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민중총궐기 대회가 12일 서울 세종로, 태평로 일대에서 열린 가운데 수십만의 참가자가 촛불을 밝히고 있다.
▲ '박근혜 퇴진' 외친 100만 촛불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민중총궐기 대회가 12일 서울 세종로, 태평로 일대에서 열린 가운데 수십만의 참가자가 촛불을 밝히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100만 촛불의 힘. 최순실 국정농단에 맞선 '박근혜 정권 퇴진 3차 범국민행동'이 열린 지난 12일 오후 광화문 일대에 100만 명이 넘는 시민이 운집한 걸로 알려진 가운데,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날 2016 민중총괄기와 범국민행동이 열린 서울시청 광장과 광화문광장 일대는 물론, 사직로에서 안국동사거리, 새문안로에서 종로2가, 청계천광장과 청계천로, 신문로에서 을지로2가, 남대문로까지 인도, 차도 구분 없이 인파로 가득 찼다. 주최쪽에선 이날 7시 30분쯤 집회 참여 인원이 100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지만, 같은 시간 경찰은 26만 명이 모였다고 추산했다. 주최쪽과 무려 4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과연 이날 정확한 집회 참가자 숫자가 얼마인지 <오마이팩트>에서 따져봤다.

100만 대 26만, 집회 참여 인원 4배 격차 이유는?

집회 참가자수 차이가 나는 건 이날뿐이 아니다. 지난 5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2차 범국민행동 참가자도 주최쪽은 20만 명이라고 밝혔지만 경찰 추산은 4만 5천 명 수준에 그쳤다.

또 지난 2008년 6월 10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집회 때도 주최 쪽은 50만 명이 참여했다고 밝혔지만, 경찰은 10만 명으로 추산했고, 지난 2004년 3월 20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100만인 대회 때도 주최 쪽은 25만 명, 경찰은 13만 명이라고 추산했다.

이처럼 주최 쪽과 경찰 추산 차이가 이렇게 큰 건 집계 방식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주최 쪽은 집회 장소에 잠시라도 머문 모든 참가자를 더한 연인원을 집계하는 반면, 경찰은 특정시간대(12일은 오후 7시 30분 기준)에 모인 순간 최대 인원만 집계한다. 경찰이 사용하는 '페르미 추정법'은 집회 장소 전체 면적에 단위면적당 인원수를 곱해 계산한다. 경찰은 1평(3.3제곱미터)에 앉을 수 있는 성인 숫자를 5~6명, 서 있을 경우 9~10명 정도로 계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2002년 월드컵 거리 응원의 경우 경찰의 최대 인원 집계 방식이 적절할 수 있다. 참가자들이 대부분 축구 경기가 진행 되는 2시간 정도에 집중적으로 모이기 때문이다. 반면 시국 집회처럼 장시간 이어지는 행사 참여 인원을 계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지난 12일에도 오후 2시부터 사전행사가 대학로를 비롯한 서울 도심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열렸고, 본행사도 오후 4시 서울광장 민중총궐기에 이어 오후 7시 30분 광화문광장 범국민행동으로 계속 이어졌다. 또 공식 행사가 끝난 뒤에도 경찰 저지선인 경복궁역 앞을 비롯한 광장 곳곳에서 시민 발언대가 다음날 새벽까지 계속 이어졌다. 이날 행사장에 장시간 머물기 어려운 어린 자녀나 노부모를 동반한 가족 단위 참가자나 중고등학생들이 많았던 점을 감안하면, 연인원 집계 방식이 더 합리적이다.

문제는 연인원은 정확한 집계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들어오고 나가는 인원을 정확하게 집계할 수 없어 최대 참여 인원을 기준으로 어림짐작할 수밖에 없다.

남정수 민주노총 대변인은 14일 "지난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각종 집회 경험을 토대로 연인원을 추정할 뿐 집계 방식이 따로 있는 건 아니다"라면서 "다만 이날 각 단위에서 집계한 민주노총 참가자들만 15만~17만 명 정도로 역대 최대 규모였다"고 밝혔다. 남 대변인은 "전체 참가자는 애초 최소 50만 명에서 최대 70만~80만 명 정도를 예상했는데 일반 시민 참여가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다"고 덧붙였다.

과거 여의도 광장처럼 전체 집회 참가자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규모 집회 장소가 사라진 점도 정확한 참여 인원 집계를 어렵게 만든다. 지난 1971년 박정희 정권 당시 '5.16광장'으로 출발한 여의도광장은 지난 1999년 여의도공원으로 탈바꿈하기까지 단골 집회 장소였다. 모두 아스팔트로 포장된 여의도광장 전체 면적은 12만 평(약 40만 제곱미터)에 달해 한꺼번에 100만 명 이상이 모일 수 있었고 비행기 활주로 역할도 했다.

