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하늘(신)을 향한 인간의 염원은 때로 불가능할 것 같은 일을 만들어 낸다. 인간에게 종교적 열망이 얼마나 강한지는 불가사의한 세계의 여러 유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는 불교국가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바위의 암벽에 조성된 거대한 마애불을 전국의 여러 곳에서 만나볼 수 있다. 지금의 기술로는 어려울 것 같은 마애불 조성은 당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간절한 염원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월출산 불교문화의 정수 마애불좌상
 
호남의 금강산인 월출산은 기암과석으로 이루어진 남성적인 산이지만 불교문화가 융성한 곳이다. 구정봉은 천황봉과 함께 월출산의 양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 월출산 구정봉 호남의 금강산인 월출산은 기암과석으로 이루어진 남성적인 산이지만 불교문화가 융성한 곳이다. 구정봉은 천황봉과 함께 월출산의 양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광주에서 나주평야를 지나 영암으로 내려오다 보면 벌판 가운데에 우뚝 서 있는 월출산을 만나게 된다. 산은 아주 높지 않지만 넓은 벌판에 우뚝 서 있어서인지 웅장하기 이를 데 없다. 지난 1일 이곳을 방문했다. 

월출산은 대부분 바위로 이루어진 산이지만 이 산을 둘러싸고 동쪽에 천황사, 남쪽에 무위사, 서쪽에 도갑사 등 사방에 사찰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1987년 광주 민학회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용암사지, 천황사지, 성풍사지, 청풍사지, 월남사지, 월산사지 등 40여 개의 절터와 사찰이 확인되어 불교문화가 매우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불교문화가 융성한 것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를 거쳐 가는 동안 이 지역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의 역할과 비중, 문화적 역량이 매우 높았음을 반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호남의 금강산인 월출산은 바위산이면서 많은 골짜기들이 첩첩이 중첩되어 있다. 산의 사방에는 경주 남산과 비견할 만큼 많은 불교 유적과 유물들이 산재해 있다. 이곳에 불교가 유입된 것은 백제시기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지만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불교문화가 꽃을 피운 것으로 보고 있다.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조성되어 있는 마애불상이 있다. 월출산 넘어 멀리 서남해를 바라보며 이곳 사람들의 염원을 담고 있다.
▲ 월출산 마애불좌상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조성되어 있는 마애불상이 있다. 월출산 넘어 멀리 서남해를 바라보며 이곳 사람들의 염원을 담고 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월출산의 여러 불교유적 중에 구정봉(738m) 아래에 조성되어 있는 마애불좌상은 불교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는 월출산마애불은 지금까지 조성된 마애불 중에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어 하늘과 가장 가까운 마애불이라 불린다. 마애불은 멀리 서남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이곳 사람들의 염원을 모두 들어줄 듯 인자한 모습으로 앉아 있다.

월출산 마애불을 보려면 주봉인 천황봉과 양 봉우리를 이루고 있는 구정봉을 올라야 한다. 구정봉은 기암괴석이 기묘하고 아름다워 월출산의 가장 아름다운 비경을 갖추고 있는 봉우리다.

이 마애불을 보기 위해서는 구정봉 정상을 넘어가야 하는 상당히 힘든 등반을 해야 한다. 오래전에는 영암읍 쪽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갔을 것으로 보이지만 등산로가 없어진 지 오래되어 강진군 월남마을에서 구정봉을 거쳐 가든지, 도갑사에서 출발하여 구정봉을 거쳐 가든지 하는 험난한 등반의 고통이 뒤따른다. 어찌 보면 사람들의 접근이 어려워 오랫동안 잘 보존되어 있었던 셈이다.

이처럼 월출산마애불좌상은 험준한 바위로 이루어진 곳에 조성되어 많은 인력과 석공들의 기술, 그리고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경제력이 뒤따라야 했을 것이다. 이를 보면 이 마애불을 조성한 사람들의 실체와 세력, 그리고 무슨 목적으로 이 마애불을 조성하게 되었는지 매우 궁금해진다.

월출산마애불좌상은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않다가 지난 1970년 무렵에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거의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었다. 마애불은 높이 약 8.6m로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조각 기법도 우수하여 1972년 국보 제144호로 지정되었다.

마애불 인근에서는 '통화이십오년정미(統和二十五年丁未)'라 쓰인 기와가 수습되었는데 통화 25년은 1007년으로 이를 통해 고려초기 무렵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마애불 조성의 주체 용암사의 비밀
 
마애불좌상이 있는 곳에서 약 150미터 내려가면 용암사지터가 나온다. 사방이 절터를 빙 둘러 보호하듯 하고 있어 수도처로서 최고의 절터로 보인다.
▲ 용암사지 터 마애불좌상이 있는 곳에서 약 150미터 내려가면 용암사지터가 나온다. 사방이 절터를 빙 둘러 보호하듯 하고 있어 수도처로서 최고의 절터로 보인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구정봉 아래 마애불은 어느 절에서 주관하여 조성하였을까? 인근 두륜산 대흥사 북암에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이 있듯이 마애불 인근에는 마애불을 조성하고 관할했을 절이나 암자가 있다.

