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경대 열사가 백골단 폭력에 쓰러졌던 명지대 교문 앞 집회 모습.
 강경대 열사가 백골단 폭력에 쓰러졌던 명지대 교문 앞 집회 모습.
ⓒ 강경대열사추모사업회

관련사진보기

 
거대여당이 된 노태우정권은 숫적인 힘을 배경으로 급속히 폭압적인 통치로 바뀌어 갔다. 여기에 권력형 비리가 쏟아졌다. 연초부터 청와대와 정ㆍ관계 인사들이 다수 관여된 것으로 알려진 수서특혜 은폐조작사건이 터져 6공비리의 일각이 드러났다. 정치권력이 강화되면 상하의 권력기관이 설치게 마련이다. 경찰과 검찰의 공권력이 안하무인격으로 날뛰기 시작했다. 

4월 26일에는 명지대생 강경대군이 상명여대의 학원자주화 집회에서 지지연설을 하고 돌아오던 중 경찰 백골단이 휘두른 쇠파이프에 맞아 사망하는 등 5공식 폭압사건이 다시 일어났다. 

대학가와 재야, 노동계, 종교계에서 연일 폭력살인과 공안통치 분쇄규탄 집회가 열리고, 4월 29일에는 전남대생 박승희가 규탄집회에서 분신 사망했다. 5월 1일 안동대생 김영균이 분신 사망한 데 이어 5월 3일 경원대생 천세용이 교내 집회 중 분신 사망하는 등 학생ㆍ노동자들이 노태우정권의 폭압통치에 투신 분신으로 맞서 고귀한 생명을 내던졌다. 
 
강경대 열사의 노제 광경.
 강경대 열사의 노제 광경.
ⓒ 강경대열사추모사업회

관련사진보기

 
이 무렵(5월 5일) 김지하 시인이 『조선일보』에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라는 시론을 써서 민족문화작가회의가 김지하를 제명하는 등 학생들과 민주인사들의 분노를 샀다. 5월 8일에는 전민련 사회부장 김기설이 분신사망하고 5월 6일에는 한진중공업노조위원장 박창수가 안양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5월 13일에는 전대협 구국결사대 소속 7개 대학생 47명이 여의도 민자당 중앙당사를 점거, "해체 민자당, 타도 노태우" 등의 구호를 외치며 농성을 벌이다 경찰에 검거되었다. 평민당은 즉각 조사단을 구성하고, 김대중 총재는 시국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노재봉 공안내각의 총사퇴와 백골단 해체, 악법개폐 등을 거듭 촉구했다.

김총재는 5월 14일 열린 강경대 학생 영결식에 참석, 운구행렬의 맨 앞에 서서 행진하다가 경찰이 쏜 사과탄을 맞고 자택으로 돌아가 치료를 받았다. 시민ㆍ학생들의 분신투쟁은 계속되었다. 5월 18일에는 전남 보성고생 김철수가 분신 사망하고, 같은 날 광주에서 운전기사 차태권이 분신했으며, 5월 20일에는 광주에서 시위 중이던 권창수가 전경의 폭행으로 중태에 빠지고, 5월 22일 광주에서 정상순의 분신, 5월 25일 성균관대생 김귀정이 폭력적 시위진압과정에서 압사당했다.
 
서강대 메리홀에서 김기설씨 분신자살에 대해 기자 및 학생들에게 설명하고 있는 박홍 서강대총장. 1991.5.8
 서강대 메리홀에서 김기설씨 분신자살에 대해 기자 및 학생들에게 설명하고 있는 박홍 서강대총장. 1991.5.8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1991년의 봄은 민자당 출범 1년 만에 폭압통치로 회귀한 노태우정권에 저항하던 많은 청년학생ㆍ노동자들이 민주제단에 피를 뿌린 '잔인한 91년의 봄' 이 되었다. 이 때 서강대 총장 박홍이 "어둠의 세력" 운운하는 기자회견으로 민주열사들의 희생을 폄훼하여 시민들의 지탄을 받았다. 이 무렵 평민당은 수서비리 국정조사와 경찰의 폭력살인 등 국회의 조사특위 구성 등을 제의했지만 번번이 거부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3월 26일과 6월 20일 두 차례에 걸쳐 기초와 광역 지방의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5.16쿠데타 이후 만 30년 만에 실시된 지자제 선거였다. 

30년 만에 부활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지자제 선거였으나 공안정국의 서슬과 권력형 수서비리사건 등으로 국민들의 무관심 속에서 치러졌다.

시군구의원(기초) 선거는 정당 공천이 배제되었으나 각 정당은 내면적으로 자당 소속 또는 자당에 우호적인 인사들을 지원했다. 민자당은 기초의원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70%를 상회하는 당선자를 내어 3당합당의 위력을 과시했다. 평민당은 호남에서도 일부 의석을 내주는 기대 이하의 성과를 얻었을 뿐이다. 

학생들이 공안통치와 살인정권을 규탄했지만 수구언론은 연일 학생들의 부도덕성에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 살얼음판 공안정국에서 실시된 선거는 야당이 불리할 수 밖에 없었다. 안정을 희구하는 국민성향 때문이다. 평민당이 패배한 배경이었다. 

시도의회의원 (광역) 선거에서도 민자당이 총 866개 선거구 가운데 564개 지역에서 승리, 압승했다. 민자당은 광주ㆍ전남북과 제주를 제외한 11개 시도의회에서 압도적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으며 특히 부산의 경우 51개 의석 중 50개를 휩쓸었다. 서울에서도 민자당은 132개 의석 중 110석을 차지하여 22석을 얻은 야당을 패퇴시키고 압승했다.  

평민당과 야권의 고민은 컸다. 그동안 당력을 집중하고 김총재가 힘든 단식투쟁 등을 통해 쟁취한 지자제 선거가 결과적으로 노태우 정권의 기반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말았다. 민자당의 3당합당으로 지역구도는 더욱 철벽을 이루었다. 정책대결이나 민주화의 공적 따위는 지역주의 광풍 앞에서 맥을 추지 못하였다. 3당합당은 선거제의 기본원칙을 훼손한 반민주적 정치야합이기도 했지만, 지역구도를 갈라놓은 국민분열의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평화민주당 연구]는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연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