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두환 신군부 세력의 12.12쿠데타 과정에서 희생된 김오랑 중령, 정선엽 병장, 박윤관 상병에 대한 33기 추도식이 2012년 12월 12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29번 묘역 깅오랑 중령 묘소에서 열리고 있다.
 전두환 신군부 세력의 12.12쿠데타 과정에서 희생된 김오랑 중령, 정선엽 병장, 박윤관 상병에 대한 33기 추도식이 2012년 12월 12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29번 묘역 깅오랑 중령 묘소에서 열리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정부는 14일 국무회의를 열어 12·12 군사반란 당시 상관을 보호하려다 쿠데타군에게 목숨을 잃은 고 김오랑 육군 중령(육사 25기 ·당시 특전사령관 비서실장)에 대한 훈장 추서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국무총리실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오늘 오전 열린 국무회의에 올라온 고 김오랑 중령 훈장 추서 안건이 원안대로 의결되었다"고 말했다. 고 김 중령에게는 보국훈장 삼일장이 추서될 예정이다. 순직 35년 만의 일이다.

1979년 12·12 쿠데타 당시 반란을 일으킨 신군부에 맞서다 순직한 김 중령은 '참 군인'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1979년 12월 13일 오전 0시 20분,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이끈 신군부는 서울 송파구 거여동 특전사령부를 급습, 군사 반란을 진압하려는 정병주 특전사령관 체포를 시도했다. 당시 특전사령관 비서실장이던 김오랑 소령은 권총을 들고 쿠데타군과 총격전을 벌였고, 여섯발의 총탄을 맞고 현장에서 숨졌다.

배우자 백영옥씨가 국방부를 상대로 끈질기게 민원을 제기한 결과, 1990년 중령으로 한 계급 추서되었지만 그동안 김 중령의 명예는 온전하게 회복되지 못했다.

김 중령에 대한 무공훈장 추서 및 추모결의안은 지난 17대 국회와 18대 국회에서도 각각 발의된 바 있지만 국방부와 안전행정부의 비협조로 빛을 보지 못했다. 김 중령이 '전투 참가' 등 상훈법의 규정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상황이 바뀐 것은 지난 해 김 중령의 고향인 경남 김해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민홍철  민주당 의원이 '고 김오랑 중령 훈장추서 및 추모비 건립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한 뒤부터다. 이전과는 달리 군 출신이 많은 국회 국방위에서도 김 중령의 명예회복에 대한 여·야간 이견이 좁혀졌다.

지난해 4월 29일 국회 본회의는 '고 김오랑 중령 훈장추서 및 추모비 건립촉구 결의안'을 재석 227명에 기권 6명, 찬성 221명의 압도적인 지지로 가결했다. 이후 정부는 국회를 통과한 결의안을 수용, 지난 10일 차관회의를 거쳐 이날 국무회의에 안건으로 제출했다.

민 의원은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군사 쿠데타에 맞서서 의롭게 죽어간 고인에게 국가가 당연히 수여했어야 할 훈장"이라면서 "너무 늦었지만 정부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또 "한 가지 아쉬운 것은 고인의 추모비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진행이 더디다는 점"이라면서 "그래도 고 김 중령과 같은 분들이 추앙받고 역사 속에 교훈으로 남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참 군인 김오랑 기념사업회' 김준철 사무처장도 "당초 요구했던 무공훈장이 아니라 보국훈장이어서 좀 아쉽긴 하지만, 지난해 국회에서 반대 한 표 없이 훈장추서 및 추모비 촉구 결의안이 통과되었다는 자체로서 김 중령의 정당성은 국민적 합의로 인정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태그:#김오랑, #12·12, #군사반란
댓글28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