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리산 종석대를 구름이 떠받치고 있습니다. 해탈로 가는 종석대 돌종소리를 기대했건만...
 지리산 종석대를 구름이 떠받치고 있습니다. 해탈로 가는 종석대 돌종소리를 기대했건만...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희망사항이 있었습니다. 가당찮게 "깨우침을 얻은 사람만이 들을 수 있는 종석대 돌종(石鐘) 소리" 듣기를 학수고대했습니다. 이 욕심이 지리산 종석대 밑 '우번암'으로 이끌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혹시나'는 '역시나'였습니다. 게으른 중생이 무슨 '해탈'을 얻겠다고 감히 나섰을꼬. 그럼에도 깨우침이 있었습니다.

걸음을 멈췄습니다. 노고단과 종석대가 훤히 보이는 바위에 섰습니다. 자두를 꺼냈습니다. 자두는 목마름과 허기를 동시에 물리칠 비책이었지요. 노고단을 휘감은 구름이 한입 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땅에 씨를 뿌리는 것으로 대신했습니다. 훗날 이 길에서 주렁주렁 달린 자두와 만나는 상상을 했습니다. 우번암 별채, 해우소를 거쳐 우번암에 이르렀습니다.

40여 년 홀로 수행하신 스님, 마음의 문을 열다!

지리산 종석대 밑 우번암입니다. 양철집입니다. 더덕이 줄타기를 합니다.
 지리산 종석대 밑 우번암입니다. 양철집입니다. 더덕이 줄타기를 합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우번암(牛翻庵)은 양철집입니다. 양철지붕이 비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줄로 단단히 동여 맺습니다. 더덕이 줄을 타고 오릅니다. 더덕 향이 우번암을 감쌉니다. 향초가 굳이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유리를 통해 절집에서 움직이는 한 사람을 봅니다. 절집 옆으로 텃밭과 우물, 산신각이 자리합니다. 지인이 샘에서 물을 떠 산신각에 올립니다. 물 한 모금 마십니다. 시원합니다.

소담한 장독들 반질반질 합니다. 이걸 보니 부지런한 스님 같습니다. 문 여는 소리와 함께 민머리를 한, 사람이 나옵니다. 오전 예불을 마친 법종 스님일 거란 짐작뿐. 그가 사람을 보고도 아무 말 없이 샘터에서 그릇을 씻습니다. 부처님께 제를 올렸던 그릇들입니다. 스치는 나그네가 익숙한 듯합니다. 우물가의 스님 옆으로 다가가 말을 건넵니다.

그물 쳐진 텃밭 우번대와 우번암 그리고 수행자...
 그물 쳐진 텃밭 우번대와 우번암 그리고 수행자...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스님, 암자에 사람들이 자주 오나요?"
"예전에는 일 년에 두 세 사람 봤는데, 요즘은 지나는 사람이 조금 있습니다. 사람들이 사진과 글을 인터넷에 올려 많이 알려졌습니다."

지인이 서먹한 대화 사이에 끼어들었습니다.

"법종 스님, 안녕하십니까?"
"어~, 난 또 누구시라고. 어서 오세요."

목소리가 확 달라졌습니다. 스님, 경계하던 모습은 온데간데없습니다. 친근함과 반가움이 앞섭니다. 아는 사람에게 특히 잘한다는 우리네 모습 그대롭니다. 스님, 촌로 같다더니 영락없이 촌로입니다. 40여 년을 우번암에서 홀로 수행하셨다는 법종 스님, 그렇게 마음의 문을 열었습니다.

법종 스님의 해맑음을 토끼가 알아 봐 '이심전심'

지리산 우번암 부처님께 신고식 중입니다.
 지리산 우번암 부처님께 신고식 중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법당으로 향합니다. 오래된 토굴이라 문 열기도 힘듭니다. 삐걱대는 문, 겨우 열었습니다. 목탁, 죽비, 법요집 등이 놓인 탁자. 걸린 승복. 켜진 촛불. 연등. 문수도량인 지리산,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을 모셨습니다. 벽 한쪽엔 달마도가 걸렸습니다. 삼배를 올립니다.

"스님, 식사하세요. 스님 것까지 김밥 세 개 사왔습니다."

피식 웃음이 납니다. 오지 절집에서 점심 공양이 김밥이라니. 스님도 머쓱했을까. 옥수수 세 개를 내오십니다. 그러면서 "간을 안 한 자연 그대로의 옥수수 맛이라 입맛에 맞으려나?" 하십니다. 오지 산중에 눈으로 먹는 옥수수 맛은 일품입니다. 셋이 우번대(텃밭) 앞 평상에 앉아 김밥으로 황제의 밥상을 차렸습니다. 옥수수 하나를 집어 들었습니다. 자연의 맛 그대롭니다. 음식을 남겼습니다. 산짐승들 몫입니다.

지리산 우번암에서 차린 황제의 만찬입니다.
 지리산 우번암에서 차린 황제의 만찬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암자에 재밌는 일이 생겼습니다. 산토끼가 어제 오늘 이틀 연속 오더니, 내가 가까이 가도 풀만 먹고 도망을 안 가요. 좋은 일 있으려나 했습니다."
"저희가 올 줄 토끼가 벌써 알았나 봅니다. 산속에 같이 사는 식군 줄 토끼가 안 게죠."
"내가 고기나 먹고, 나쁜 짓하며 살았어 봐. 산토끼가 진작에 도망갔지."
"그러게요. 토끼들도 사람 보는 눈이 있겠지요."

