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틀포레스트> 메인 포스터 _

▲ 영화 <리틀포레스트> 메인 포스터 _ ⓒ 영화사 진진


보는 내내 눈과 귀, 마음은 좋았다. 영화 속 음식처럼 혓바닥을 자극하는 소금도, 자극적인 조미료도 치지 않아 입안이 평화로웠으며, 오늘날 지친 우리들이 사랑하는 < ASMR >(정신적인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소리를 가리키는 신조어), <삼시세끼>, <효리네 민박> 속 요소들이 아름다운 영상 곳곳에 흐르고 있었다.

눈과 귀의 긴장이 풀린 채 마음이 잔잔해짐을 느낄 수 있었다. 그래서 나에게 <리틀 포레스트>는 자기 전 ASMR을 듣는 것 마냥 귓가를 포근하게 해주었고, 삼시세끼, 효리네 민박을 볼 때 마냥 아무 생각 없이 영상의 아름다움, 식재료의 싱그러움, 자연과 닿아있는 삶에 넋 놓고 있게 만들었다.

영화관에서의 짧은 힐링

영화 <리틀포레스트> 스틸 이미지 _

▲ 영화 <리틀포레스트> 스틸 이미지 _ ⓒ 영화사 진진


귓가가 포근했고, 자연과 맞닿은 삶은 행복이고, 아무 생각 없이 영상의 아름다움, 식재료의 싱그러움에 넋 놓을 수 있는 것. 여기까지가 <리틀 포레스트>의 '좋았던 점'.

놀고 싶을 때 놀고, 일하고 싶을 때 일하고, 출출할 때 요리해 먹고, 옛 친구들과 늘 함께 할 수 있고 사랑스러운 반려동물을 옆에 낀 나날은 도시나 시골이나 행복할 것이다.

임용고시 실패 후 시골로 내려온 주인공 혜원(김태리)의 노동은 고모의 농사일을 돕는 게 전부이다. 나머지 시간은 밭에서 따온 식재료를 가지고 먹음직스러운 음식을 만들고, 문밖을 내다보며 생각에 잠기고, 계절 내음을 맞고, 옛 친구들과 만나 마음을 나누며 보낸다.

영화 속 세 명의 인물은 우리 시대의 지치고 아픈 청춘들을 보여주는 모양새를 띤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들에게는 '안전하게'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 현재에서 혜원이 도망쳐올 수 있는 곳, 현재를 버리고 재하가 돌아올 수 있는 곳 말이다. 이 '돌아갈 수 있는 곳'에는 좋은 집도, 자급자족할 수 있는 땅도, 혹은 새로운 일을 시작해 볼 수 있는 밑천도 존재한다. 때문에 영화 타이틀이 이야기하듯 "잠시 쉬어가도 괜찮아"라는 말이 쉽다. 아니, 사실 쉬다 가지 않아도 괜찮다. 마음만 먹으면 모든 것이 준비된 이곳에서 쭉 살아도 된다. 혜원과 재하처럼.

그래서 <리틀 포레스트>는 아름다운 판타지 영화, 혹은 영화화된 '힐링 예능'같았다.

귓가를 관통하는 티 없이 맑은 소리와 자연과 보색을 이루는 옷가지들이 만들어낸 영상의 아름다움은 원초적 감정과 감각을 건드려 안정감을 주었다. 하지만 영화 줄거리에서 내밀었던 '시험, 연애, 취업 등 뭐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 일상에 지친 청춘을 위로'라는 메시지는 와 닿지 않았다. 오히려, '자연과 하나 되는 삶', '자연과 하나 되는 삶의 행복'을 타이틀로 가져가는 게 더 맞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후자의 메시지는 잘 전달되었지만, 전자의 메시지는 공허한 울림이 되었다. '다 내려놓고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만으로 이미 다른 세상사람 같았으니. 그래서 영화관 안에서는 마음이 평온해 질지라도,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고 영화관을 나가는 순간 "나도 저렇게 모든 게 준비된 곳이 있으면 이미 갔지...."하는 짧은 불평이 새어 나왔다.

차라리 마지막에 혜원이 서울에서 돌아오지 않고, 그곳에서 자신만의 작은 숲을 뿌리내리는 결말이었더라면 더 와 닿았을 것 같다. 지금의 결말은 현실을 벗어난 목적지가 누가 봐도 이상적인 곳이고, 그래서 당연하게 다시 그곳에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지만, 누구나 그런 곳에 집 있고 가족 있으면 당장 내려가 살고 싶지 않을까(농촌 생활도 좋은 것만 앵글에 담아냈겠지만).

영화 <리틀 포레스트> 스틸 이미지 _

▲ 영화 <리틀 포레스트> 스틸 이미지 _ ⓒ 영화사 진진


'쉬어도 된다' 전에 '쉬어도 괜찮은' 사회

물론 돌아갈 곳, 쉴 수 있는 곳이 꼭 영화 속처럼 완전한 숲, 완전한 공동체를 이루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마음가짐과 지향에 따라 그곳이 어디든 쉴 수 있는, 나 자신을 보살펴줄 수 있는 작은 숲이 될 수 있으니까.

아마도 나에게 정말 필요한 건 '쉬어도 된다'라는 메시지 이전에 '쉬어도 괜찮은' 사회인 것 같다. 취업준비에, 시험에, 사회생활에 지쳐 택한 우리의 '쉼'을 철 없는 응석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면. 마음 편히 쉬어도 굶어죽지 않는 사회라면. 쉬어도 괜찮은 사회라면.

그땐 기꺼이 쉴 것이다. 나의 작은 숲을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할 것이다. 힘들 땐 잠시 쉬어가도, 돌아가도, 도망쳐도 된다는 거, 머리로는 이미 알고 있으니까.

아쉬움을 주되게 서술해서 그렇지, '리틀 포레스트'는 자극적인 소재 없이도, 못된 악역과 정의로운 주인공 없이도 맛있었다. 사계절의 흐름만으로 무염식을 맛보듯 담백함이 매력적인 영화였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 스틸 이미지 _

▲ 영화 <리틀 포레스트> 스틸 이미지 _ ⓒ 영화사 진진



리틀포레스트 임순례 김태리 류준열 진기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