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과녁 적(的)은 한 톨의 흰쌀 모양인 백(白)과 음식을 담은 모양의 국자 작(勺)이 합쳐진 형태로, 밝고 희게 드러난 과녁이나 목표물을 나타나게 되었다.
▲ 的 과녁 적(的)은 한 톨의 흰쌀 모양인 백(白)과 음식을 담은 모양의 국자 작(勺)이 합쳐진 형태로, 밝고 희게 드러난 과녁이나 목표물을 나타나게 되었다.
ⓒ 漢典

관련사진보기


한자의 수는 얼마나 될까? 갑골문에 4000자이던 것이 허신이 쓴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9353자, 사전의 대명사가 된 <옥편(玉篇)>에는 1만 6917자, <강희자전(康熙字典)>에는 4만 2174자, 1986년 출간된 <한어대자전(漢語大字典)>에는 5만 4665자가 수록되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중국인들조차 모르는 한자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자가 많다고 너무 기죽을 필요는 없다. <한어대사전>의 2/3 이상의 글자가 거의 용례가 없는 불필요한 글자들이다. 자주 쓰이는 한자 500자가 중국어로 된 문장의 78.5%를 차지하고 1000자는 91.9%, 2000자는 98.3%, 3000자는 99.6%의 문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한자 한 자, 한 자가 갖는 의미와 문법적 기능을 이해하면 해독도 어렵지 않다.

<논어>에 사용된 한자 수는 1355자, <맹자>는 1899자이며 <대학>, <중용>을 합한 사서(四書)에 사용된 한자의 수가 2317자 정도다. 1500편의 시를 남긴 두보의 시에 등장하는 한자는 4350자이며 아무리 많은 작품을 남긴 작가라 해도 일생을 통해 쓴 작품에 사용하는 한자의 글자 수가 5000자를 넘기는 힘들다고 한다.

현대 중국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한자 1위에서 10위까지의 한자는 "적(的), 일(一), 국(國), 재(在), 인(人), 료(了), 유(有), 중(中), 시(是), 년(年)"이다. 사용 빈도율 1위를 차지한 적(的)은 '~의', '~하는'의 의미로 관형어 뒤에 쓰여 종속이나 수식 관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의 것'의 의미로 관형어 뒤에 붙어 명사로 만들기도 하는 구조조사로 많이 쓰인다. 일본어의  'の'와 비슷하다.

과녁 적(的, de, dí, dì)은 한 톨의 흰쌀 모양인 백(白)과 음식을 담은 모양의 국자 작(勺)이 합쳐진 형태로, 의미부 백(白)은 밝고 희게 드러난 과녁이나 목표물을 나타나게 되었으며, 소리부 작(勺)은 술이나 음료를 뜨는 국자라고 하는데 주저앉아 두 팔다리를 앞으로 내민 사람의 상형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논어>의 첫 구절 "자왈학이시습지불역열호(子曰學而時習之不亦悅乎, 공자가 말하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를 현대 중국어로 옮기면 "孔子说: '学了,然后按一定的时间去实习它,不也高兴吗?'" 정도가 되는데 간체자로 한자의 모양이 바뀐 것과 문법적인 변화도 크지만 무엇보다 단음절 어휘가 이음절어로 바뀌면서 문장이 길어진 것과 조사 '了, 的, 也, 嗎'가 새롭게 추가된 점이 눈에 띈다.

언어 습득의 과정이 한 번에 성과를 내기는(一發破的) 힘들지만 자주 등장하는 한자들부터 익혀간다면 중국어도 그리 어려운 난공불락의 요새는 아닐 것이다. 더구나 한자어가 많고, 중국어와 발음이 비슷한 어휘가 많은 우리말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중국어의 3부 능선은 오른 셈이니 말이다.


태그:#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 베이징에서 3년, 산둥성 린이(臨沂)에서 1년 살면서 보고 들은 것들을 학생들에게 들려줍니다. 거대한 중국바닷가를 향해 끊임없이 낚시대를 드리우며 심연의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건져올리려 노력합니다. 저서로 <중국에는 왜 갔어>, <무늬가 있는 중국어>가 있고, 최근에는 책을 읽고 밑줄 긋는 일에 빠져 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