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청년단체 대표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태원 압사 참사 당일 최초 신고 시각인 오후6시34분 매일 참사 현장에 모여 '청년추모행동'을 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 "최초신고 6시 34분, 매일 참사현장에 모입시다" 청년단체 대표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태원 압사 참사 당일 최초 신고 시각인 오후6시34분 매일 참사 현장에 모여 '청년추모행동'을 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매일 저녁 6시 34분, 이태원으로 모입시다."

이태원 압사 참사 이후, 청년들이 '가만히 있지 않겠다'라고 나섰다. 각 정당의 청년 조직과 시민사회 청년단체들이 한데 모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그리고 책임자 처벌과 사과를 요구하는 '청년추모행동'을 결성했다.

그 시작은 매일 오후 6시 34분, 참사가 발생한 이태원에 모여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것이다. 오후 6시 34분은 참사 전, 최초로 112 신고가 들어온 시각이다.

"청년들이 살려달라 외쳐도, 국가는 답하지 않았다"

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마이크를 잡은 김창인 청년정의당 대표는 "이번 주 토요일까지 매일 함께하고자 한다"라며 "634 청년추모행동을 통해 국가란 무엇인지 묻고자 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제안문 낭독에 나선 김창인 대표는 "세월호 이후 8년, 국가는 변하지 않았다"라며 "청년들이 살려달라고 외쳐도 국가는 답하지 않았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 간절한 마음을 국가가 외면한다면 우리가 직접 추모와 애도로 응답해야 한다"라고 외쳤다.

이어 "156명의 희생자를 비롯해 현장에 있던 다수는 청년들이었다"라며 "8년 전 세월호에서 국가와 사회가 시민들의 죽음을 두 손 놓고 방치한 그 장면을 목격했던 그때의 그 청년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라며 "국가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질 수 없다면 도대체 그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가 들었던 촛불은 정말 아무것도 바꾸지 못했던 것인가?"라고도 비판했다.

또한 "당시 참사 현장은 연대의 현장이기도 했다"라며 "많은 청년들이 두려움을 이겨내며 일면식도 없는 동료 시민들을 살리기 위해 심폐소생술을 했고 구조 업무를 도왔다"라고 지적했다. "그 연대의 마음을 이제 우리가 이어가야 한다"라는 주장이었다.

김 대표는 "매일 저녁 최초 신고 시각인 6시 34분 이태원 역으로 모이자. 검은 마스크, 검은 복장으로 이태원 곳곳에서 함께 추모하고 행동하자"라고 제안했다. "국가가 없었던 그곳을 청년들이 지키겠다"라는 다짐이었다.

"책임 묻지 말고 애도만 하라는 게 국가의 역할인가?"
  
홍희진 청년진보당 대표 등 청년단체 대표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이태원 참사 청년추모행동' 공동 제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당일 최초 신고 시각인 오후6시34분 매일 참사 현장에 모여 '청년추모행동'을 하자고 제안했다.
▲ "최초 신고 시각 오후6시34분 매일 참사 현장에 모입시다" 홍희진 청년진보당 대표 등 청년단체 대표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이태원 참사 청년추모행동' 공동 제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당일 최초 신고 시각인 오후6시34분 매일 참사 현장에 모여 '청년추모행동'을 하자고 제안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자리에 함께한 홍희진 청년진보당 대표는 "156명의 죽음 앞에 책임을 묻지 말고 일단 애도만 하라는 것이 진정 국가의 역할인가?"라며 "이 참사가 우연한 사고가 아니라는 건가?"라고 꼬집었다.

그는 "왜 수많은 청년들과 국민들이 그 자리에서 희생됐어야 했는지, 왜 이 비참한 참사를 막지 못했는지, 이 참사에 대해 국가에 어떻게 책임을 물어야 할지 참사의 진상을 파악하고 국가의 책임을 정확히 묻는 것부터 추모이고 애도"라며 "책임져야 할 사람이 책임지게 만드는 것이 희생자분들께 바치는 진정한 추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가현 페미니즘당 창당모임 공동대표 또한 "정부는 국가 애도 기간을 지정해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추모와 애도가 아니라 국가가 정한 침묵만을 강요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문화예술계를 비롯해 자영업자들에게 대책 없이 휴업령을 내려놓으면 이들의 생계는 누가 책임지느냐?"라며 "대통령 집무실에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을 중단하면서 외신 기자들과의 기자 간담회를 열어서 국내 언론을 침묵시키고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했다"라고도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세월호 참사를 온몸으로 겪어낸 세대의 청년"이라며 "청년들이 구조 요청을 보냈는데도 구하지 않았다는 것은 우리가 8년 전 세월호 참사에서 목격한 그대로이다. 이런 참사가 일어났을 때 정부의 역할은 무엇이겠느냐?"라고 날을 세웠다.

이 공동대표는 "청년들은 더 이상 안전하게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라며 "숨 쉬고 살아간다는 것이 당연한 세상, 운 좋게 살아있다는 것에 감사해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라며 "계속될 청년 추모 행동에 많은 분들이 함께해 주셨으면 좋겠다"라고 동참을 호소했다.

이들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분들을 추모하기 위한 묵념으로 이날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태그:#청년추모행동, #이태원압사참사
댓글9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