부림치며 내년부터는 농민임을 포기하기로 결심했다.

올해는 날씨는 좋아서 들깨를 심은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제초 작업과 비료를 주는 일이 과제로 다가왔다. 들깨가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는 잡초의 역습에 대비해야 한다. 제초를 해주지 않으면 들깨인지 풀인지 모르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우리 밭 옆으로 지나다니는 동네 사람들의 훈수에 힘입어 제초를 하고 비료를 주며 들깨 밭을 들락거렸다. 어쩌다 나를 보게 된 사람들은 드디어 내가 마음잡고 농부가 되어 들깨 밭에 부지런히 다닌다고 생각하겠지만 그것은 거의 자의로 한 것이 아니었다. 누군가 들깨보다 풀이 키가 더 크게 생겼다는 둥, 비료가 부족해서 들깻 잎에 힘이 없다는 둥의 전화를 받은 다음에 반사적으로 밭에 가본 것이었다. 농사에서 거듭 실패만 맛보았기 때문에 온전한 수확에는 관심이 없었다.

호박과 들깨를 수확하는 기쁨

들깨 모종이 땅에서 자리를 잡고 키가 어느 정도 자라 제초 작업이 필요 없게 되었다. 그때까지 장마도 살짝 지나가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햇볕이 좋은 날들이 이어지고 있었다. 그래도 들깨 수확은 기대 하지 않았다.

"늦게 심어서 다 익지도 못할텐디 애호박 몇 개 따다 먹어도 되겠남?"
"애호박이요? 열리기는 했어요?"
"가을바람이 나기 시작하면 애호박이 더 열리는 겨."


들깨 모종을 심다가 호박씨를 몇 군데 심은 것이 대박을 치고 있었다. 봄부터 일치감치 호박을 심은 마을 사람들의 밭에는 애호박보다 늙어가는 호박이 더 많다보니 따 먹을 호박이 별로 없을 시기였다.

호박에는 관심도 없었는데 밭에 가보니 호박넝쿨이 실하고 호박잎에서는 윤기가 났다. 애호박은 얼마나 많이 달렸는지 동네잔치를 너끈하게 하고도 남을 정도였다. 만나는 사람마다 애호박을 잘 따다 먹었다고 인사를 하는 소리에 어쩐지 기분이 으쓱해졌다. 밭에 뭔가를 심은 이후로 처음으로 '보람'이라는 것이 느껴졌다. 

"올해는 들기름 좀 먹게 생겼는디..."

처음엔 이 말을 믿지 않았다. 그런데 추석 무렵에 항상 닥치던 태풍 소식이 올해는 감감무소식이었다. 우리 들깨는 여전히 알알이 잘 익어가고 있었다.

"들깨 벼야 혀! 작년처럼 베리지(버리지) 말고 얼릉 벼서(베어서) 눕혀놓아야 마른당께."

우리 들깨 밭은 알알이 영글어가는 들깨뿐만 아니라 누런 호박도 넝쿨째 굴러다녔다. 실패의 연속이었던 우리 농사는 이번에는 호박과 들깨까지 두 작물에서 성공의 조짐이 보였다.
 
우리 집에 놀러왔다가 들깨밭에서얼떨결에  농사 체험을 하고 있는 지인들
▲ 지인들 찬스를 이용해 얼렁뚱땅 들깨를 베고 있다. 우리 집에 놀러왔다가 들깨밭에서얼떨결에 농사 체험을 하고 있는 지인들
ⓒ 오창경

관련사진보기

 
마침 서울에서 놀러온 지인들 찬스를 이용해 얼렁뚱땅 들깨를 베었다. 그리고 1주일간 말려놓았다. 올해는 태풍도 비껴가고 날씨가 너무 좋은 것이 오히려 이상 기후 같았다. 우리가 농사를 짓기만 하면 따라오던 자연 재해의 징크스도 다 날아가 버렸다.

드디어 들깨를 바심하는 기회가 우리에게도 주어졌다. 남의 밭의 들깨 타작 소리가 은근히 부러웠던 나도 그 바심의 대열에 끼게 되었다. 모든 것이 어설픈 얼치기 농부는 작대기 한 개, 포대 한 장, 바닥에 까는 포장만 달랑 들고 들깨밭으로 갔다. 그동안 곁눈질로 익혀두었던 들깨 바심(타작)을 작대기 소리도 경쾌하게 시작했다.

그 소리에 그 동안 우리의 들깨 농사에 훈수를 두었던 이웃들이 모여들었다. 누군가는 아이스 커피를, 또 누군가는 거대한 비닐 포장을, 누군가는 작대기를 들고 나타났다. 얼치기 농부의 첫 들깨 수확에 현수막이라도 걸어야 할 것 같은 들깨 바심 축제가 벌어졌다.

고생해서 지었는데 나눠주고 싶은 마음

마른 줄기에서 떨어지는 들깨 알갱이들이 톡톡 튀는 소리와 들깻대에서 풍기는 고소한 냄새와 이웃들의 훈수소리까지 온 동네에 울려 퍼졌다. 타닥타닥 작대기로 들깨 바심하는 소리마다 들깨가 쌓였다.

이상하게도 들깨가 쌓이는 만큼 나누어주고 싶은 얼굴들이 떠올랐다. 얼마 전 아기를 낳은 막내 동생네부터 도시에 사는 부모님과 신세를 지고 살았던 지인들에게 하나씩 들기름병을 안겨주고 싶었다.
 
들깨 바심하는 법을 가르쳐주다가 아예 눌러앉아 수확을 도와주고 있는 동네 언니. 오랜 농사 공동체의 유전자가 얼치기 농사꾼의 들깨밭을 그냥 지나치지 못하게  한다.
▲ 들깨 바심하는 날 들깨 바심하는 법을 가르쳐주다가 아예 눌러앉아 수확을 도와주고 있는 동네 언니. 오랜 농사 공동체의 유전자가 얼치기 농사꾼의 들깨밭을 그냥 지나치지 못하게 한다.
ⓒ 오창경

관련사진보기

 
들깨 농사를 지어보니 농사는 여러 사람의 협업이며, 나눠주고 함께 먹고 싶은 욕구를 유발하는 유전자가 내재된 작업이었다. 농경시대가 시작된 이후 공동체의 영향력 속에 살아온 인류에게 농사는 경제 수단이기 전에 먹을 것이 생기면 함께 둘러앉아 나눠 먹으며 일을 했던 생존의 원동력이었다.

농사일을 해보면 그런 유전적 내력이 불끈 솟아나는 것을 느낀다. 쏟아부은 노동력에 비해 소소한 수확량이어도 나눠주고 싶은 마음부터 나는 일이 농사일이고 공동체를 이어온 원동력임을 알게 된다. 내년에도 올해의 이력을 보탠 우리의 들깨 농사는 계속될 것 같다.

태그:#들깨, #들기름, #농사 공동체, #들깨밭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충남 부여의 시골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조근조근하게 낮은 목소리로 재미있는 시골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