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 바벨'전이 열리는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정면과 전시대형포스터
 '서울 바벨'전이 열리는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정면과 전시대형포스터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격년제로 신세대가 주축이 되는 '세마블르(SeMA Blue)전'이 1월 19일부터 4월 5일까지 1층 전시실에서 67일간 열린다. 이번 전시는 개별 작가가 아닌 현재 서울에서 자생적으로 아트 플랫폼을 만들어 창작하는 작가 17개 팀 70명이 참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간 중간에 퍼포먼스, 작가와 대화, 아카이브 웹 론칭 등도 이어진다.

이들 신세대 '앙팡테리블'은 60년대 작가운영 미술공간(artist-run spaces)이나 90년대 말 국내에 등장한 대안공간과 다르게, 웹, SNS,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소규모디자인스튜디오(small design studio) 혹은 산발적이고 한시적인 모임(temporary art collective) 방식의 느슨한 미술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

박승혁 I '받힘대' 벽돌 스텐인드 스틸 파이프 백시멘트 색소 각각 39*195* 15cm 2015. 일상에서 마주치는 난간함을 자기언어로 치환해 조각화하다
 박승혁 I '받힘대' 벽돌 스텐인드 스틸 파이프 백시멘트 색소 각각 39*195* 15cm 2015. 일상에서 마주치는 난간함을 자기언어로 치환해 조각화하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번 전시제목이 '서울 바벨'인 것은 기존 시스템과는 다른 자기들만의 신기루 현상을 형상화 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은 현재 구산업 지역 혹은 변두리 외곽지역인 을지로, 창신동, 청량리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이런 현상은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난 것이다.

이 SNS세대의 전시를 보니 신영복 선생의 <하방연대>라는 말이 떠올랐다. "물은 낮은 곳으로 흘러 바다가 되듯, 낮은 곳에 있는 이들의 시선을 통해 세상을 바라는 관점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들의 이런 시도는 일종의 예술적 하방연대가 아닌가싶다.

이정형 I '페인터'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5 노동의 결과물보다 그 힘든 과정보여주며 다시 한번 전시가 뭔지 예술이 뭔지를 묻는다
 이정형 I '페인터'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5 노동의 결과물보다 그 힘든 과정보여주며 다시 한번 전시가 뭔지 예술이 뭔지를 묻는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번 전시의 주제 중 하나가 "청년세대 기죽지마라"이다. 그렇지 않아도 요즘 청년실업 등으로 기가 죽어 가는 분위기를 쇄신하고 청년들에게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 넣으려는 의도도 보인다.

'800/40' 장소특정적 미술이주변 환격의 맥락에 의해 형식적으로 규정되거나 방향성이 유도되는 식으로 그 환경의 일부가 된다고 본다. 날자별로 전시가 바뀐다. 800/40은 공간 임대비용이 보증금 800만원에 월세 40만원이란 뜻이다
 '800/40' 장소특정적 미술이주변 환격의 맥락에 의해 형식적으로 규정되거나 방향성이 유도되는 식으로 그 환경의 일부가 된다고 본다. 날자별로 전시가 바뀐다. 800/40은 공간 임대비용이 보증금 800만원에 월세 40만원이란 뜻이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전시의 의의는 그 정도로 이야기하고 처음 이 전시를 보는데 "억!" 소리가 나고 당황스럽다.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담당자의 설명으로는 두 달 넘게 전시하기에 작가의 작품도 바뀐 단다.

이것도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는 일이다. 그야말로 백남준이 좋아하는 비전형과 비선형, 무목적과 무작위, 우연성과 도발성가 바탕이 되는 '랜덤액세스' 방식이다. 다시 말해 이번 전시의 주인은 작가라기보다는 관객이 아닐까 싶다. 관객이 각자 그 나름대로 생각하고 보고 느낀 대로 결론을 내리면 그게 정답이 되는, 그러니까 답이 없는 전시다.

장덕현 I '장벽' 종이에 먹 호분 아클릴 물감 접시물간 2015. 그림을 그리지 않는 무화의 회화를 추구한다
 장덕현 I '장벽' 종이에 먹 호분 아클릴 물감 접시물간 2015. 그림을 그리지 않는 무화의 회화를 추구한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들은 회화부터 설치, 사진, 그래픽, 드로잉 ,영상, 조각, 퍼포먼스, 타이포그래피, 뉴미디어 각양각색의 장르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철옹성 같은 제도권 미술에 뭔가 도전장을 던진다. 제자백가처럼 그들보다 훨씬 더 다채로운 색과 목소리를 낸다.

사실 모든 창조는 언제나 무질서 속에 잉태하고 예술이란 원래 무목적이다. 이런 전시가 혼란스럽고 어지럽게 보이기도 하지만 그 중에서 하나라도 뭔가 건지면 대성공이다.

이런 전시의 당위성을 찾는다면 이번 전시를 통해 일반 언론미디어에는 잘 드러나지 않는 서울에서 사는 젊은 세대의 팍팍한 삶과 젊은 작가들의 치열한 일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우리 미술의 모세혈관 같은 이들 작가들의 유기적이고 독립적인 행보를 시립미술관에 지원하는 건 벤처기업육성처럼 위험하나 또한 기회를 준다는 면에서 고무적이다.