스님의 해맑음을 토끼가 안 게지요. 이심전심. 자연 속에 있으니 스스로 자연이 된 게지요. 스님의 천진하고 선한 눈은 순간순간 번쩍였습니다. 우번암은 "50년 전쯤 스님의 스승인 백운 스님이 지었다"고 합니다. 이후 지금의 법종 스님이 백운 스님을 대신해 수행 중입니다. 우번암은 경허 스님(1849~1912)의 3대 제자인 삼월(三月) 중 맏상좌인 수월 스님 등이 머문 곳입니다.

돌종 소리 '종석대'와 우번 스님의 전설 '우번대'

지리산 우번암 법종 스님, 말하던 중 예사롭지 않은 눈빛이 드러납니다.
 지리산 우번암 법종 스님, 말하던 중 예사롭지 않은 눈빛이 드러납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처음에는 나 혼자 있으면서 보따리 많아 쌌어. 나가도 며칠 있으면 다시 여기로 돌아와 있더라고. 또 지리산 노고단을 지키는 삼신 할매가 나를 잡아먹으려고 많이 나타났어. 할매랑 같이 싸워 이긴 후에는 다시는 안 나타나대. 할매가 어디 그냥 할맨가. 부처님이지. 저놈이 여기서 얼마나 버티나 보자 시험한 거지. 그렇게 사십 년이 훌쩍 넘었어."

홀로 수행한 역사가 들어 있었습니다. 이는 종석대 돌종이 다른 방식으로 울렸다는 소리였습니다. 스님, 경허 스님 일화와 우번대의 전설을 만지작거리더니 일순간 꺼내십니다.

"경허 스님이 수행하던 중, 불공드리러 온 여자와 한 방에 살게 됐대. 근데 스님과 여자가 한 방에 같이 살아도 아무 일이 없는 거라. 그 여자가 불공을 마치고 돌아가면서 '난 여자 아니냐?'고 서운해 했대. 경허 스님은 남녀 구분을 이미 넘은 거지."

"신라 때 젊은 스님 우번이 상선암을 찾아 10년 좌선 수도를 결심하고 수행했다. 9년째 되는 어느 날, 소복 입은 한 여인이 나타났다. 유혹에 넘어간 우번은 여인을 따라 종석대에 올랐다. 어느 순간 여인은 사라지고 관세음보살이 서 있었다. 우번은 관세음보살이 자기를 시험하기 위해 여자로 변신한 것임을 깨닫고 어리석음과 허튼 마음을 참회했다. 우번이 다시 눈을 뜨니 관세음보살은 간데없고 그 자리에 큰 바위만 우뚝 서 있었다.

우번은 수행 부족을 깨닫고 상선암 대신, 관세음보살이 서 있던 그 바위 밑에 토굴을 파고 수도했다. 우번은 마침내 성불하여 신라의 큰 스님이 되었다. 우번 스님이 도통하는 순간, 신비롭고 아름다운 돌종 소리가 울렸다 하여, '종석대'라 부른다. 종석대는 우번 조사가 수도정진한 곳이라 '우번대', 관세음보살이 현신했던 자리라 '관음대'라고도 불린다."

스님, 외로움을 어떻게 이기셨습니까?...'수행'

우물가에 나오신 법종 스님, 나그네를 몬네몬네 바라보았습니다만 이내 마음 문을 열었지요.
 우물가에 나오신 법종 스님, 나그네를 몬네몬네 바라보았습니다만 이내 마음 문을 열었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스님, 외로움을 어떻게 이기셨습니까?"

혼자 40여 년 수행 중인 법종 스님을 만나면 던질 화두였습니다. 그러나 스님을 만난 후 질문을 거둬들였습니다. 그는 부처님 전에 매일 하루 세 차례씩 예불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고행(苦行) 속 수행이 모든 것을 이기는 원동력이었습니다. 하여, 외로움 대신 삶에 대해 물었습니다.

"삶은 인간이 가야 하는 길입니다. 나쁜 짓하지 말고 착하게 살아야 합니다. 인연법이지요. 당한 사람은 발 뻗고 자지만 가해자는 발 뻗고 못자는 이치입니다. 이것도 내가 당해보니 꼭 그런 것 같지 않아요. 저도 사진을 20여 년 했어요. 어느 날 필름, 사진, 카메라를 다 도둑 맞았어요. 사진에 미쳐 다니니까 부처님이 정신 차리라고 그랬나 보다 했지요. 참선은 자기가 찍으려는 사진 앵글이 잡히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아요. 이게 삶이지요."

우번암, 하룻밤을 자야겠습니다.
 우번암, 하룻밤을 자야겠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스님, 60대로 뵈는데 76세랍니다. "이제 몸이 예전 같지 않다"며 "병원에 가야"하는 서글픔을 전했습니다. 누군들 육신의 나이를 이기겠습니까. 그러면서 스님은 병원비 걱정을 했습니다. 혼자 수도 정진하느라 무소유 삶을 살았기에 충분히 이해됩니다. 병원비, 제가 후원하겠다고 큰소리쳤습니다. 부처님께서 후원자를 물색해 주시리라 믿으면서!

스님, 길 떠날 채비합니다. 경북 구미에서 오는 손님 맞기 위함입니다. 그분이 우번암에서 쓰는 양초를 도맡아 대준다니 감사할 일이지요. 이런 공덕이 모여 큰 덕을 입을 겁니다. 인연법. 하룻밤 묵을 날을 기약하며 스님과 함께 길을 나섰습니다.

우번암 산신각입니다. 소박허나 자연 그대로 천하를 담은 지혜가 돋보입니다.
 우번암 산신각입니다. 소박허나 자연 그대로 천하를 담은 지혜가 돋보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SNS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우번암, #지리산, #종석대, #법종스님, #더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