꽤 시간이 지난 일이지만, 언젠가 방송에서 한 남성 연예인이 동성 친구로부터 고백을 받은 사연을 들은 적이 있다. 이야기 자체는 딱히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기억에 남는 것은 고백에 대한 그의 반응이었다. 그는 집으로 가서 '한 대야를 토했다'고 언급했다. 물론 어린 시절의 그가 그런 반응을 보인 것에 비난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시간이 흐른 후 그 이야기를 하며 낄낄거리는 것은 매우 충격적인 일이었다. 나는 무엇보다 고백을 한 당사자는 어떤 심정일까 걱정되었다. 용기를 내 전한 자신의 마음이 그렇게 웃음거리가 되는걸 보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사람들은 보통 사랑을 경험하는 방식이 보편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은 '짝사랑'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그래서 이루지 못한 일방적 사랑을 다룬 영화나 노래는 시간이 지나도 쏟아져 나온다. 그리고 그 작품들이 보여주는 서사는 표현 방식만 다를 뿐 대부분 비슷하다. 자신을 마음을 전하지 못하는 초조함, 돌아오지 않는 애정을 쏟아 붇는데서 오는 고통,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간절함과 좌절감 등. 사람들은 이런 식의 짝사랑을 인생에서 누구나 한 번쯤 겪는 보편적인 과정이라 전제한다. 그래서 이들이 말하는 애틋함에 공감하곤 한다.

보편적이지 않은 '짝사랑'의 경험

그러나 대부분의 모든 인생의 일이 그렇듯, 애정 또한 보편적인 경험의 방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사람이 누구이고, 어떤 조건에 처해 있느냐에 따라 사랑 역시도 천차만별의 이야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 가령 어떤 고백이 마주하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는 미안함이지만, 어떤 고백에는 '어떻게, 네가 감히'와 같은 반응이 돌아오곤 한다. 후자의 반응은 고백을 한 사람이 처한 사회적 조건이 열악하거나 혹은 사회적 자원이 전무할 때 마주하기 쉽다. 더 나아가 그 사람의 사랑이 금기의 대상일 때는 이루 말할 것도 없다.

가령 이성애자에 대한 동성애자의 사랑이 그렇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 같지만, 생각보다 빈번히 일어난다. 사람 마음이 그렇다. 감정이라는 것이 절대로 내가 정한 조건 안에서만 흐르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아무튼 이런 식의 사랑에서 이들이 '거부'만을 마주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은 '토를 한 대야'를 하는 수준의 강렬한 혐오를 마주한다. 어떤 이들은 짝사랑의 실패에서 좌절감만을 맛볼지 모르지만, 누군가는 거기에 더불어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재확인하는 경험을 한다. 자신이 사랑했던 사람을 통해, 스스로가 얼마나 끔찍한 존재로 치부되는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슬픔'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기에 부족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과정에서 자기 삶을 저주 그 자체로 느낀다.

누군가의 사랑이 '혐오'의 대상이 될 때

 노래 'Masterpiece'가 수록된 마돈나의 앨범 <MDNA>

노래 'Masterpiece'가 수록된 마돈나의 앨범 ⓒ 마돈나


때문에 대부분의 짝사랑을 다룬 이야기들에 이런 경험을 한 사람이 완전히 이입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된다. 아이유의 노래 <좋은 날>에서 처럼, 누군가는 '자존심을 곱게 접어 하늘 위로' 보내는 것만으로 고백이 가능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성애자에 대한 동성애자의 고백은 그야말로 자기 삶을 걸어야 할 문제로 다가온다. 그 과정을 통해 마주할 끔찍한 진실(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혐오한다)도 그렇지만 그 이후의 파장도 문제다. 이들의 고백은 단순히 '소문'이 아니라 '추문'이 된다. 공동체에서 배제될 위험은 물론이거니와, 특히나 10대의 경우 직접적인 폭력에 노출될 위험이 더 크게 존재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살아간다. 용기가 없어서가 아니라, 스스로를 지키려면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선택이다. 그리고 성소수자로서 형성한 인간관계가 전무하다면, 그 감정은 오롯이 혼자 삭혀야 하는 것이 된다. 철저히 나를 숨기고 사랑하는 사람을 바라보기만 해야 한다. 나는 이러한 감정을 적합하게 표현한 노래가 없을까를 생각하다, 마돈나의 <Masterpiece>를 떠올렸다. 이 노래는 그녀가 감독한 영화 <W.E.>의 주제가로 발표되었다. 그녀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다가서지 못하는 화자의 감정을, 마치 완벽한 예술품을 먼발치서 바라만 봐야하는 심정으로 은유했다. 특별히 내게 인상깊게 다가온 부분은 이 구절이었다.

"그리고 난 당신 바로 곁에 서 있어요 / 마치 한밤중의 도둑처럼 / 당신이라는 완벽한 작품 앞에 서 있죠. / 그리고 나는 이유는 말할 수 없지만 / 너무나도 마음이 아파요 / 당신이라는 완벽한 작품과 사랑에 빠져서."

보편적인 좌절의 경험이 평등해지길



누군가가 완벽한 예술품이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깊은 사랑에 빠지지만, 오직 누구도 없는 한밤중에만 마치 도둑처럼 그 사람 곁에 설 수 없는 감정. 그리고 그 앞에서 이유는 말 할수 없지만 너무나도 마음이 아픈 감정. 나는 자신의 사랑이 금기시 되어있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도 나를 혐오할지 모른다는 상황에서, 당사자들이 느낀 감정이 이런 것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말하자면 자신을 철저하게 숨기고, 자기 감정을 이야기 할 수 없는 사람들 짝사랑은 이렇게 서술되지 않을까.

하지만 나는 모든 성소수자들의 짝사랑이 이런 식으로만 경험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 사람의 사랑이 이상한 것이 아닐 때, 나아가 혐오의 대상이 아닐 때, 그것이 말해질 수 있고 고백하는 사람이 거부 이외에 다른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때, 이성애자에 대한 동성애자의 사랑도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 되지 않을까. 나는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사랑받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며, 그래서 그것을 원하지도 않는다. 다만 사람들이 말하는 '보편적인 좌절의 고통'이 모두가 공평하게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그리고 나는 분명히 이 문제는 사회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나 성적지향이나 성정체성에 상관 없이, 그리고 어떤 사람을 사랑했느냐에 상관 없이, 자신의 사랑이 좌절된 경험 속에서 딱 그것 만의 고통을 느끼기를 나는 희망한다. 그리고 누군가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마음껏 터놓을 수 있기를, 고백의 과정이 자기 혐오의 과정으로 전환되지 않기를, 그리고 홀로 삭이지 않고 마음껏 울수 있기를 간절하게 바란다. 마지막으로 소개한 노래의 가사 일부를 전하고 싶다.

"벨벳으로 만들어진 밧줄 뒤에 서 있지만, 나는 모든 희망을 포기하지 않겠어요."

성소수자 사랑 짝사랑 혐오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