마애불 바로 아래로 약 150여m 내려가면 용암사지 옛 절터가 있다. 용암사지는 산들이 빙 둘러싸고 있는 좁은 협곡 같은 곳에 꽤 넓은 터를 유지하고 있다. 마애불에서는 멀리 서남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지만 조금 내려온 용암사지는 사방이 산줄기로 둘러싸고 있어 아늑하고 속세의 번뇌를 다 잊을 수 있을 것 같은 요지에 자리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참선을 하고 부처의 도를 깨닫는 수행자가 거처하기에는 최고의 자리로 여겨진다.

산 정상 부위에 이런 절터가 자리하고 있으리라고는 상상이 가지 않는 곳이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사방이 둘러싸여 있어 태풍과 북풍한설도 다 비켜 갈 수 있을 듯한 명당 자리다.

한때 융성했을 용암사지의 흔적을 말해주는 것은 절터 남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용암사지삼층석탑(보물 제1283호)'이다. 보통 법당 옆이나 앞 평지에 자리하고 있는 것에 비해 용암사지석탑은 법당 터보다 약 10여 미터 이상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어 석탑을 올려다보는 느낌이 매우 특별하다.
 
용암사지터 남서쪽 언덕에는 삼층석탑이 서있다. 멀리 산벽을 배경으로 서있는 석탑의 모습은 한때 융성했던 용암사의 흔적을 말해주고 있다.
▲ 용암사지삼층석탑 용암사지터 남서쪽 언덕에는 삼층석탑이 서있다. 멀리 산벽을 배경으로 서있는 석탑의 모습은 한때 융성했던 용암사의 흔적을 말해주고 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남쪽으로 가려진 산벽을 배경으로 고고하게 서 있는 탑을 보면 몇천 년 전의 세월이 어제처럼 느껴진다. 이 삼층석탑은 높이 약 4.7m로 석탑의 크기와 세부적인 양식, 마애여래좌상과의 연계성을 고려해볼 때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암사지 터에는 절의 규모를 말해주는 듯 돌로 잘 짜인 우물과 절구 형태의 석조, 조성 당시의 유적으로 보이는 석조 부재들이 흩어져 있다. 용암사지 바로 아래에는 부도 2기도 있어 이 절의 규모가 상당했음을 추정하게 한다.

용암사는 통일신라말의 승려 도선국사가 승평(순천) 선암사, 희양(광양) 운암사와 더불어 호남의 삼암사(三岩寺)로 지목한 3대 비보 처 중의 하나로 여길 정도로 중요한 사찰이었다고 한다.

용암사의 창건과 폐사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統和二十五年丁未(통화이십오년정미)'란 글자가 새겨진 명문 기와가 인근에서 발견되어 고려초기에 창건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마애불을 바라보고 있는 삼층석탑
 
마애불좌상에서 바라다 보이는 언덕에는 삼층석탑이 있다. 자연석을 기단삼아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어 독특하기도 하고  마애불과 서로 바라보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염원과 불심이 느껴진다.
▲ 삼층석탑과 마애불 마애불좌상에서 바라다 보이는 언덕에는 삼층석탑이 있다. 자연석을 기단삼아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어 독특하기도 하고 마애불과 서로 바라보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염원과 불심이 느껴진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이곳에서 또 하나 독특한 모습은 지상에서 약 2미터가량 높이의 자연석 바위 위에 조성되어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석탑은 약 200여 미터 떨어져 있는 마애불좌상과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다.

마치 다정한 부부처럼, 또는 형제처럼, 자매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그러나 같은 유형의 유적이 아니고 불상과 석탑이라는 상이한 두 종류의 조화라는 점에서 이를 조성한 이들의 의도가 매우 궁금해진다.

평평한 자연석 위에 조성된 석탑은 가끔 볼 수 있지만 꽤 높은 바위 위에 조성된 석탑은 이곳이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아래에서 보면 금방 무너져 내릴 것처럼 위태롭기까지 하다.

기단부를 몇 개의 돌로 개어 평형을 유지하고도 오랜 세월을 버텨 온 것을 보면 불심의 힘일까? 투박하게 몇 개의 단으로만 만들어진 삼층석탑을 보면 뭔가 이질적이면서도 조화로운 균형이 있다.

고려 초기 구정봉 아래에 이처럼 거대한 불상과 석탑을 조성하였을 이들의 염원과 불심이 새삼 느껴져 온다. 

태그:#월출산, #구정봉, #용암사지, #용암사지삼층석탑, #월출산마애불좌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양문화와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활동과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 <녹우당> 열화당. 2015년 등이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