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 병풍바위의 봄 풍경 -
ⓒ 이만유

관련사진보기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에는 아름드리 소나무 울창한 숲과 봄이면 벚꽃, 수진달래가 절경을 이루는 아름다운 자연과 인공으로 만든 교량 세 개가 조화를 이루는 경북 팔경 중 제1경인 진남교반(鎭南橋畔)이 있다.

이곳은 세종실록지리지에 명시된 낙동강 발원지 초점(현 조령)에서 발원한 조령천이 흘려내러 오다 가은천과 합류, 영강이 되어 돌아나가는 곳인데 기암괴석과 깎아지른 듯한 층암절벽이 길게 이어진 병풍바위가 있다.(관련기사 : 낙동강 발원지 '초점'을 아십니까)

여기에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일본 육군 헌병 이등군조 대산변장이 전선 감시업무 중 사망한 것을 기리기 위한 마애비(磨崖碑, 석벽에 글자나 그림 불상 따위를 새긴 비)가 하나 새겨져 있다. 이는 일제강점기 이전에 세워졌다.

-
▲ 마애비 각자 -
ⓒ 이만유

관련사진보기


비문은 고육군헌병이등군조대산변장군지비(故陸軍憲兵二等軍曹大山辨藏君之碑)이고
그 옆에 전선감시귀도익사(電線監視歸途溺死) 명치삼십일년칠월삼십일(明治三十一年七月三十日)이라고 새겨져 있다.

비문 내용을 해석하려면 비문 중 생소한 문구를 알아보아야 하는데 첫째가 이등군조(二等軍曹)이고 다음은 명치삼십일년(明治三十一年)과 죽은 사람의 이름인 대산변장(大山辨藏)이다.

그래서 알아본 결과 '이등군조'는 일제 강점기 때, 일본 육군의 계급체계 중 하나로 군조(軍曹)가 있고 그 위에 이등군조, 일등군조(一等軍曹)가 있다. 이것을 현 한국 육군 계급체계에 적용하면 정확한 대응은 아니지만 모두 부사관으로서 중사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다음은 '명치삼십일년칠월삼십일'인데 '명치'는 일본 메이지 천황 시대 연호(1868-1912)로서 '명치삼십일년'은 1898년에 해당되고 '대산변장'은 '오오야마헨조우'(おおやまへんぞう)로 표기해야 할 것 같다.

-
▲ 마애비 각자 2 -
ⓒ 이만유

관련사진보기


그래서 이 마애비 내용을 종합하면 "고 육군 헌병 이등군조(중사) 대산변장(오오야마헨조우-말할 땐 오를 장음으로 한 오야마) 군의 비이며 전선(電線) 감시활동을 하다가 돌아오는 길에 익사했다. 그래서 1898년 7월 30일 비를 세웠다"가 된다.

그렇다면 이 마애비의 발견으로 생각해 보고 규명해야 할 것은 그 당시의 시대 및 정치 상황과 아직 경술국치(1910년)가 있기 전인데 일제가 어떤 위치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알아야 하고 전선의 관리를 왜 일본군 헌병이 했고 어느 군대 소속이 관리, 감시 감독했느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1898년은 고종 때에 사용한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인 광무(光武) 2년이고
갑오개혁(1894), 을미사변(1895)이 있었고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다툰 청일전쟁(1894년 6월~1895년 4월)이 끝난 후 3년이 지난 시점이며 그 후 을사늑약(1905년), 러일전쟁(1904∼1905)이 있었다.

이런 마애비 설치 전후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 육군 헌병이 문경에 주둔, 임무를 수행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조사, 연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 병풍바위와 마애비 위치 1 -
ⓒ 이만유

관련사진보기


그래서 일본 육군 헌병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일제는 1881년 조례를 제정하고 헌병을 설치하였고 육군 헌병은 행정, 사법 경찰을 맡은 병과였고 민간인에게도 일반경찰 업무를 실시하여 검문, 체포, 구금, 수사 등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과 타이완에서는 헌병이 억압적인 식민통치를 하는 도구였다. 한반도 주둔 헌병은 1907년 제3차 한일협약에 따라 구한말 경찰권은 일본에 위임되었고 독립운동을 억압하고 항일봉기에 대비하는 데 필요한 조직이었다.

그리고 전선(電線) 감시활동을 했다는 이유는 무엇인가? 혹시 문경이 우리나라 석탄생산에서 강원도 다음인 제2 탄전지대인 바 일제가 지질조사를 끝내고 침략 시 석탄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사전 전력을 공급한 시설이 아닌가도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남한 최초의 광산인 문경탄광(대성탄좌)은 1926년 개광되었고 일제가 수립한 은성광업소는 1938년 개광됐다. 이 지역 전기공급을 위해 조선전업(주) 강원도 영월화력발전소에서 1941년에 고압 철주를 설치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영월발전소 건설 43년 전인 1898년에 전선 감시라고 하니 그 당시 전선이 뭔지 알 수 없고 앞뒤가 맞지 않아 이 또한 조사해 보아야 할 과제이다.

-
▲ 병풍바위와 마애비 위치 2 -
ⓒ 이만유

관련사진보기


비문에 있는 전선이 꼭 송전시설의 전기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고 알아보니 일제가 1884년에 일본-부산 간 해저전선을 설치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서울-인천 간 서로전선을 불법적으로 접수하고 이어 서울-부산 간 군용선도 불법적으로 가설하는 등 통신선 확보에 전력을 기울였다.

청일전쟁이 끝난 뒤에도 헌병에게 각 전선을 지키도록 하였고 1896년 이후 일반 전신업무를 취급했는데, 임시 육군전신대와 임시 헌병대를 두어 이를 운영하도록 했다는 자료가 있음을 보면 이는 전기가 아닌 통신선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 마애비의 주인공도 그런 역할을 했던 헌병일 것이다.

참고로 이 마애비 사진은 2016년 3월 21일 촬영한 것이며 문경구곡원림보존회가 추진하는 21세기 신 구곡원림 "영강구곡" 설정을 위한 현지답사 시(2015년) 제8곡 병암에서 발견한 것을 시간을 두고 조사하여 영강구곡 설정 선포식 때 발표하려 하였으나 더 많은 사람에게 미리 알려 관련 자료의 협조를 받기 위해 나름 미애비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먼저 조사, 보도하게 되었다.

-
▲ 병풍바위 봄 풍경 2 -
ⓒ 이만유

관련사진보기




태그:#문경, #진남교반, #마애비, #헌병, #일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정의와 진실』이 승리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떤 힘에도 구애받지 않고 소신을 가지고 임하겠으며 고통 받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사람 사는 이야기, 지방화시대에 부응하여 지역의 특수시책. 문화. 축제 등을 보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