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제주4‧3범국민위원회가 지난 5일 제주4.3평화재단의 후원으로 재경제주4.3희생자유족청년회와 함께 4‧3과 친구들 이야기 콘서트 '혼디가게 4380'을 서울 인사동 코트(KOTE)에서 개최했다. '혼디가게'는 '함께 가자'는 뜻의 제주어로 '혼디가게 4380'은 '4.3 제80주년까지 함께 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어 '4.3의 전국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제주 4.3은 올해로 제74주년을 맞았다.

이날 행사는 4.3의 의미를 되새기는 '평화와 인권의 백년지계'를 고민하자는 취지에서 4.3 평화인권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고 4.3의 친구들과의 화합과 소통하는 자리로 진행되었다.

이날 정오부터 코트 별관 옥외 공간에서 진행된 '4.3의 정원'은 서울 강서구 마곡중 재학생 및 졸업생, 강서연합(대학생), 이프리라이프, 4.3 청년 유족회 등이 진행하는 4.3 관련 부스 등을 운영하며 4.3에 관심을 갖는 일반 시민들과의 자연스러운 만남의 장이 마련되었다.
 
‘혼디가게4380’에 참여한 시민들
▲ 시민들 ‘혼디가게4380’에 참여한 시민들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이날 오후 2시부터 이야기 콘서트 '혼디가게 4380'이 유족과 청년, 시민들과 함께 열렸다. 이야기 손님으로는, 4.3의 전국화의 일환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4.3평화인권교육을 기획한 홍일심 제주도교육청 장학사가 줌으로 초대되었고, 4.3평화인권교육에 강사로 활동 중인 양경인 작가, 김학규 동작역사문화연구소 소장, 변경혜 전 뉴제주일보 기자, 서지혜 서울시립대 재학생이 각각 출연했다.

이야기 콘서트는 문원섭 제주4.3범국민위원회 문예위원장의 사회로 시작되었는데, 행사에 앞서 10. 29일 이태원 참사에서 희생당한 희생자들과 4.3 희생자들을 위한 묵념의 시간을 갖고 행사가 시작되었다. 이날 이야기 콘서트에 줌으로 초대된 홍일심 장학사는 원래는 비행기 타고 서울까지 와서 진행하려고 했는데, 이날이 어머님 기일이라 못 올라오고 부득이 줌으로 참여하게 됐다고 했다.
  
 ‘혼디가게4380’ 이야기콘서트
▲ 이야기 콘서트  ‘혼디가게4380’ 이야기콘서트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맨먼저 이야기 콘서트에서 제기된 질문은 "4.3 평화인권교육을 어떻게 시작했는가"였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홍일심 장학사는 "4.3의 전국화 고민은 2018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래서 맨처음 시작한 것이 전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를 해보자고 해서 연수를 했고, 매해 1000명씩 연수를 하여 2019년까지 2000명이 연수를 받았다. 그후 코로나 19로 인해 약 3년간 연수를 못했고 그 과정에서 양질의 교육을 원하게 되어서 4.3 평화인권교육을 기획하게 되었고, (사)제주4‧3범국민위원회의 박진우 집행위원장님과 문원섭 문예위원장님이 많은 도움을 주셔서 시작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제주도에서 하는 4.3 평화인권교육과 육지에서 하는 교육의 차이는?'이라는 질문에 홍일심 장학사는 "4.3 평화인권교육의 역사가 길지 않다. 처음에는 교장선생의 일종의 검열도 있었고 방해가 많았다. 그러다가 2014년 이석문 교육감의 취임 이후에 4.3 평화인권교육이 활성화되었다. 4.3유족들 중에 45명이 명예교사로 참여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작년부터는 4.3에 대한 전문 해설사를 양성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현재는 학생들이 4.3동아리도 있고 4.3관련 영화만들기, 그림그리기, 노래공연도 진행하며 역사교과서와 리플렛을 만들어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드리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4.16 세월호 참사,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연계한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라는 질문에 대해 홍일심 장학사는 "그제께(11.3) 광주 아이들이 제주도 교육청을 방문하여 '5.18민주화운동과 함께하는 4‧3 평화·인권교육 현장체험'을 실시했다. 뿐만 아니라 4.16 세월호 참사, 여순항쟁과 연계한 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교육청끼리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4·3과 노근리사건을 잇는 평화·인권교육, 역사교육 등을 공유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독일의 홀로코스트 등과 연대하여 4·3 평화·인권교육 세계화를 지향하여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다음으로 진행된 이야기 손님들과의 이야기 콘서트에서 양경인 작가(4.3 유족청년회 자문위원)는 "2018년 제물포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4.3에 관한 첫 강의를 했는데, 그동안 4.3 평화인권교육을 모두 숨어서 하다가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강의를 해서 무척 감정이 고양됐었다. 그당시 상황에서 경찰은 왜 그랬나, 미국은 뭘했나 등에 대해 고민하고 공유하는 시간이었다"고 했다.

