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왜 '돌림풀이'와 '겹말풀이'를 벗기는가?
글쓴이는 2016년 6월에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이라는 작은 한국말사전(국어사전)을 한 권 써냈습니다. 이 작은 한국말사전을 써내려고 다른 한국말사전을 살피는 동안, 한국에서 그동안 나온 사전은 하나같이 돌림풀이와 겹말풀이에 갇혀서 한국말을 제대로 밝히거나 알리는 구실을 거의 못했구나 하고 깨달았습니다. 제가 쓴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에는 '한국말을 새롭게 손질한 뜻풀이'만 실었습니다. 그래서 그 책에서는 못 싣거나 못 다룬 이야기를 찬찬히 풀어내 보려 합니다. 오늘날 한국에서 가장 권위가 있다고 하는 두 가지 사전(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하고 북녘에서 내놓은 한 가지 사전(조선말대사전)에 실린 뜻풀이를 살피면서, 앞으로 한국말이 새롭게 나아가거나 거듭나야 할 길을 짚어 보고자 합니다.


한국말로 생각하는 기쁨 찾기

'국어사전 돌림풀이 벗기기' 아홉째 글입니다. 아홉째 글에서는 '기상청'이라는 공공기관 이름을 둘러싸고 '기상-기후' 두 한자말을 헤아려 봅니다. '날씨'로 고쳐써야 알맞을 '기상'이라는 일본 한자말이라 한다면, 공공기관 이름도 이제는 슬기로우며 한국말답게 고칠 수 있는 몸짓이 기쁘게 나올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퍽 오래 써 온 말이라는 생각을 내려놓고, 앞으로 두고두고 쓸 아름다운 말을 생각할 때에 아름답다고 봅니다.

기상청 누리집. 기관 이름은 '기상'을 넣지만, 다른 자리에는 거의 모두 '날씨'로 적습니다.
 기상청 누리집. 기관 이름은 '기상'을 넣지만, 다른 자리에는 거의 모두 '날씨'로 적습니다.
ⓒ 기상청

관련사진보기


ㄱ. 기후·기상·계절·날씨·철

한국말로 생각하는 기쁨을 누린다면 한국사람이 쓰는 한국말은 눈부시게 발돋움하리라 봅니다. 한국사람한테 아무리 빼어난 글(한글)이 있다고 하더라도, 정작 이 글에 담을 말(한국말)을 슬기롭게 가다듬지 못한 나머지 '한국말로 새롭게 생각을 짓는 기쁨'을 누리지 못한다면, 한국말은 제자리걸음이나 뒷걸음을 칠밖에 없구나 싶어요.

영어를 쓰든 한자말을 쓰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쓸 만할 때에는 쓰면 됩니다. 아직 다른 나라 문화나 문명을 우리 나름대로 삭히거나 거르지 못했으면 한동안 영어이든 한자말이든 다른 외국말이든 얼마든지 쓸 만해요. 다만 열 해가 가고 스무 해가 가며 쉰 해가 가는 동안 우리 나름대로 삭히거나 거르는 몸짓이 없다면, 이리하여 한국사람이 한국말로 스스로 생각을 짓지 않는다면 어찌 될까요?

모든 낱말을 우리 손으로 지을 수 없다고 여기곤 하는데, 참말 이와 같은가를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 처음부터 '우리 손으로 지을 수 없다'는 생각에 갇히는 바람에 막상 우리가 얼마든지 새로 지을 수 있는 말도 미처 제대로 못 짓고 그냥 지나친 셈일 수 있거든요.

고장마다 오랫동안 이어온 고장말을 헤아려 봅니다. 큰 테두리에서 함경말하고 평안말하고 황해말하고 경기말하고 강원말하고 충청말하고 전라말하고 경상말하고 제주말이 모두 달라요. 함경도나 경상도에서도 작은 고장에서 다 다른 말을 쓰고, 더 작은 고을에서는 또 다 다른 말을 쓰며, 더 작은 마을에서는 또 다 다른 말을 씁니다. 마을이나 고을이나 고장마다 스스로 삶과 살림을 짓는 터라, 이러한 삶결과 살림결에 맞추어 '즐겁게 삶을 짓듯이 즐겁게 생각을 지어 즐겁게 말을 짓는 모습'으로 드러나지 싶어요.

