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글을 잘 쓰려면 다독해야 한다는 조언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책 많이 읽으시라고요. 더 드릴 말이 있어 꺼내는 이야기지만, 우선 맞는 말입니다. 읽고 쓰기는 불가분의 관계지요. 이것은 마치 먹었으니(읽었으니) 화장실 가는 것(쓰는 것)과 같다는 지인 비유가 떠오르기도 하는데요.

때에 따라 이는 틀린 말이 되기도 합니다. 오해가 빚어질 때. 화자의 의도는 쏙 빼고 글자 생김 그대로 해석하다가 생긴 오해, 그러니까 '다독하면 글을 잘 쓰게 된다'라는 자칫 틀린 말이 됩니다. 맥락이 빠진 문장은 독이 되기도 합니다.
 
읽고 쓰는 불가분의 관계
 읽고 쓰는 불가분의 관계
ⓒ 언플래시

관련사진보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다독만 해서는 글이 늘지 않습니다. 가까운 지인을 빌려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그는 1년에 200권씩 10년 넘게 독서해 온 독서광입니다. 200권 곱하기 10년 하면 2000권인가요? 그만큼 독서량도 상당하시고요.

경력만큼 독서 수준도 높으신 분입니다. 독서력만 본다면 저보다 힘이 세다고 할 수 있죠. 연간 200권에 달하는 책을 읽은 기간은 고작 1년쯤이고, 자신 있게 독서 인구라고 말할 수 있게 된 것도 몇 년 되지 않았으니까요. 그분에 비하면 책 읽는 어린이에 불과합니다. 유치부로 가야죠.

다만 쓰기 종목으로 가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글로 표현하는 힘은 제가 조금 센듯합니다. 그분 글을 읽다보면 조금 혼란스러울 때가 생깁니다. '그래서 하고 싶은 이야기가 무엇일까' 하고 고민하게 됩니다. 다시 첫 문장으로 가 반복해 읽어야 합니다. 핵심을 찌르지 못한 채 그 주변부를 맴도는, 불필요한 문장을 남발한 까닭입니다.

반면 주저리 없이 쓰인 제 글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읽힙니다. 문단 생김새도 그럴싸하고요. 한 번에 슥 읽힌다는 읽는 즐거움이 있죠. 자랑 같지만 그게 본 의도는 아닙니다. 그저 많이 읽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하고 싶어서였습니다. 쓰기에 관해 이야기 하는 중입니다.

그분은 저보다 월등하게 많이 읽어 왔습니다. 허나 써본 양은 절대적으로 제가 많았지요. 실제로 글쓰기 시작한 지 몇 개월 안 된 분이었습니다. 비단 그분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닙니다. 뭉텅뭉텅 덩어리진 생각을 글로 푸는 게 한편 다독과 관계없는 일 아닐까, 생각하게 했습니다.

다독가이나 어설픈 쓰기를 해내신(?) 분을 제법 보았습니다. 주술호응에 오류가 있는 건 기본이고요, 한 문장 해석하기 위해 다섯 번 읽어야 하는 건 또 어땠고요(그래도 갸우뚱 할 때면 낭독도 불사했습니다). 그 덕에 쓰는 감은 오직 쓰면서 깨치는 것이라는 걸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쓰기는 씀으로 성장한다는 걸요.

그럼에도 읽기는 쓰기의 양분이 맞습니다. 입력이 있어야 출력이 생기는 것처럼요. 여러 분야에 걸쳐 고르게 입력된 지식(혹은 간접경험)은 모두 쓰기의 재료가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제게 없어 저는 쓸 수 없는 말을 다독가들은 쓸 수도 있겠죠. 허나 다시 말하지만, 많이 읽는다고 잘 쓰게 되는 건 아닙니다.

쓰기 실력이 느는 다독은 두 가지를 전제로 합니다. 하나는 의식적으로 '글'을 읽는 것(그러니까 단순히 텍스트를 읽어 나가는 게 아니라, 작가가 '어떻게 썼나'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읽는 것), 다른 하나는 읽고 '쓰는' 것입니다. 결국 써야 글력(쓰는 힘)이 생기거든요. 프로틴(단백질)을 아무리 많이 마신들 웨이트 트레이닝 안 하고야 근육 생길 턱이 없는 것처럼요. 그래서 오늘은 의식하며 읽기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쓰는 도구, 연필
 쓰는 도구, 연필
ⓒ 언플래시

관련사진보기

 
촉을 세워 읽어야 합니다. 내용을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쓰임 자체를 인식해야 합니다. 작가가 어떻게 썼는지를 봐야합니다. 요모조모 글 쓰임을 살펴야 합니다. 제목이며 흐름이며 쓰인 어미며, 어휘 모두. 단 한 꼭지조차 글쓰기 교재가 됩니다.

그렇게 감각을 살려 읽다보면 글 센스가 생깁니다. 텍스트만 훌훌 읽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유심히 살펴보는 관심에서 비롯된 능력입니다. 이것은 작가 역량이 됩니다. 센스가 발달하면요, 조사 한 음절 넣고, 빼고에도 글투를 알아차리게도 되고요.

덜거나 배치를 바꿈으로써, 혹은 서술 방법에 따라 글의 보임이 달라짐을 느낍니다. 같은 글자의 나열이지만 누구를 주어 삼느냐, 니은(ㄴ)을 붙이느냐 마느냐, 단어를 앞에 놓느냐 뒤에 놓느냐에 따라 달라요. 동일한 의미를 전달하는 건데도 말이에요. 보임이 달라지니 읽힘도 달라지겠죠. 작가들이 접속사를 배제하고, 불필요한 적, 의, 것, 들은 삭제, 지시대명사 대신 주체 고유로 이야기 하는 건 여러분을 감화하기 위한 일련의 애씀입니다.

작가는 조사 하나에도 감각하는 센서를 가진 사람입니다. 글은 스토리긴 하지마는, 토씨 하나 때문에 글맛이 바뀌기에 우리는 예민할 수밖에 없습니다. 세심함이 모여 글은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그리고 섬세한 감각은 오직 씀으로 단련할 수 있다는 것.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 쓰인 유시민 작가님의 격언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책을 많이 읽기만 하면 다 글을 잘 쓰게 될까? 그렇지는 않다. 독서는 글쓰기의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아니다."

고로 써야한다.

태그:#읽고쓰기, #다독, #글쓰기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글을 매개로 창작하는 자, 작가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