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신, 엄마손이 속삭일 때> 11권 겉그림.
 <신, 엄마손이 속삭일 때> 11권 겉그림.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헌책방에서 책을 찾아 읽는 맛은 새책방이나 도서관에서 책을 살피고 들추는 맛하고 사뭇 다릅니다. 어쩌면 '딱 하나 살아남아' 있을는지 모르는 책을 반가이 만나서 돈 얼마 치르고 내 책시렁에 꽂아 놓을 수 있다는 기쁨도 기쁨일 테지만, 다시 살아나기 쉽지 않아 보이는 아름다운 책에 담긴 아름다움이 무엇인가를 홀로 곰삭이며 나 스스로 아름다워지는 기쁨이 몹시 크지 않으랴 싶습니다.

준코 카루베 님이 그린 만화 <新ㆍ엄마 손이 속삭일 때>(세주문화,2001)는 나온 지 그리 오래지 않은 책이지만, 금세 판이 끊어지고 사라졌기 때문에 새책으로도 못 사고 있었고, 또 새책으로 사서 본 사람이 많지 않은 듯하여 헌책방에서도 찾아볼 겨를이 없었습니다. 이이가 앞서 그린 <당신의 손이 따뜻할 때>를 흐뭇하게 보았던 분이라면 저절로 <新ㆍ엄마 손이 속삭일 때> 열두 권도 찾아보고 싶어하리라 믿습니다.

토로테 죌레라는 사람이 쓴 <사랑과 노동>(한국신학연구소,1987)는 그럭저럭 찾아볼 만한 책이라 할 수 있을까요. 책이름이 그리 가슴에 와닿지 않을까요. 하느님을 안 믿는 분이라면 '한국신학연구소' 같은 데에서 낸 책은 내키지 않으려나요. 하느님을 믿든 안 믿든, 우리 살아가는 삶터에서 옳고 바른 목소리를 들려주려는 책이라 한다면 우리 눈길과 손길은 사뭇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요.

책이름부터 남다른 인문책. 무척 오래 묵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읽다 보면 바로 오늘날 이야기가 아닌가 하고 느낍니다.
 책이름부터 남다른 인문책. 무척 오래 묵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읽다 보면 바로 오늘날 이야기가 아닌가 하고 느낍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E.보에시라는 사람이 쓴 <노예 근성에 대하여>(무림사,1980)를 헌책방에서 골라들던 까닭은, 책이름이 눈길을 끌었기 때문입니다. 노예 근성이라. 오늘날 우리 나라에도 이런 얄딱구리한 매무새가 널리 퍼져 있지 않느냐 생각했고, 프랑스에서 퍽 해묵은 글이라고 하는데, 수백 해가 흐른 한국땅에서조차 이 책에서 말하는 '노예 근성이 왜 생기고 누가 노예 근성을 부추기는가' 하는 줄거리는 제 머리며 가슴이며 쿵쾅쿵쾅 흔들었습니다.

김남주 시인도 '시 비평'을 썼음을 아는 분이 몹시 드뭅니다. 아마 <시와 혁명>(나루,1991) 같은 책이 있는 줄도 모르기 때문일 텐데, 어쩌면 김남주라는 이름만 알 뿐, 김남주 시를 제대로 안 읽은 탓이 아닌가 싶습니다.

또는, 몇 꼭지는 읽어 보았어도 조각조각 '철지난 시'로 여길 뿐, 세상을 읽는 눈과 세상을 뜯어고치려는 몸부림으로는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랴 싶어요. 책이름 그대로 시와 혁명, 이 두 가지만을 붙잡은 김남주 님입니다.