'기후·기상·계절'이라는 한자말하고 '날씨·철'이라는 한국말을 나란히 놓고서 생각을 기울여 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기후(氣候) : 1.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대기(大氣) 상태 2. 일 년의 이십사절기와 칠십이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는 15일, '후'는 5일을 뜻한다 3. [지리] 일정한 지역에서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난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평균 상태 ≒ 천후(天候)
기상(氣象) :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을 통틀어 이르는 말. 바람, 구름, 비, 눈, 더위, 추위 따위를 이른다. '날씨'로 순화
날씨 : 그날그날의 비, 구름, 바람, 기온 따위가 나타나는 기상 상태
: 1. = 계절(季節) 2. 한 해 가운데서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시기나 때 3. = 제철
계절(季節) :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 현상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

(고려대한국어대사전)
기후(氣候) : 1. [기상]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대기(大氣) 상태 2. 일정한 지역의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나는 기온이나 강수, 바람 등의 평균 상태 3. 일 년의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와 칠십이후(七十二候)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기상(氣象) : [기상] 바람, 구름, 비 등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
날씨 : 비, 구름, 바람, 기온 따위의 변화에 따른 대기의 상태를 이르는 말
: 1. 일 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시절로 구분했을 때의 한 시기 2. 일 년 중 어떤 일을 하기에 적합한 때 3. 알맞은 시절
계절(季節) : 1. 일 년을 기후 현상의 차이에 따라 나눈 한 철 2. 대개 온대에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철로 나누고, 열대에서는 강수량에 따라 건기와 우기로 나눈다 3. 천문학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로 나눈다

(북녘 조선말대사전)
기후(氣候) : 1. 일정한 지역에서 해마다 대체로 비슷하게 되풀이되면서 변화되는 일기상태 2. = 기체후
기상(氣象) :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상태와 그가운데서 일어나는 물리적현상
날씨 : 그날그날의 기압, 구름, 누기, 비, 바람, 눈, 기온 등으로 나타나는 대기의 운동과 변화상태
: 1. 한해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시기로 가른 그중의 한 시기 2. 매해 되풀이하여 어떤 일을 하게 되는 그런 시기나 때 3. '제철'의 준말
계절(季節) : = 철

'기후'는 여러 해나 꽤 긴 해를 아울러서 꾸준하게 나타나는 모습이나 결을 그리는 낱말이라고 할 만합니다. '기상'은 하루라는 테두리에서 하늘을 살펴서 어떤 모습이나 결인가를 나타내는 낱말이라고 할 만하고요. '계절'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이렇게 넷으로 나눈 '철'을 가리키는 한자말입니다.

'날씨'하고 '철'이란 무엇일까요? 말풀이로 본다면, 먼저 '기상'은 '날씨'로 고쳐쓸 낱말이라 하는데, 정작 '날씨'를 '기상'이라는 낱말로 풀이하는 사전입니다. '날씨'이든 '기후·기상'이든 "대기의 상태·현상"을 가리킨다고 풀이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철'을 "= 계절"로 풀이하지만, <고려대한국어대사전>은 '계절'을 '철'로 풀이하고, <조선말대사전>은 '계절'을 "= 철"로 풀이해 줍니다.

우리가 먼먼 옛날부터 하늘을 살피거나 읽을 적에 어떤 낱말을 썼는지 헤아린다면, 여러 한국말사전이 말풀이를 어떻게 할 적에 슬기롭거나 알맞은가를 알 만하리라 봅니다. 적어도 <표준국어대사전>처럼 '철'을 "= 계절"로 풀이하는 엉성한 짓에서는 벗어나야지 싶습니다.

