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5일 오후 2시 29분께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6㎞ 지점에서 규모 5.4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시 북구 흥해 한 초등학교 외벽이 무너져 주차된 차량 위에 떨어져 있다.
 15일 오후 2시 29분께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6㎞ 지점에서 규모 5.4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시 북구 흥해 한 초등학교 외벽이 무너져 주차된 차량 위에 떨어져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15일 오후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이 남한 땅을 진동시켰다. 경기도에서까지 진동이 느껴질 정도였다. 포항과 인근 지역에 직접적 피해가 발생했고, 수능 일정까지 연기됐다. 다른 나라 일로만 느껴지던 지진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한반도는 지진이 많은 곳이 아니지만, 기록상으로 1904년까지 1년에 한 번꼴로 지진이 발생했다. 서울대학교 이기화 교수가 1998년 <지구물리> 제1권 제1호에 기고한 '한반도의 역사지진 자료'에 따르면, 서기 2년부터 1904년까지 총 1897회의 지진이 발생했다. 1903년이라는 기간 동안 1897회 발생한 셈이다.

1905년 인천에 지진계가 최초로 설치됐다. 그 이전의 지진 통계는 역사서를 근거로 산출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1904년까지의 지진은 역사지진으로 분류된다. 반면, 1905년 이후의 지진 통계는 지진계 측정에 근거한 것이다. 그래서 그 후의 지진은 계기지진으로 분류된다.

이 교수가 제시한 1897회는 문헌을 통해 산출한 것이다. 즉, 역사지진 횟수라는 말이다. 이 교수는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증보문헌비고> 등을 토대로 1897회라는 수치를 도출했다. 학자마다 참고하는 문헌이 다를 수 있으므로 모든 논문에서 이 수치가 나오진 않는다. 하지만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과거에는 '해마다 한 번 정도'였던 데 반해, 20세기 들어서 지진 보고 횟수가 많아졌다. 한양대학교 김소구·이승규 교수가 2000년 3월 <한국 지진공학회 논문집> 제4권 제1호에 기고한 '남북한 지진 목록을 이용한 한국 지진 위험도'에 따르면, 1900~1998년까지 한반도에서 보고된 진도 3도 이상의 지진은 614건이다. 해마다 6회 정도 발생한 셈이다. 지금보다 많았던 때는 서기 16세기다. 그때는 백 년 간 735회 발생했다.

지진을 연구하는 학자들도 인정하듯이, 20세기의 지진 발생 횟수를 근거로 20세기가 이전 세기보다 지진이 훨씬 많았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지진계 측정이 실시된 후로 지진 발생이 더 많이 보고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과거로 가면 갈수록 중앙정부의 행정력이 지방에 제대로 미치지 못했다. 우리 역사에서 비교적 완전한 중앙집권이 실시된 것은 1392년 조선왕조 건국 이후였다. 고려 때까지만 해도 왕의 통치력이 지방에 제대로 미치지 않았다. 그래서 소규모의 국지적 지진은 중앙정부에 보고되지 않을 수도 있었다.

가뭄이나 홍수 피해는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발생한다. 전국적 규모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런 자연재해는 농업 작황을 좌우하므로 국가의 조세수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중앙정부가 비상한 관심을 갖기 때문에 역사서에도 명확하게 기록된다.

반면에 지진은 농업 작황을 직접적으로 좌우하지 않는다. 반드시 전국적 규모로 발생하는 것도 아니다. 농업시대의 왕조국가들은 가뭄이나 홍수에 비해 지진에 대해서는 관심을 적게 가졌다. 때문에 지방에서 발생한 지진을 모르고 넘어갈 수도 있다. 중앙에서 행정관을 파견하지 않아 지방 토호세력이 지배하는 곳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진도 10정도로 볼 수 있는 지진 기록이 역사서에

농사짓는 사람들. 서울시 광화문광장 지하의 ‘세종 이야기’에서 찍은 사진.
 농사짓는 사람들. 서울시 광화문광장 지하의 ‘세종 이야기’에서 찍은 사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경희대학교 윤순옥 교수와 경북대학교 황상일 교수가 2009년 <대한지리학회지> 제44권 제4호에 기고한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란 논문에 이런 대목이 있다.

