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3일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지역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시 삼양동 피해현장
 23일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지역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시 삼양동 피해현장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매우 강력한 바람과 비구름을 동반한 제19호 태풍 '솔릭(SOULIK)'이 제주섬을 할퀴고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다. 태풍 솔릭은 당초 예상보다 매우 느린 속도로 제주를 지나며 곳곳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23일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솔릭은 오후 3시 기준 서귀포 서북서쪽 약 11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8km의 속도로 북진하고 있다.

아직 제주에는 초속 15m의 강한 바람과, 시간당 10~30mm의 비가 중산간 지역에 내리고 있지만, 그 기세는 한결 누그러진 모습이다.

제주가 솔릭의 직접적인 영향권에서는 벗어났지만 태풍이 한반도에 머물 것으로 예상돼 오늘 밤까지는 흐리고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제주도 전역과 제주 전해상 등에는 여전히 태풍경보가 발효중에 있다.

23일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지역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시 삼양동 피해현장
 23일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지역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시 삼양동 피해현장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강풍으로 제주시 서사로에서 무단횡단 차단을 위해 세워진 중앙분리대도 힘없이 꺾였다.
 강풍으로 제주시 서사로에서 무단횡단 차단을 위해 세워진 중앙분리대도 힘없이 꺾였다.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23일 제19호 태풍 솔릭이 덮친 가운데, 제주시 오라동주민센터 인근 도로반사경이 강풍에 엿가락처럼 꺾였다.
 23일 제19호 태풍 솔릭이 덮친 가운데, 제주시 오라동주민센터 인근 도로반사경이 강풍에 엿가락처럼 꺾였다.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태풍 솔릭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제주에 머물렀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태풍 솔릭은 오후 3시쯤 목포 해상까지 북상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오후에 접어들면서 예보가 변경됐고, 이날 오후 6시 이후에야 목포 근방까지 접근할 것으로 관측됐다.

실제 전날(22일) 저녁까지만해도 시속 20km의 속도를 보였던 솔릭은 23일 새벽 16km로 줄었고, 이날 정오 무렵에는 사람 걸음걸이 수준인 시속 4km까지 뚝 떨어졌다. 현재 속도인 8km도 예년의 태풍들에 비하면 상당히 느린 수준이다.

태풍이 머무는 시간에 늘어나며 제주지역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2~23일 이틀간 한라산 사제비동산에는 1029mm, 윗세오름에는 947mm, 삼각봉 833mm, 산천단 523mm의 많은 비가 내렸다. 산간지역에 최대 500mm 가량의 비가 내릴 것이라 내다봤던 당초 예보에 비하면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이 외에 제주시 301mm, 서귀포 126mm, 성산 109mm, 고산 103mm, 서광 220mm, 색달 217mm, 송당 204mm, 월정 143mm, 금악 288mm, 한림 231mm 등의 강우량을 기록했다.

그야말로 '물폭탄'급 폭우가 내리면서 한천과 병문천 등의 저류지 수문도 개방됐다. 특히 100년만에 한번 발생하는 폭우까지 견디도록 설계됐다는 한천 저류지도 저장용량 73만톤에 육박하는 만수위를 기록했다.

23일 제19호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종합경기장 옆 하수 역류 현장.
 23일 제19호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종합경기장 옆 하수 역류 현장.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제19호 태풍 솔릭 북상으로 뽑힌 가로수를 수습하고 있다
 제19호 태풍 솔릭 북상으로 뽑힌 가로수를 수습하고 있다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제19호 태풍 솔릭으로 제주시청 인근 건물 2층 식당 간판이 파손돼 119가 긴급 조치를 취하고 있다
 제19호 태풍 솔릭으로 제주시청 인근 건물 2층 식당 간판이 파손돼 119가 긴급 조치를 취하고 있다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우려했던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전날 오후 7시 19분께 서귀포시 소정방폭포 인근에서는 관광객 박모(23.여)씨가 물에 빠져 실종됐다. 박씨는 사진을 찍기 위해 폭포 인근으로 다가서다가 월파에 휩쓸린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와 동행한 이모(31)씨도 함께 바다에 빠졌지만, 이씨는 자력으로 탈출해 112에 신고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서귀포해경과 서귀포소방서 등은 현장에서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날씨가 점차 악화되면서 수색에 난항을 겪었다. 꼬박 하루가 지난 오늘 오후까지 박씨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항에서는 높은 파도로 인해 방파제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방파제를 지탱하는 테트라포트(삼발이)와 방파제 보수공사 시 사용된 보강시설물 블록 등 91톤 가량이 유실됐다.