지난 1987년 대선 당시 노태우, 김대중, 김영삼 후보 유세에 130만 명 이상이 모인 걸로 추산되고, 지난 1984년과 198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방한했을 때도 각각 100만 명, 65만 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여의도 광장에 모인 걸로 알려졌다.

여의도공원이 없어진 뒤 광화문광장과 서울시청광장에서 주로 대규모 집회가 열리지만 각각 1만3207제곱미터, 1만8840제곱미터 규모로, 합쳐도 여의도 광장의 1/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대규모 집회가 열리면 세종대로와 태평로, 광화문4거리, 종로를 비롯한 차도는 물론 이면도로까지 인파로 들어차기 일쑤여서 면적 대비 참가자수 계산이 복잡해진다.

면적 기준 30만 명 이상... 유동 인원 포함하면 3배 늘어

6.10 항쟁 기념일인 지난 2008년 6월 10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 일대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학생과 시민들이 전면 재협상을 촉구하며 촛불 행진을 하고 있다. 당시 주최쪽은 집회 참여인원을 50만 명, 경찰은 10만 명으로 추산했다. 경찰 추산 인원은 정확한 유동 인원을 따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6.10 항쟁 기념일인 지난 2008년 6월 10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 일대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학생과 시민들이 전면 재협상을 촉구하며 촛불 행진을 하고 있다. 당시 주최쪽은 집회 참여인원을 50만 명, 경찰은 10만 명으로 추산했다. 경찰 추산 인원은 정확한 유동 인원을 따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지난 12일 촛불 인파들이 가득 들어찬 광화문 일대 면적은 네이버 지도상으로 약 19만 제곱미터(5만8000평) 정도로 추정된다. 경찰 계산법대로 1평에 성인 5명씩 모두 앉아있다고 가정하면 29만 명으로 경찰 추정치인 26만 명과 비슷하다. 하지만 성인 10명이 모두 서 있다고 가정하면 최대 58만 명이고, 면적 계산에서 빠진 주요 길목에 있거나 이동 중인 참가자들까지 포함하면 그 숫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경찰 집계 방법 자체도 과소 추정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지난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찰측 추산은 약 0.33평방미터 당 1명 꼴이지만) 공연장 맨 앞의 밀집한 멈춰있는 군중의 밀도(Mosh-pit 밀도)는 0.23평방미터 당 1명"이라면서 "Mosh-pit 밀도로 추산하면 경찰측 추산보다 약간 더 많은 34만 명"이라고 밝혔다.

실제 지난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촛불 집회 당시 <오마이뉴스>에서 1평당 몇 명까지 들어갈 수 있는지 직접 측정했더니 앉았을 때는 8명, 섰을 때는 15명 정도로 경찰 추정치보다 50% 정도 많았다. 경찰에서 순간 최대 인원을 집계할 때 실제보다 과소 추정하고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고무줄' 집회참가자수, 경찰추산 2배면 정답?)

여기에 이동 인원과 유동 인원까지 계산하면 참가자 숫자는 더 늘어난다. 앞서 원병묵 교수는 "집회가 열린 시간이 오후 4시부터 밤 10시까지로 보고(6시간) 대략 한 사람이 한 공간에 머문 시간을 '2시간' 정도로 본다면 3명의 유동 인원이 같은 공간에 다른 시간 동안 참석했다고 유추할 수 있다"면서 "그렇게 추산하면 Mosh-pit 밀도로 추산한 34만 명의 3배를 하면 된다. 어림잡아 100만 명"이라고 추정했다.

실제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도 13일 "12일 광화문광장 일대 12개 지하철 역사 이용객수가 15년 11월 토요일 평균 대비 승차 기준 49만 6천여 명, 하차 기준 51만 5천여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광화문역 하차 인원은 평소 3만 명 수준에서 11만 명으로, 시청역은 4만 명에서 20만 명 수준으로 4~5배 가량 늘었다. 당일 도로 통제로 지하철 교통수단 분담률이 평소(39% 기준 125만 명)보다 늘어났다고 해도, 이날 100만 명 이상이 광화문 일대를 찾았다는 방증이다.


태그:#최순실게이트, #100만촛불, #박근혜하야, #광화문, #경찰
댓글2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기사는 연재 오마이팩트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장지혜 기자 입니다.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기보다는 세상으로 바람을 날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