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동참 거부를 보도하는 영국 BBC 갈무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동참 거부를 보도하는 영국 BBC 갈무리.
ⓒ BBC

관련사진보기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둘러싸고 세계 각국이 갈라지고 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6일 중국의 인권 탄압을 비판하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선수단은 파견하되,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미국의 전통적 우방인 영국, 호주, 캐나다도 동참하고 나섰다.

그러나 프랑스가 다른 목소리를 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10일(한국시각) 기자회견에서 "선수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라며 "전면 보이콧을 하거나, 유용한 행동을 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아주 작고, 상징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 올림픽이라는 주제를 정치화해서는 안 된다"라며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력해 선수들을 보호하겠다는 헌장을 지키겠다"라며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록사나 마라시네아노 교육부 산하 체육 담당 장관이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랑스·이탈리아, 외교적 보이콧 안 하기로 

프랑스로서는 2024 하계올림픽 개최국으로서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국이 호주에 핵잠수함 기술을 전수하기로 하면서 프랑스와 호주가 체결한 77조 원 규모의 디젤 잠수함 공급 계약이 무산돼 미국과 프랑스 관계가 틀어진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2026 동계올림픽 개최국인 이탈리아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밝혔다. 독일의 올라프 쇼츠 신임 총리도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대해 말을 아끼며 신중한 입장이다.

중국 외교부의 왕원빈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갈수록 많은 국가들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하고 있다"라고 환영했다. 그러면서 "올림픽에 대한 정치적 개입은 올림픽의 종말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각국이 외교적 보이콧 여부를 놓고 바쁘게 계산기를 두드리는 가운데 한국도 고민에 빠졌다.

외교부 최영삼 대변인은 지난 9일 "2018년 평창, 2022년 도쿄, 2022년 베이징으로 이어지는 이번 올림픽이 동북아와 세계 평화와 번영 및 남북관계에 기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라며 "우리 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지해 왔다"라고 밝혔다.

중국은 곧바로 "한국 정부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라며 "올림픽의 한 가족다운 풍모를 보여줬다"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나 우리 정부도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을 하지 않고 있다. 

한국·일본 결정에 외신도 주목... 거세지는 압박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공식 이미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공식 이미지
ⓒ 국제올림픽위원회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과 일본은 정부는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라며 "한국은 베이징올림픽이 세계 평화와 남북관계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으나,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뉴욕타임스>도 "외교적 보이콧은 한국과 일본에 매우 민감한 문제"라며 "두 나라는 서방 국가들이 중국의 인권 문제를 거론할 때도 어떤 명시적 비난도 하지 않았었다"라고 설명했다.

일본은 미일 동맹을 최우선 외교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일본 국빈 방문을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마당에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외교적 보이콧하는 것은 엄청난 악재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영국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 참석차 출국하는 기자회견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대한 질문에 "현재로서는 어떤 것도 결정된 바 없다"라고 말을 아꼈다.

중국도 압박에 나섰다. 왕 대변인은 "중국은 앞서 2020 도쿄올림픽을 전력을 다해 지지했다"라며 "이제는 일본이 기본적인 신의를 보여줄 차례"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도쿄올림픽 개막식에 체육부 장관 격인 국가체육총국장을 파견했었다.

이처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불과 석 달 앞두고 미중 간의 힘겨루기가 격화하는 모습이다. 남북 관계 진전과 종전 선언 논의에 속도를 내기 위해 미국과 중국의 지지가 모두 필요한 문재인 정부로서는 고민이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태그:#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중국
댓글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