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저 인물은 왜 저기 들어갔지?"
"왜 나는 명단에 없지?"
"감독도 아닌데 이름을 올리셨네요."

12일 일부 영화인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안부를 묻고, 자신의 과거 위치(?)를 확인했다. 전날인 11일 국정원 개혁위원회가 보도자료를 통해 명단 하나를 공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국정원 개혁위원회는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좌파 연예인 대응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정부 비판 성향 문화·예술인을 대거 퇴출시키려 했다는 조사 결과와 이에 포함된 연예인들의 일부 명단을 발표했다.

역시나 예상 그대로, 박근혜 정부에서 광범위하게 작성됐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는 이명박 정부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에 해당하는 것이라는 것이 이번 명단을 통해 확인됐다. 그 명단엔 과거 2011년 MBC가 발표한 '소셜테이너 (출연)금지법'과 대동소이한 인사들도 적지 않게 담겨 있었다.

편협하고 꼼꼼한 MB 국정원 블랙리스트

당시 유일한 공중파 출연 프로그램이자 MBC 프로그램이었던 <환상의 짝꿍>에서 하차했던 방송인 김제동이나 시사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하차했던 DJ 김미화가 대표적이다. '소셜테이너 (출연)금지법'에 대응해 당시 여의도 MBC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였던 탁현민씨 역시 포함됐다. 이 명단엔 방송인, 가수, 배우, 그리고 문화계 인사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그런데 이날 <연합뉴스>가 공개한 전체 명단을 보고 있노라면, 한편으론 알려진 'MB'의 성격대로 참으로 '꼼꼼하다' 싶다가도 그 일관성도, 전문성도 없고 심지어 감정적인 대응마저도 엿보이는 이름들에 아연실색하게 된다.

방송인 김구라(자료사진)
 방송인 김구라(자료사진)
ⓒ 이정민

관련사진보기


대표적인 연예인이 방송인 박미선과 김구라, 가수 이하늘이다. 이들은 2008년~2009년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인 <명랑히어로>에 함께 출연한 바 있다. 지금은 유행이 됐지만, 몇 년 빠르게 '시사예능'을 표방했던 이 프로그램은 광우병 쇠고기 반대 촛불집회를 비롯해 정권 비판적인 내용을 다뤘다. 그러나 촛불집회 이후 시사적인 내용이 전면 수정된 채 방송된 직후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폐지된 프로그램이다.

단지 그러한 프로그램에 출연했다는 이유로 출연 방송인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됐다는 사실은 MB 정부와 국정원이 얼마나 편협했고 또 꼼꼼했는지를 단적으로 드러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명단에 포함된 여타 문화예술인들도 억울하긴 마찬가지일 것이다. 2008년 촛불집회에 의견을 냈다는 이유만으로 <조선일보>를 비롯한 보수언론으로부터 주구장창 공격을 받았던 배우도, <개그콘서트>에서 시사풍자의 일부만을 보여줬던 개그맨도, '독도지킴이'로 활약했던 가수도, 참여정부에서 문화부장관을 지냈던 연극인도 무차별적으로 입을 막으려했던 국정원.

헌데 이들이 가장 무서워했던 것은 아마도 영화인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왜 그랬을까. 명단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국정원이 관리하려 했던 영화인들의 면면

지난 4월,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의 지지를 표명하는 박찬욱 감독.
 지난 4월,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의 지지를 표명하는 박찬욱 감독.
ⓒ 심상정 공식 유튜브

관련사진보기


'이창동과 박찬욱, 그리고 봉준호'.

실로 한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들의 명단이다. 2000년대 초중반, <밀양>과 <올드보이>로 칸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하며 대한민국 영화계의 위상을 드높인 이창동과 박찬욱, 그리고 <살인의 추억> 이후 <설국열차>와 <옥자>로 해외 영화인들과의 연이은 작업으로 세계적인 '한국'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는 봉준호 감독. 

이들을 MB 정부의 국정원은 '블랙리스트'로 분류했다. 이들만이 아니다. 당시 국정원은 참여정부 시절인 2006년 5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노동당 지지를 선언했던 영화감독과 영화인들의 명단을 참고해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

류승완, 김지운, 장준환 감독을 포함해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유명 영화감독은 물론이요, 영화 평론가, 프로듀서 등이 이름을 올렸다. 12일 영화인들이 안부를 물은 이유이기도 하다.

한편으론 관행이자 행정편의주의일 수 있다. 얼마나 쉬웠(?)겠는가. 진보정당 지지를 선언한 영화인들의 명단을 고스란히 '받아쓰기'했던 국정원의 안일한 행태에 쓴웃음이 난다.