일본사람 이노우에 요지라는 분이 쓴 <사람은 왜 사는가>(분도출판사,1995)라는 작은 책을 만났을 때에는 참 당돌한 책이름이 다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세상에서 거룩하다고 우러르는 분들만 이런 이름을 앞세울 수 있겠습니까. 나어린 사람도 사람은 왜 사는가를 따질 수 있고, 학문이 얕거나 믿음이 깊지 않은 사람도 사람은 왜 사는가 돌아볼 수 있어요. 그리고 온갖 사람이 저마다 다 다른 자리에서 우리 사람을 보고 우리 이웃을 느끼고 우리 스스로를 깨달으려 한다면, 우리 나라뿐 아니라 이웃나라 모두 아름다운 길머리를 찾을 수 있지 않겠느냐 생각합니다.

김남주 님 문학비평을 모은 책.
 김남주 님 문학비평을 모은 책.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막심 고리끼 님 소설이 곧잘 다시 나오곤 하는데 <이탈리아 이야기>(이성과현실,1991)도 다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옮김말은 썩 좋아 보이지는 않으나, 썩 좋아 보이지 않는 옮김말로 읽으면서도 눈물을 글썽이도록 이끄는 <이탈리아 이야기>입니다.

우리 옆지기는 저한테 '세계명작이 될 만한 작품이 아니라면 소설은 안 써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참말 옳다 싶었고, 어영부영 끄적이려는 문학은 제발 안 나와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뭐, 자유민주주의 나라에서 이런 말은 섣불리 꺼내서는 돌 맞기 딱 좋겠지만.

남난희라는 분이 쓴 <하얀 능선에 서면>(수문출판사,1990)은 처음 나오던 때 꽤 사랑받고 널리 읽힌 듯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거의 안 읽힐 뿐더러, 헌책방마다 한두 권 먼지만 잔뜩 먹고 있더군요. 이 책이 이런 대접을 받을 만한가 싶어 고개를 갸우뚱갸우뚱하는데, 한국사람들은 다들 먹고살기 힘들다고 하잖아요. 어쩔 수 없는 노릇입니다. 책을 책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사람을 사람 그대로 껴안지 못하니까.

고리끼 님 소설책 하나. 헌책방에서 값싸게 만나서 읽어도 훌륭합니다.
 고리끼 님 소설책 하나. 헌책방에서 값싸게 만나서 읽어도 훌륭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법정 스님이 1973년에 낸 <영혼의 모음>(동서문화사)은 당신이 처음으로 내놓은 책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벌써 서른 해를 훌쩍 묵은 책인 <영혼의 모음>인데, <무소유>라는 책이 아주 널리 알려지고 팔리기 앞서, 좀더 수수하고 나즈막한 목소리로 우리 삶을 다루고 있구나 하고 느끼면서 즐겁게 집어들었습니다.

이름난 다음이라고 하여 모든 사람들이 다 맛이 가 버리지는 않지만, 어쩌면 사람들은 이름이 나고 돈을 벌고 싶어 책을 내는지도 모르지만, 그런 얕은 매무새로 쓰는 글이라 할지라도 우리가 어떻게 읽고 삭이느냐에 따라 보배를 건질 수도 있고 거울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M.램이라는 사람이 쓴 <2분 간의 녹색운동>(성바오로출판사,1991)은 다른 누구보다도 천주교회 다니는 분들이라면 으레 사서 읽거나 돌려 읽어야 하지 않느냐 생각했습니다. 천주교회 다니는 분뿐 아니라 개신교회를 다니건 성공회교회를 다니건 이만한 책은 우리 삶을 알뜰히 가꾸려는 몸가짐을 세우자면 마땅히 곁에 놓고 있어야 하지 않느냐 생각합니다. 헌책방에서 보일 때마다 한 권쯤 더 사서 둘레에 선물해 주고 있습니다.

남난희 님이 쓴 '산 탄 이야기'.
 남난희 님이 쓴 '산 탄 이야기'.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추송웅 님이 쓴 <빠알간 피이터 추송웅>(기린원,1981)이라는 책을 찾아 달라던 분이 있었는데, 그분한테 부탁을 듣고도 여러 해째 못 찾았는데, 그분이 '이제 없어도 괜찮습니다' 하고 이야기를 하고 나서 얼마 뒤 헌책방 책꽂이에서 마주보게 되었습니다.

