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청와대 개방 관람 이벤트에 당첨된 덕분에 지난 15일 문을 활짝 연 청와대에 다녀왔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대한민국 대통령의 집무실과 관저가 있어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 '금단의 구역'이었던 곳이다. 개방되어 청와대 곳곳을 둘러보는 시민들의 눈빛은 호기심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듯했다.

그중에서도 청와대의 상징인 '본관'과 대통령 가족이 거주하던 '관저'는 핫플레이스였다. 인증샷 한 장 남기려는 시민들로 장사진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었다. 
 
청와대 본관 앞 사진촬영 대기줄
 청와대 본관 앞 사진촬영 대기줄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시끌벅적한 본관을 지나 안쪽으로 들어가니 푸른 '청와대 녹지원'이 펼쳐졌다. 그 끝에 '상춘재'가 있었다. 그동안 녹지원은 청와대 야외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상춘재는 외빈 접견 장소로 활용돼 왔다.

앞으로 이 공간은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 문득 궁금해졌다. 취미로 국궁(활쏘기)을 즐기고 있는 터라, 넓디 넓은 잔디밭을 보면서 '여기서 활을 내면 얼마나 운치 있을까' 하며 활 쏘는 상상도 해봤다.
 
청와대 상춘재. 상춘재와 녹지원 일대는 조선시대 문·무과시험과 군사조련 등이 행해지던 융문당·융무당이 위치했던 곳이다.
 청와대 상춘재. 상춘재와 녹지원 일대는 조선시대 문·무과시험과 군사조련 등이 행해지던 융문당·융무당이 위치했던 곳이다.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청와대 자리에 있던 융문·융무당이 남쪽으로 내려간 까닭

흥미롭게도 내가 활 쏘는 상상을 하며 즐거워하던 그 자리가 실제로 조선시대 당시 활쏘기 등 무과 시험과 군사 조련이 행해졌던 곳이었다는 사실을 나중에야 알게 됐다.

경복궁 중건사업이 한창이던 고종 5년(1868) 9월 이곳에 융문당(隆文堂)과 융무당(隆武堂)을 짓고 문·무과시험 시행 및 열무(閱武: 임금이 직접 군대를 사열하는 것), 연조(演操: 군사 조련), 호궤(犒饋: 군사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위로하는 것) 등을 실시했던 것이다. 경무대(景武臺)라는 이름도 이때 탄생했다고 한다.
 
청와대 녹지원 (2019년 12월 24일 촬영)
 청와대 녹지원 (2019년 12월 24일 촬영)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안타깝게도 지금 청와대에서 융문·융무당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일제강점기였던 1928년 용산으로 옮겨져 일본 사찰 용광사(龍光寺) 건물로 활용된 이래 100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까지도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융문당·융무당의 철거 이전을 보도한 1928년 8월 13일자 동아일보 기사.
 융문당·융무당의 철거 이전을 보도한 1928년 8월 13일자 동아일보 기사.
ⓒ 동아일보

관련사진보기

 
일제강점기 일본 사찰 건물로 전락해버린 융문·융무당은 해방 후 원불교가 인수하면서 용산에 있던 원불교 서울교당 건물로 활용됐다. 그러다 서울교당 건물을 신축하면서 2007년 9월 다시 전라남도 영광의 원불교 영산성지로 옮겨졌다. 그때부터 각각 '원불교창립관', '우리삶문화옥당박물관' 등으로 간판을 바꿔단 채 지금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 있던 궁궐 전각이 용산으로, 저 멀리 남쪽 땅 영광으로 가기까지의 복잡다단한 수난사에 슬퍼해야 할지, 그래도 원형을 잃지 않은 채 보존되고 있는 사실에 기뻐해야 할지 씁쓸할 따름이다.
 
옥당박물관(옛 융무당) 전경
 옥당박물관(옛 융무당) 전경
ⓒ 영광군청

관련사진보기

 
융문·융무당 제자리 복원 후 활터 조성 어떨까

어찌 됐건 건물이 지금까지 보존되어 오고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융문·융무당의 문화재적 가치를 언급하면서 그 위상을 되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일부 시민단체나 언론을 통해 꾸준히 제기돼온 바 있다. 

물론 소유주가 분명한 건물을 더군다나 대통령의 정무 수행 공간인 청와대로 옮겨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았으리라 짐작된다. 그래서 융문·융무당의 역사적 위상 복원을 주장하는 이들조차도 문화재 등록과 국가 차원의 관리 정도를 최소한의 조치로 제시했을 뿐 원래 자리였던 청와대로의 이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청와대가 개방되어 국민의 품으로 돌아온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윤석열 정부는 정부 출범 직전 발표한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에서 '청와대 개방 및 역사성 회복'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제시한 바 있다. 2026년까지 청와대 권역의 핵심 유적을 발굴 및 복원·정비하여 훼손된 경복궁 후원의 역사성을 회복하고 세계적인 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두말할 필요 없이 여기에는 당연히 '융문·융무당 제자리 찾기'도 포함돼야 할 것이다. 옛 경복궁 후원의 역사성 회복을 위해 정부에서 해당 건물을 매입하여 원래 있던 자리로 되돌려 놓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마침 문화재청에서도 융문·융무당 터의 활용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한다. 융문·융무당을 원래 있던 자리로 옮긴 뒤, 시민들로 하여금 국궁(활쏘기)을 체험할 수 있는 간이 활터(국궁장)를 조성하면 어떨까. 그렇게만 된다면 장소의 역사성을 회복하면서도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계승·전파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충남 아산의 현충사에서 시민들이 활쏘기를 체험하고 있는 모습. 현충사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무과시험을 준비하며 활을 내던 장소에 이렇듯 활쏘기 체험존을 만들어 장소의 역사적 의미를 살리는 동시에 관람객들에게 국궁이라는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알리고 있다.
 충남 아산의 현충사에서 시민들이 활쏘기를 체험하고 있는 모습. 현충사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무과시험을 준비하며 활을 내던 장소에 이렇듯 활쏘기 체험존을 만들어 장소의 역사적 의미를 살리는 동시에 관람객들에게 국궁이라는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알리고 있다.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태그:#청와대, #경무대, #융문당, #융무당, #국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양대 사학과 박사과정 (한국사 전공) / 독립로드 대표 / 서울강서구궁도협회 공항정 홍보이사 / <어느 대학생의 일본 내 독립운동사적지 탐방기>, <다시 걷는 임정로드>, <무강 문일민 평전>, <활 배웁니다> 등 연재 / 기사 제보는 heigun@naver.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