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6월 10일 밤 전국적으로 타오른 100만 개의 촛불은 세계 역사상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참으로 감격적인 장면이었다. 특히 광화문에서는 아이와 함께, 애인과 함께, 친구와 함께 나온 촛불 행렬이 끝을 알 수 없게 이어져 사실상 행진이라는 것이 의미가 없어질 정도였다.

 

전 세계 언론들은 이 땅에서 일어나고 있는 거대한 촛불의 물결에 놀라움을 표시하면서 연일 대서특필하고 있다. 대선과 총선의 연이은 참패로 실의에 빠졌던 '운동권'을 비웃기라도 하듯, 국민들은 자신의 계급적 정체를 드러낸 이명박 정부에게 취임 100일 만에 100만 촛불의 분노를 선물했다.

 

청계광장에서 촛불이 타오르기 시작하면서부터 당황한 이명박 정권은 그 무슨 불순세력이니 배후세력이니 하면서 국가기구를 총동원해 초중고 학생들의 문자까지 들춰보고 수업중인 학생을 끌어내서 윽박지르기까지 했다. 그리고는 5월 17일에 단체로 등교거부하자는 문자를 친구 몇몇에게 보낸 재수생 한 명을 검거했다.

 

'비폭력 직접행동' 앞에 허둥대던 이명박 정권

 

그렇다. 정말로 배후는 없었다. 안타깝게도 말이다. 온 네티즌들이, 그리고 국민들이 '촛불의 배후는 나요'라고 나서면서 '이명박 퇴진'을 외칠 때 운동권은 그 '배후세력'의 뒤꽁무니를 좇아서 나온 것이다.

 

상황이 이러니 이명박 정부가 촛불대오를 운동권과 비운동권으로, 폭력과 비폭력으로 분열시키려 해도 도대체 약발이 먹히지 않는다. 처음부터 '운동권'의 통제 밖에 있던 촛불은 정권에게는 생소함 그 자체였다.

 

광화문 길바닥에서 밤을 새는 것은 기본이고 휴대폰, 인터넷, 무선통신, 디지털카메라, 캠코더를 총동원한 입체적 정보전 때문에 평소에 '운동권'을 대하듯 방패와 곤봉을 사용한 경찰은 여론의 집중타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촛불대오의 '비폭력 직접행동' 앞에 이명박 정부가 허둥대는 사이 드디어 6월 10일, 촛불은 100만이 되었다.

 

 

이제 공은 이명박 정권에게 넘어갔다. 그러나 이명박은 자기 측근들을 갈아치우는 한이 있더라도 미국 상전의 뜻은 거스를 수 없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재협상은 불가하다는 말이다. 이럴 경우 '비폭력 직접행동'을 내세운 100만의 촛불은 중대한 기로에 서게 된다.

 

사실상 6월 10일 100만 촛불바다를 통해 '비폭력 직접행동'으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다 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조만간 총선이나 대선이 있는 것도 아니니 선거로 정권을 심판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6월 11일 새벽에 컨테이너 앞에서 벌어진 '스티로폼 논쟁'은 바로 이러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장면이다. 그리고 이것은 시작일 뿐이다.

 

운동권, 이제 당신들은 뭘 할 것인가

 

이제 100만의 촛불은 이명박 정권에게만 대답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운동권'에게도 대답을 요구하고 있다. 100만 촛불이 한 달 밤을 새고, 군홧발에 머리를 짓밟히고, 방패와 곤봉에 피범벅이 되면서 만들어 놓은 이 판에서 '운동권' 당신들은 무엇을 할 것이냐고. 국민의 80%에 이르는 '배후세력'은 운동권에게 엄중하게 묻고 있다.

 

근래에 국민의 압도적 다수와 운동권의 뜻이 이렇듯 하나였던 적이 있는가. 촛불을 움켜 쥔 국민들은 더 이상 조중동이 덧씌워 놓은 이미지로 운동권을 보지 않는다. 지금 촛불 집회에서 발언권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정치인은 오직 '운동권' 강기갑 의원뿐이다.

 

운동권인 그가 왜 국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지를 우리는 되새겨 봐야 한다. 이 투쟁은 운동권 모두가 강기갑 의원이 되느냐 아니냐를 가르는 중요한 투쟁이다. 운동권 모두가 강기갑이 된다면 우리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이제 운동권은 100만의 촛불에 대답을 해야 한다.


태그:#촛불, #광우병, #운동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와인에 몹시 진심입니다만,> <피아노에 몹시 진심입니다만,> <사회주의자로 산다는 것> <나는 행복한 불량품입니다> <삶은 어떻게 책이 되는가> <원숭이도 이해하는 공산당 선언> <원숭이도 이해하는 마르크스 철학> 등 여러 권의 책을 쓴 작가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