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에 사는 사람들

제조공장 기숙사

AR icon

AR로 보기(1)

AR icon

AR로 보기(2)

AR icon

처음으로

경제21.12.29 12:18최종 업데이트 21.12.29 14:28

해가 지면 집이 되고, 해가 뜨면 일터가 되는 곳에 사는 사람들이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017년 주택이 아닌 곳에 사는 36만여 가구를 조사했는데 이 중 18만여 가구는 일터를 거주지로 활용하고 있었다. 주거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일터에 사는 사람들’의 주거 환경은 어떤 모습일까? <오마이뉴스>는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대안을 모색해 봤다.
— 편집자의 말

“100% 만족” 외국인 노동자 숙소,
“이런 데 별로 없어요”

경기도 외곽에 있는 한 제조업 공장. 공장이 있는 곳은 주변에 논과 밭이 있고 흔한 식당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외진 곳이었다.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이 공장은 외국인 노동자인 A씨와 P씨의 직장이자 집이다. 공장을 둘러싼 철제 간이벽 너머에서 취재진을 맞은 A씨는 공장 뒤편, 좁은 통로를 손가락을 가리켰다.

공장 이미지 1 공장 이미지 2

굽이진 통로를 따라 30m 정도 들어가니 그들의 숙소인 간이 컨테이너가 보였다. A씨가 머무는 곳은 5~6평 크기의 방이었다. 원래 3명이 공동으로 쓰던 방이었지만 지금은 홀로 거주한다. 홀로 쓰기에는 비교적 넉넉한 공간인 듯 했다. 방문을 열고 들어가니 다소 습한 공기가 느껴졌다. 방 안에는 2층짜리 철제 침대와 옷장, 간단한 음식을 해먹을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작은 벽걸이 에어컨도 있었다. 가스레인지, 후라이팬은 한눈에 봐도 오래돼 보였다.

누렇게 빛이 바랜 에어컨은 선선하지만 습한 공기를 뿜어내고 있었다. 3개 버튼 중 하나는 떨어져 있었고, 조그맣게 달린 ‘Goldstar’ 라는 브랜드는 기계의 연식을 짐작케 했다. 침대 한켠에는 스팸과 돌자반 등 간편 식품들이 널브러져 있었다.

공장 이미지 3

창문이 하나 있었지만, 바로 앞을 가로 막는 옹벽 때문에 햇볕이 들어오지 않았다. 한낮이었지만 어두운 그림자에 가려져 있는 방은 형광등을 켜야 내부가 온전히 보였다. 화장실은 공동 화장실을 쓰고, 샤워 역시 화장실 내부 세면대를 이용한다고 한다. 그래도 겨울에는 따뜻한 물도 나오고, 난방도 잘 된다고 했다.

공장 이미지 4 공장 이미지 5

동료 P씨의 방은 조금 독특했다. 문 앞에는 공용 정수기, 종이컵과 믹스 커피가 놓인 작은 테이블이 있었다. P씨는 “직원들이 커피를 타 마시는 공간”이라고 했다. 사람들이 들락날락하는 공간이어서, P씨는 철제옷장과 책장 뒤로 침대를 숨겨뒀다. 침대에서 오가는 사람과 눈이 마주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다. 그는 침대를 가린 옷장을 두고, ‘바리케이트’라고 했다. P씨는 사생활이 보장되지 않는 듯 했다. “불편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그는 멋쩍게 웃기만 했다.

공장 이미지 6
공장 이미지 6

이들의 숙소인 컨테이너 바로 앞은 직원 휴게 공간이다. 스테인리스로 만든 재떨이에는 담배 꽁초 2~3개가 있었고, 종이컵 수거함도 있었다. 휴게 공간에서 나오는 담배 연기는 창문을 통해 그들의 방으로 들어간다. 담배를 피우지 않는 두 사람은 연기가 들어올 때면 말 없이 창문을 닫는다. 하지만 연기 때문에 직접 불편을 호소해본 적은 없다고 했다.

공장 이미지 7

“여기 생활이요? 100% 만족해요.”

다소 부족해보이는 곳이었지만 이들은 꽤 만족하면서 살고 있었다. 공장 주인은 별도 주거비 없이 이곳에 머물게 해줬고, 특별한 간섭도 하지 않는다고 했다. A씨는 말을 할 때마다 ‘사장님’ 자랑을 했다. A씨는 “공장 사장님이 좋은 분이어서, 이곳을 이용하면서 별다른 임대료도 내지 않는다”며 “코로나 터지기 전에는 공장 사장님과 여행도 다녀왔다”고 자랑했다. P씨도 “일하면서 이 정도 숙소를 그냥 제공하는 곳은 많지 않다”며 “주말에는 동료들과 운동도 하면서 지낸다”고 만족감을 나타냈다.

공장 이미지 8 공장 이미지 9 공장 이미지 11 공장 이미지 12

그들의 유일한 고민은 ‘실직 위험’이다.

밥벌이와 숙소를 제공하는 공장은 그들 삶의 전부다. 공장을 그만두면 그들의 삶은 밑뿌리부터 흔들리게 된다. A씨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도 ‘실직’이다. “만약 직장을 떠나게 되면 어떤 계획이 있느냐”고 묻자 A씨의 표정이 어두워졌다.

”코로나 때문에 직장에서 사장님이 나가라고 할까 걱정돼 밤잠도 설쳤어요. 직장을 잃으면 돈도, 집도 없어지는 거니까요.“

지난해 코로나 사태가 터졌을 때도 사실 “이곳을 떠날까봐” 걱정이 많았다고 했다. 코로나 여파로 회사 사정이 덩달아 어려워지면서 공장을 나갈 수 있다는 불안감에 밤잠을 설치기도 했다. A씨는 “직장을 나가게 될까봐 굉장히 걱정을 많이 했다”며 “그래도 사장님이 끝까지 함께 가자고 해서 안심했다”고 했다. 만약 직장을 잃게 되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A씨는 굳은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무조건 다시 취직해야 합니다. 숙소가 제공되는 곳으로.”

공장 이미지 13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AR icon AR로 보기(1)
AR icon AR로 보기(2)
AR icon 처음으로

관련 기사

다른 일터들 살펴보기 AR icon

목공소 가건물

목공소 가건물

교회 옥탑방

교회 옥탑방

굴 양식장 컨테이너

굴 양식장 컨테이너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후원하기

독자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