헌데, 다수 영화인들은 2006년 총선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최일선에서 진보정당 지지에 앞장서 왔다. 대부분이 "정치적 신념"이나 "한국사회의 진일보"와 함께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란 소신을 굽히지 않았던 것이다.

또 한편으론, 이미 익숙해진, 허탈한 풍경이긴 하다. 이러한 국정원의 천인공노한 행태를 고스란히 받아 안은 것이 바로 박근혜 정부 아닌가. 박근혜 정부는 '세월호 서명', '문재인·박원순 지지' 등을 이유로 수천 명에 달하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만들었다.

총리실 산하 '민간인 사찰'까지 감행했던 MB 정부에서 저 정도의 블랙리스트 활용은 '누워서 떡먹기' 수준이었을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못된 습관, 나쁜 관행이 박근혜 정부 들어 국정 운영의 전반적인 철학으로 격상됐다는 데 있다.

MB와 국정원을 겨냥해야 하는 이유

영화 <변호인>에 출연한 배우 송강호
 영화 <변호인>에 출연한 배우 송강호
ⓒ 위더스필름

관련사진보기


국정농단 사태와 블랙리스트 재판을 거치면서, 대다수 국민들은 박근혜 정권이 얼마나 영화와 영화의 파급력을 두려워했고, 그렇기에 더더욱 '관리'하려고 했는지 알게 됐다.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영화인들이 결부된 영화나 사회정치적인 소재의 영화들은 배제시키려 노력했다. '모태펀드'를 '관리'하며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상업영화를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좌지우지'하려는 정황이 뚜렷했다.

정리하자면, MB 정권의 국정원이 작성·관리한 블랙리스트는 박근혜 정권이 광범위하게 실행에 들어갔던 '큰 그림'의 시초라 할 만하다. 그러니까, 진보정당을 지지하거나 그러한 성향의 영화인들과 문화예술인들을 관리하고 배제하려는 구체적인 움직임의 출발이란 얘기다.

그 출발이 있었기에 박근혜 정권은 마음 놓고 <변호인>에 출연한 배우 송강호를 탄압하고, 세월호 유가족을 지지하는 문화예술인들을 지원에서 배제하고, 문재인, 박원순을 지지한 인사들을 퇴출시키려 힘쓸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박근혜 정권이 대놓고 돈줄을 틀어막고 관리하며 문화예술계(와 방송)를 극우와 보수 색깔의 작품과 인사들로 장악하려했던 근원과 그 테스트가 MB 정부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달리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한 몸'이란 얘기가 나왔겠는가.

국정원 개혁위원회의 활약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댓글 사건을 포함해 MB 정부의 국정원이 활약했던 궤적들을 낱낱이, 샅샅이 거꾸로 거슬러 훑어야만 한다. 이는 '전직 대통령 이명박'을 향한 과녁이기도 하지만, 지난 보수정권 9년간 철저하게 망가져버린 한국사회의 정상성을 회복하는 출발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참으로 부끄럽고 통탄할 만하다. 전 세계인이 인정하고, 한국인이 사랑하는 예술감독들을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는 나라에서 우리가 살았다니 말이다. 영화인들을 탄압했던 저 중동의 어느 독재국가와 다를 것이 무엇인가. 아니, 영화감독들을 블랙리스트로 탄압하고 댓글 공작을 벌였던 국정원을 배경으로 한 정치스릴러 시나리오를 쓰고 픈 심정이다.

그렇기에 이를 지시하고 실행한 이들을 어떻게 처벌해야 할지, 또 국정원의 국내 공작을 어떻게 막아야 할지, 이를 넘어 정치결사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표현했을 뿐인 '문화예술인'들과 연예인들을 '특별 관리'하겠다는 그 발상 자체와 위법, 불법 행위를 끊어내기 위해 이후 정권들이 어떤 노력을 기울이게 해야 할지 아득해지는 지금이다.

지난 겨울 광장의 촛불이 없었다면, 이들 보수정권과 그에 빌붙은 이들이 염원하고 영속시키려 했던 암흑과 같은 시대가 지속되지 않았겠는가. 다시 생각해도 오싹하다. 아니, 분노가 치민다.


태그:#이명박, #블랙리스트, #국정원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고 작업 의뢰 woodyh@hanmail.net, 전 무비스트, FLIM2.0, Korean Cinema Today, 오마이뉴스 등 취재기자, 영화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시나리오 작가, 각본, '4.3과 친구들 영화제' 기획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