이는 남원읍 위미항이 지난달 제7호 태풍 '쁘라삐룬(PRAPIROON)' 당시에도 비슷한 규모의 유실에 연이어 '엎친데 덮친' 피해를 입었다.

지난 2014년, 2016년 태풍 피해가 발생했던 제주시 오라동 제주복합체육관의 지붕이 올해도 어김없이 파손됐다. 뻥 뚫린 천장으로 쏟아지는 빗물을 건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제주도체육회 직원과 공무원들이 쉴 새 없이 배수 작업을 벌이고 있다.

23일 제19호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도로 아스콘이 찢긴 틈으로 빗물이 역류하는 모습
 23일 제19호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도로 아스콘이 찢긴 틈으로 빗물이 역류하는 모습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제19호 태풍 솔릭이 북상한 22일 오후 7시19분 서귀포시 소정방폭포에서 20대 여성이 파도에 휩쓸려 실종돼 해경이 수색작업을 벌였다 <사진제공-서귀포해양경찰서>
 제19호 태풍 솔릭이 북상한 22일 오후 7시19분 서귀포시 소정방폭포에서 20대 여성이 파도에 휩쓸려 실종돼 해경이 수색작업을 벌였다 <사진제공-서귀포해양경찰서>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지난 2014년, 2016년 태풍 피해가 발생했던 제주시 오라동 제주복합체육관의 지붕이 올해도 어김없이 파손됐다. 뻥 뚫린 천장으로 쏟아지는 빗물을 건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제주도체육회 직원과 공무원들이 쉴 새 없이 배수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내 승객대기실과 면세점 천장 곳곳에서도 빗물이 샜다.

강풍에 전신주가 쓰러지거나 전선이 끊기면서 정전사태가 잇따르기도 했다. 서귀포시 색달동, 안덕면 사계리, 대정읍 상모리, 제주시 삼양동, 조천읍 와흘리 등 도내 곳곳에서 정전피해가 발생했다.

정전피해 가구는 이날 오후 4시 기준으로 1만3408가구로 집계됐다. 이중 8236가구는 복구됐지만, 나머지 5127가구에 대해서는 복구 작업이 한창 진행중이다.

제주시 삼양동에서는 상수도 관로가 파손되면서 오전 7시부터 긴급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명물이었던 야자수 50여그루도 강풍에 잇따라 쓰러지며 한 때 교통체증을 빚기도 했다.

이 밖에도 레저보트 전복, 신호등 소등 및 파손, 하수 역류, 도로 침수, 등 크고 작은 피해접수가 200여건에 달했다. 공식적인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을 뿐 창문, 간판, 전기시설 등 개인적인 피해도 속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현재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피해 복구와 집계는 사실상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신속한 응급복구가 이뤄지도록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3일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지역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시 삼양동 피해현장.
 23일 태풍 솔릭이 덮친 제주지역 곳곳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은 제주시 삼양동 피해현장.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제19호 태풍 솔릭 북상으로 제주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23일 오전 4시 현재 제주시 하천 하류에 많은 물이 흐르고 있다. 제주시는 오전 1시8분 한천 제2저류지 수문을 개방했다.
 제19호 태풍 솔릭 북상으로 제주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23일 오전 4시 현재 제주시 하천 하류에 많은 물이 흐르고 있다. 제주시는 오전 1시8분 한천 제2저류지 수문을 개방했다.
ⓒ 제주의소리

관련사진보기




태그:#제주태풍, #태풍솔릭, #제주의소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대의 소리, 진실의 소리. 제주의 대표 인터넷신문 '제주의소리'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