"지진은 직접적으로 농경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 국지적으로 발생하므로 가뭄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전면적으로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이런 맥락에서, 지진의 발생은 해당 지역을 제외하면 재해 자체의 현실적인 위험보다는 이것이 미치는 정신적 충격이 훨씬 더 커서 ···"

과거 농업시대에는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대신, 정신적 충격이 훨씬 더 컸다는 것이다. 다른 자연재해보다 현실적 손해가 적었기 때문에 가뭄·홍수에 비해 역사서에 적게 기록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지진계에 의한 측정이 시작된 이후와 그 이전을 대등하게 비교할 수는 없다. 20세기가 16세기 다음으로 지진이 많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이유다. 현재로서는 1904년 이전은 1904년 이전과 비교하고, 1905년 이후는 1905년 이후와 비교할 수밖에 없다. 역사지진 시대와 계기지진 시대를 구분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기화 교수의 통계에 따르면, 역사지진 시대에 최대의 인명피해를 낸 지진은 770년 신라왕조 경주 지진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서는 "서울(경주)에 지진이 나서 민가가 무너지고 죽은 사람도 100여 명이었다"고 했다.

오늘날 같이 고층 빌딩이 있었다면 사망자 숫자가 훨씬 더 늘었을 것이다. 이기화 교수는 이 지진의 강도를 진도 9도로 추정했다. 건축물에 부분적 붕괴가 생기고 지표면에 균열이 발생할 정도의 지진으로 본 것이다. 

또 이 교수에 따르면, 가장 센 강도로 발생한 지진은 조선 인조 때인 1643년 지진이다. 진도 10으로 추정되는 지진이다. 음력으로 인조 21년 6월 9일자(양력 1643년 7월 24일자) <인조실록>에 따르면 이 지진은 전라도·경상도와 한양에서 발생했다. 성벽 담이 무너지는 일이 많았다. "울산부에서는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구쳐 나왔다"고 <인조실록>은 말한다. 함께 발생한 벼락 때문에 사망한 사람들도 있었다.

진도 10도면, 건축물이 무너지고 산사태가 생길 정도의 지진이다. 이 교수는 "이 지진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한반도는 안전지대? 새로운 인식 가져야

2008년에 대마도(쓰시마)에서 찍은 지진보험 포스터.
 2008년에 대마도(쓰시마)에서 찍은 지진보험 포스터.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역사지진 시대만 놓고 볼 때,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빈발한 기간은 1400~1799년이다. 15~18세기의 4백 년 간이었다. 위의 김소구·이승규 논문에 따르면, 서기 2년부터 1899년까지 발생한 역사지진 1984건 중에서 85.2%에 해당하는 1690건은 15~18세기 4백 년 간 발생한 것들이다. 14세기에 6건 발생하고 19세기에 17건 발생한 것과 비교하면, 15~18세기는 지진이 매우 자주 발생했다. 이 기간에 관해 이기화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이조시대 15~18세기의 400년 간 지진 활동이 매우 활발했는데, 이 기간 중, 지난 2000년간 한반도에서 지진으로 방출된 에너지의 태반이 방출되었으며 매년 대략 3~4회의 지진이 발생한 셈이다."

그래서 조선왕조 15~18세기의 지진은 세계 지진학계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위 논문에서 이어지는 부분이다.

"이 기간의 이례적으로 높은 지진 활동은 미국의 저명한 지진학자 Richter 교수의 명저 'Elementary Seismology'(1958)에 세계적으로 지진 활동이 낮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높은 지진활동의 대표적인 예로서 언급되어 있다."

15~18세기의 한반도 지진 양상은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와 완벽한 대조를 이룬다. 16세기 후반인 1592년에 임진왜란이 발발하기는 했지만, 15~18세기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비교적 평화로운 기간에 속한다.

'조선왕조가 2백년 간의 태평성대에 취해 임진왜란을 방지하지 못했다'는 말에서 느낄 수 있듯이, 임진왜란 이전 2백 년 간과 그 이후 2백 년 간은 유례없는 평화의 시기였다. 조선 후기에 영조·정조가 내부 안정과 문예부흥에 진력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국제적 평화 덕분이었다.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심했던 기간이 18세기에 끝났다는 사실은 한편으로는 우리를 안심케 한다. 지진 활동이 가장 심했던 기간이 우리 시대로부터 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동시에 우리를 불안케 한다. 15~18세기 내에도 지진이 상대적으로 더했던 기간과 덜했던 기간이 반복됐다. 2001년에 <대한지리학회지> 제36권 제2호에 실린 윤순옥·전재범·황상일의 논문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 발생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르면, 1536년 이후로는 지진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고 1656년부터는 지진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그렇기 때문에 한동안 지진이 뜸했다는 것은 앞으로 지진이 빈발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18세기까지 지진이 심하다가 그 후 뜸해졌다는 사실은, 21세기를 사는 우리한테 지진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반도 지진 문제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태그:#포항 지진, #역사지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