(글쓴이가 손질한 새 말풀이)
기후(氣候) : 더위·추위·바람·구름·해·눈·비·안개 들에 따라 어느 곳에 제법 오랫동안(여러 해나 긴 해에 걸쳐서) 꾸준하게 나타나거나 흐르는 모습이나 결 → 철 . 철씨 . 날씨
기상(氣象) : → 날씨
날씨 : 바람·구름·해·눈·비·안개 들에 따라 어느 곳에 나타나거나 흐르는 모습이나 결 (으레 어느 하루를 콕 집어서 가리킬 적에 쓰지만, 봄이나 가을 같은 철이라든지 한 해나 여러 해를 아울러서 꾸준하게 나타나거나 흐르는 모습이나 결을 가리킬 적에 쓰기도 한다)
: 1. 더위·추위·바람·해·눈·비 들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어느 때 (이를 흔히 네 철, 봄·여름·가을·겨울로 가르곤 한다. 더운 철과 추운 철이라든지 비가 잦은 철과 비가 드문 철처럼 두 가지로 가르기도 한다) 2. 어떤 일을 할 만한 때 3. 어떤 일이나 모습이 으레 나타나거나 한창 벌어지는 때 4. 자라거나 퍼지기에 알맞다고 여기거나 꼭 들어맞는 때 (제철) 5. 알맞게 어울리거나 쓰기에 좋은 때
계절(季節) : → 철
[글쓴이가 새로 지어 본 낱말] * 철씨 : 더위·추위·바람·구름·해·눈·비·안개 들에 따라 어느 곳에 제법 오랫동안(여러 해나 긴 해에 걸쳐서) 꾸준하게 나타나거나 흐르는 모습이나 결 

기상청 누리집. 거의 모든 곳에 '날씨'를 쓰는데, 막상 기관 이름은 '날씨청'이 아닌 '기상청'인 모습을 아이들한테 어떻게 이야기를 해 주면 좋을까요? 사전을 찾아보면 '기상'은 '날씨'로 고쳐쓰라고 나오지만, 정작 어른들은 기관 이름을 알맞게 고쳐 주지 못합니다.
 기상청 누리집. 거의 모든 곳에 '날씨'를 쓰는데, 막상 기관 이름은 '날씨청'이 아닌 '기상청'인 모습을 아이들한테 어떻게 이야기를 해 주면 좋을까요? 사전을 찾아보면 '기상'은 '날씨'로 고쳐쓰라고 나오지만, 정작 어른들은 기관 이름을 알맞게 고쳐 주지 못합니다.
ⓒ 기상청

관련사진보기


정부에서는 '기상청'이라는 곳을 두고 '기상대'를 세웁니다. "기후 변화"나 "온대 기후" 같은 말을 사회에서 널리 씁니다. 이처럼 쓰는 말마디는 아직 어쩔 수 없이 이대로 쓰는 길이 나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말사전에서는 말뜻과 쓰임새를 알맞게 보여주면서 앞으로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새롭게 가다듬도록 도울 만한 틀을 잘 밝힐 수 있어야지 싶어요. 무엇보다 '날씨·철' 두 낱말을 꼼꼼히 살펴서 제대로 말풀이를 붙여 줄 노릇입니다. 이러면서 '기후'가 '기상'하고 다른 쓰임새를 단출하면서 뚜렷하게 밝히면 되겠지요.

"기후 변화"는 "날씨 변화"로 손질해서 써 볼 만합니다. "온대 기후"를 "온대 날씨"로 손질해서 써 볼 수 있을 테지요. "날씨가 더운 곳에서 왔구나"라든지 "날씨가 따뜻한 곳이 좋아"라든지 "날씨가 추운 나라입니다"처럼 흔히 씁니다. 이때에 '날씨'는 바로 '기후'를 가리켜요.

'날씨'는 '날 + 씨'이고, '-씨'는 "어떠한 모습이나 결이나 몸짓"인가를 나타낼 적에 붙여요. '바람씨·마음씨' 같은 낱말이 한국말사전에 나오지요. 한국말사전에는 아직 '볕씨·빛씨·물씨·해씨·철씨' 같은 낱말은 없습니다. 날을 살펴서 '날씨'이듯, 철을 살펴서 '철씨'라는 낱말을 새롭게 지어서 써 보면 '기후'가 어떤 말결인가를 잘 담아낼 만하지 싶어요.