참 얄딱구리하지요? 눈에 불을 켜고 찾을 때에는 보이지 않더니, 이제 없어도 된다고 할 때 나타나고. 그래서 부탁한 분한테 드리지 않고 제가 읽기로 했어요. 야금야금 뜯어먹듯 조금씩 읽어나가며 가슴이 후끈후끈 달아올랐습니다.

박형규 목사가 쓴 <해방의 길목에서>(사상사,1974)는 그저 케케묵은 책일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요. 흔히들 헌책방 헌책은 케케묵었다고 여깁니다. 뭐하러 그 낡은 책을 되읽으려 하느냐 말합니다. 그런데 예나 이제나 우리 삶터가 얼마나 달라지거나 나아지거나 거듭났을까요. 우리는 우리 손으로 우리 책을 죽이고 있지 않을까요.

김태준 님이 쓴 <홍대용과 그의 시대>(일지사,1982)는 대단히 멋진 책이라고 생각하면서 늘 책상맡에 놓아 두고 있습니다. 알아보는 사람 많지 않을 뿐더러, 홍대용을 새로 읽으려는 사람도 많지 않고, 굳이 홍대용 같은 사람을 파고들려는 사람도 얼마 없지만, 저는 이런 책을 하나둘 캐내고 넘기면서 제 마음밭을 가꿉니다. 롤랑 바르트를 모르면 어떻고, 지젝을 모르면 어떻습니까. 아무개이든 저무개이든 읽어내며 우리 삶과 생각을 일굴 수 있어도 반갑지만, 내 가까이에 있던 사람들 목소리에 눈감고 귀닫고 입막으면서 내 멀리에 있는 사람들 목소리만 찾아나서고 싶지 않습니다. 둘 모두 고르게 찾아나서고 싶습니다.

추송웅 님 산문을 모은 책.
 추송웅 님 산문을 모은 책.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언제나 헌책방마실을 가볍게 즐깁니다. 언제나 제 마음밭 알뜰히 채우고 덥히는 책을 만나며 기쁩니다. 이 추운 겨울에 겨울을 더 춥게 느끼면서 헌책방마실을 몸소 나서면서 이런 책도 알아보고 저런 책도 살펴보실 수 있기를 바라고, '인터넷으로 목록 뒤지기'가 아닌 '책시렁 꽂힘새 들여다보기'로 반갑고 고마운 책을 만날 수 있기를 바라면서, 몇 가지 책들을, 그러니까 헌책방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몇 가지 책들 이야기를 풀어놓아 봅니다.

그런데 헌책방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시나요? 헌책방을 어떻게 찾아가야 좋을지 모르시나요? 그렇다면 제가 오마이뉴스에 그동안 올린 '헌책방 나들이' 기사를 죽 살펴보시면 됩니다. 또는 내가 사는 동네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헌책방'을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면 돼요. 헌책방 찾아가는 길까지만 인터넷에서 살펴보시고, 내 마음밭 넉넉하게 채울 책은 몸소 책방마실을 하면서 찾아보면 좋겠어요. 책은 우리가 두 손으로 쥐어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읽어야 하니까요.

다만, 이렇게 소개하는 책들을 헌책방에서 '쉽게' 찾아볼 수는 없다고 생각해 주셔야 합니다. 여러 해 걸릴는지 모르고, 열 해 만에 찾아낼 수 있을 수 있어요. 그리고, 이 책들은 찾아내지 못하더라도 다른 좋은 책을 넉넉히 만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덧붙이는 글 | - 이 글은 1인잡지 <우리 말과 헌책방> 8호에 함께 싣습니다.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新 엄마손이 속삭일때 9

카루베 준코 지음, 세주문화(2001)


태그:#헌책방, #헌책방 나들이, #책, #책읽기, #책이야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