박태오 I '티티나를 찾으러 왔어요' 인터넥티브 설치 LED 조명 젤리빈 실시간 스트리밍 가변설치 2015 남성 성소수자 파트너를 찾기위해 이용하는 웹페이지에서 크롤링한 테이터베이스를 시각한작품이다
 박태오 I '티티나를 찾으러 왔어요' 인터넥티브 설치 LED 조명 젤리빈 실시간 스트리밍 가변설치 2015 남성 성소수자 파트너를 찾기위해 이용하는 웹페이지에서 크롤링한 테이터베이스를 시각한작품이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예술은 사기의 사기를 통해 진정한 아름다움을 창조하고 하듯 다르게 말하면 예술은 숨 막히고 난감한 불통을 통해 작은 소통의 구멍을 여는 것이다. 모든 것이 다 그렇지만 미술도 결국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려는 소통이 그 주제다. 쉽게 말해 부부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자식이듯, 국가와 국가, 정부와 국민을 이어주는 게 예술미디어다.

그런 면에서 예술은 당대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모든 관계가 끊어져 미디어라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축제를 잃게 되고 피곤 사회가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 사회는 아직도 소통이 안 되는 부분이 많다. 이번에 작품명 중에 성소수자 퀴어 게이 등이 등장하는 것은 전향적으로 우리와 취향이 다른 이들마저도 포용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이번 전시기획자 신은진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도 기존의 경계와 통념을 넘어 우리미술을 다 주류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는 게 이번 전시의 의도임을 아래처럼 밝힌다.

이번 전시기획자 신은진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가 작품을 해설하고 있다
 이번 전시기획자 신은진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가 작품을 해설하고 있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역사적으로 예술은 정치사회적, 경제적 흐름과 맥을 같이해 왔다. 대공황 이후 전위예술이 등장하고 1960년대 제국주의와 자본주의를 전복하고 일상을 중시하려는 68혁명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 후 세계미술의 지형도 그런 위기의 목소리와 함께 담아 왔다. IMF이후 한국에서도 주류문화에서 대한 반발현상이 일어났죠."

이번과 같은 열린 형식의 전시는 기존의 상업주의나 순수주의도 넘어선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할 것은 SNS, 스마트 폰 등 급격한 웹 미디어 환경변화로 미술지형도 달라지고 있음을 일깨워준다. 그리고 작품의 결과보다 과정을 보여줘 관객을 끌어들인다는 점이다.

이번 전시는 무엇보다 다시 미술은 뭐고 작가는 누구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묻게 한다. 끝으로 전시후문을 쓴 장진택씨의 격려사 같은 "청년들이여! 명료한 우리의 삶을 살기 위해서 두려워말고 시련을 진정한 자유로움과 해방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자"라는 말이 마음에 와 닿는다.

백남준 I '자화상 달마도(Self-Portrait Dharma Wheel)' 158*126*149cm 소형마차 엔틱 TV상장 모니터 1998년 작 서울시립미술관 캘린더에 소개된 작품
 백남준 I '자화상 달마도(Self-Portrait Dharma Wheel)' 158*126*149cm 소형마차 엔틱 TV상장 모니터 1998년 작 서울시립미술관 캘린더에 소개된 작품
ⓒ 서울시립미술관

관련사진보기


여기에 한 가지 반가운 소식을 전하면 올해가 백남준 선생 작고 10주년을 맞아 서울시립미술관 3층에서 6월 14일부터 7월 31일까지 백남준10주기 추모전을 연다. 백남준과 플럭서스 관련자료, 문서, 회화, 조각, 영상, 설치, 사진 등을 전시하고 백남준 지인들 인터뷰를 바탕으로 백남준 예술 세계를 여러 각도로 재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2016년 7월 20일에는 백남준의 탄생일을 맞아 심포지엄도 열고 플럭서스의 퍼포먼스도 재연한다. 그리고 서울시가 백남준 자택 자리에 있는 50여 평 남짓한 한옥으로 된 음식점 건물(동대문구 창신동 197-33) 매입했단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앞으로 이 운영을 도맡게 된다. 보다 창의적 전시가 기대된다.

또 한 가지 정보를 추가하면 이번에 서울시립미술관에서는 컬렉션해온 작품 200점을 소개하는 450쪽짜리 <SeMA Collection 200>을 냈다. 컬렉션은 그 미술관의 얼굴이자 정체성이다. 알찬 작품이 많다 국내 국공립미술관 중 소장품출판물은 낸 것이 처음이란다. 이 책은 핵심은 수준 높은 작품해제인데 이것은 외부 소장품연구협력팀의 공이란다.

덧붙이는 글 | 서울시립미술관 (02)2124-8800



태그:#서울시립미술관, #'세마블르(SEMA BLUE)전', #하방연대, #SEMA COLLECTION 200, #SEMA 9景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 중 현대미술을 대중과 다양하게 접촉시키려는 매치메이커. 현대미술과 관련된 전시나 뉴스 취재. 최근에는 백남준 작품세계를 주로 다룬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