ㄴ. 선천적·타고나다

(표준국어대사전)
선천적(先天的) : 1.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2. [철학] = 아 프리오리(a priori)
타고나다 : 어떤 성품이나 능력, 운명 따위를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선천적(先天的) : 1.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갖추고 있는 것 2. [철학] 인식이나 경험 따위가 후천적 경험에 의해 얻어진 것이 아니라 이미 부여된 것
타고나다 :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다

(북녘 조선말대사전)
선천적(先天的) : 성질, 체질, 질병 같은것을 날 때부터 몸에 지닌 곧 타고난 성질의(것)
타고나다 : 태여날 때부터 받아지니고 나다

북녘 사전은 돌림풀이·겹말풀이에 얽매이지 않습니다만, 남녘 사전은 돌림풀이·겹말풀이에 얽매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갖추고) 있는" 것을 '선천적'이라고 풀이하면서 '타고나다'를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다"로 풀이하면 어떡하나요? 말이 안 됩니다. 더 살펴본다면 "지니고 있는"이나 "갖추고 있는"은 군더더기 말씨이거나 겹말입니다. '지니다·있다·갖추다' 가운데 한 낱말만 골라서 써야 알맞습니다.

'선천적·타고나다'를 더 헤아린다면 굳이 '선천적'에 말풀이를 안 달아도 될 만합니다. 한국말 '타고나다'를 알맞고 바르게 쓰도록 사전이 잘 이끌어 주면 되어요.

(글쓴이가 손질한 새 말풀이)
선천적(先天的) : → 타고나다
타고나다 : 태어날 적부터 몸에 있다

쉬운 말은 쉽게 풀이해 주면 됩니다. 어렵다 싶은 말은 실마리를 차근차근 잡아서 알맞게 풀이해 주면 됩니다.

ㄷ. 변화·변하다·바꾸다·달라지다·갈다·거듭나다

다음으로 '변화·변하다'라는 한자말하고 '바꾸다·달라지다·갈다·거듭나다'라는 한국말을 견주어 살피겠습니다. 남녘 사전은 '변화'라는 한자말을 엉뚱하게 풀이하면서 '바뀌다(바꾸다)·달라지다'라는 한국말을 제대로 풀이하지 못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변화(變化) : 사물의 성질, 모양, 상태 따위가 바뀌어 달라짐
변하다(變-) : 무엇이 다른 것이 되거나 혹은 다른 성질로 달라지다
바꾸다 : 1. 원래 있던 것을 없애고 다른 것으로 채워 넣거나 대신하게 하다
달라지다 : 변하여 전과는 다르게 되다
갈다 : 1. 이미 있는 사물을 다른 것으로 바꾸다 2. 어떤 직책에 있는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 바꾸다
거듭나다 : 지금까지의 방식이나 태도를 버리고 새롭게 시작하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변화(變化) :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이 바뀌어 달라짐
변하다(變-) : (무엇이) 이전과 달라지거나 딴것으로 되다
바꾸다 : 1. (사람이 어떤 것을 다른 것으로, 또는 사람이 어떤 것을 다른 것과) 교환하여 대신 가지다 2. (사람이 무엇을, 또는 사람이 어떤 것을 다른 것으로) 이미 있던 것을 치우고 그 자리에 다른 것이 있게 하다 3. (사람이 무엇을, 또는 사람이 어떤 것을 다른 것으로) 내용이나 상태를 고쳐서 전과 다른 것으로 만들다
달라지다 : (무엇이) 변하여 형편이나 모습이 전과 다르게 되다
갈다 : 1. (사람이 물건을) 사용하던 것을 버리고 다른 것으로 바꾸다 2.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맡고 있던 직책에서 물러나게 하고 그 직책에 다른 사람을 앉히다
거듭나다 : 1. (사람이나 단체가) 긍정적이고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다 2. [기독] (사람이) 원죄 때문에 죽었던 영이 예수를 믿음으로 다시 살아나 새사람이 되다

(북녘 조선말대사전)
변화(變化) : (사물현상의 성질, 모양, 상태 등이 변하여 다르게 되는것
변하다(變-) : 달라지거나 딴것으로 바뀌다
바꾸다 : 1. 어떤것을 주고 그 대신 딴것을 받다 2. 본래의것이나 낡은것을 딴것 또는 새것으로 되게 하거나 마들다 3. (낡) 피륙을 사다 4. 말이나 인사 같은것을 서로 주고받고 하다
달라지다 : 1. 다르게 되다 2. (사람이) 좋게 변하거나 나쁘게 변하다
갈다 : 이미 있는 것을 다른 것으로 바꾸다
거듭나다 : 종교적관점에서, 다시 새 사람으로 태여나다

'변화'를 "바뀌어 달라짐"으로 풀이하면 이는 어쩌자는 소리인지 알 수 없어요. 도무지 말이 안 되는 말풀이입니다. 남녘 사전은 '바꾸다'를 "다른 것으로 채워 넣거나 대신하게 하다"처럼 '대신(代身)'이라는 한자말을 써서 풀이하는데, '대신하다'는 "어떤 대상의 자리나 구실을 바꾸어서 새로 맡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남녘 사전은 "바꾸다 = 다른 것으로 채워 넣거나 '바꾸어서 새로 맡게 하다(대신하게 하다)'"로 풀이한 꼴입니다.

남북녘 사전 모두 '갈다'를 '바꾸다'로 풀이하니, 이 대목에서도 말뜻이나 말결을 제대로 짚기 어렵습니다. 비슷한 얼거리로 묶을 만한 낱말은 서로 겹치거나 맴돌지 않도록 잘 살피고 가누어야 합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은 '거듭나다'를 '변화하다'로 풀이하면서 더 뒤죽박죽 말풀이가 됩니다. 남북녘 사전은 모두 '변하다'를 '달라지다'로 풀이하고, '달라지다'를 '변하다'로 풀이하면서 돌림풀이예요.

(글쓴이가 손질한 새 말풀이)
변화(變化) : → 바꿈(바꾸다) . 달라짐(달라지다)
변하다(變-) : → 바꾸다(바뀌다) . 달라지다
바꾸다 : 1. 처음 있던 것을 없애고 다른 것으로 하거나 채우거나 넣다 2. 내 것을 다른 사람한테 주고, 이와 걸맞게 다른 사람 것을 받다 3. 처음 짠 줄거리나 모습이나 흐름을 다르게 하다 (고치다) 4. 이제까지 있거나 쓰던 것을 버리고 다른 것을 두거나 쓰다 5. 어떤 자리에 있는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 두다 6. 어느 말을 다른 말로 풀어 놓다 (옮기다) 7. 처음 있던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다 (옮기다) 7. 이쪽에서 저쪽으로 가거나, 이쪽에 있던 것을 저쪽에 있게 하다 (차례를 번갈아 하다) 9. 곡식이나 옷감을 돈을 주고 사다 10. 말이나 인사를 서로 하다 (주고받다, 나누다)
달라지다 : 처음이나 예전과는 다르게 되다
갈다 : 1. 이미 있는 것을 다른 것으로 하거나 넣다 (고치다) 2. 어떤 자리에 있는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 두다
거듭나다 : 1. 예전 모습을 벗으면서 한결 밝아지거나 나아지다 2. 예전 모습을 말끔히 벗으며 아주 다른 사람이 되다

한국말로 생각하는 기쁨이란 한국사람으로서 한국말로 생각을 새롭게 지으면서 삶과 살림을 곱게 짓는 길을 스스로 여는 기쁨이라고 봅니다. 한국을 비롯한 모든 나라에서 풀이나 벌레나 물고기를 살피는 학자마다 제 나라 말로 풀이름·벌레이름·물고기이름을 다 다르게 지어서 붙이려고 하는 까닭을 헤아려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옛날부터 쓰던 이름이 있으면 이 이름을 살립니다. 옛날부터 쓰던 이름이 아직 없다면, 다른 나라에서 새로 받아들인 문화나 문명이나 생태 정보나 지식이라 한다면, 이때에는 나라마다 다 다른 이름을 제 삶터에 맞게 살펴서 이름을 짓습니다. 라틴말로 된 학술이름은 그대로 쓰되, 나라마다 그 나라에 맞게 이름을 다시 짓거나 새로 지어요.

영어로 'weather·climate'가 있다면 한자말로 '기상·기후'가 있을 테지요. 그러면 한국말로는 무엇이 있을 만할까요? 우리가 스스로 말을 찾고 지으며 살릴 때에 우리 삶터가 나아지면서 아름답게 거듭납니다. 스스로 피어나는 꽃이요 스스로 자라나는 말이에요. 말꽃이 피고 삶꽃이 피도록 조금 더 슬기로이 마음을 기울이면 좋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글쓴이 누리집(http://blog.naver.com/hbooklove)에도 함께 올립니다.



태그:#한국말사전, #국어사전, #한국말, #우리말 살려쓰기, #말넋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