이어서 김학규 동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은 "지역주민운동 차원에서 활동을 시작했는데, 동작구에서 4.3과 관련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고민하다가 현충원에 가서 4.3 관련 인물들로 김익렬, 박진경 등이 현충원에 묻혀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4.3길을 만들어서 서울에서 4.3에 대해 알릴수 있는 방법 찾았다. 이어서 4.3 범국민위원회 관계자들을 만나서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4.3의 역사적 진실을 정확히 알리는게 중요하다. 미국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이승만 정권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고민하고 교육하는 평화인권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다음으로 변경혜 전 뉴제주일보 서울주재 기자는, "작년부터 4.3 평화인권교육 활동을 같이 했다. 교육을 하면서 '왜 4.3이 일어났나?' '왜 연좌제가 실시되었나' 등에 대해 고민하고 나누었는데, 2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에 4.3 이야기를 다 하기는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한 집안의 얘기만 해도 하루종일해도 부족한데 4.3 이야기를 어떻게 다 할 수 있겠는가. 4.3은 가만히 있었는데 희생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왜 4.3이 일어났는지 이해를 하는 게 중요하다. 유가족들은 너무 억울하고 가슴에 맺힌게 많아서 눈물이나고 쌓인게 많은데, '그들은 왜 죽였나?' '그들은 뭘 요구했나?'에 대해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4.3 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도민들의 힘이 많이 쌓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조금 부족하고 앞으로 해야할 일이 많지만, 유족들 모두 건강하고 튼튼해야 한다. 안되면 '왜 안되냐'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마곡중 출신 대학 1학년 서지혜 학생이 강사로서 경험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는 대원외고에서 강의를 했는데, 강의하면서 "내가 왜 4.3을 배워야 하지?"라고 질문했고 교육하면서 "우리가 왜 4.3을 공부하는지, 왜 4.3을 가르치는지에 대해 말했다. 결국 '인권과 평화'라는 대 가치를 존중하고 당연한 것도 생명을 존중하는 법을 몰랐다. 마곡중학교에서 순이삼춘 독후감을 모집하고 토론하면서 관심 가지게 되었다. 뭔가 가치있는 일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하여 시작했다"고 했다. 
 
 ‘혼디가게4380’ 이야기콘서트 출연진들
▲ 출연진  ‘혼디가게4380’ 이야기콘서트 출연진들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이어서 문원섭 위원장은 홍일심 장학사에게 "장학사님이 보시기에 4.3 전국화의 교육방향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는가"라고 물었다. 홍일심 장학사는 "온라인 컨텐츠를 만들고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 주관적 교육이 아닌 객관적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법, 마곡중 졸업 선배들이 동아리 만들었다는데, 이와 연계된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 고민 중에 있다. 일회성 교육이 아닌 다회로, 주기별로 해도 좋을 듯하다. 교육받은 아이들과 연대해서 토론회 등 활동을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라고 했다.

이날 이야기 콘서트를 마무리하면서 이야기 초대손님 각자 한 가지씩 제안하도록 했는데, 김학규 동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은 "일회성 교육에 한계가 있다.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발표회 또는 전시회를 확대하여 축적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

변경혜 전 뉴제주일보 기자는 "4.3을 접할 수 없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등 각 지역의 강사들과 연대사업을 하면서 알려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양경인 작가는 "1회성 교육이라도 어떻게 활용하는가가 중요하다. 창의적 프로그램을 가지고 구체적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구·부산 등에서도 강의를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서지혜 학생은 "교육의 콘텐츠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 국어시간에 동백꽃의 의미를 가르치고 미숳시간에 4.3관련 그림그리기를 하고, 음악시간에 4.3 추모노래 배우기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이나 SNS를 통한 4.3 교육의 확산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이야기 콘서트 참가자들은 모두 이구동성으로 "이제는 제주 4·3의 전국화를 넘어 세계화, 일반화로 가야 할 때"라고 의견들을 모았다.
 
제주도청 관계자와 4.3 유족들간의 상담
▲ 도청 유족상담 제주도청 관계자와 4.3 유족들간의 상담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한편 이날 행사와 병행하여 코트 1층에서는 다과회 및 간담회 성격의 '음식이 있는 오후'를 통해 유족과 청년, 시민들의 만남이 마련됐고, 제주도청 4.3 지원과 담당 공무원이 별도로 4.3 유족들과 상담회를 갖는 자리도 마련했다.

이날 마지막 프로그램으로는 서울 양서중학교 전종옥 교장 및 마곡중 졸업생들이 참여하는 '<순이삼촌> 모의재판'이 진행되었고, 노래 손님으로 과거 제주 강종을 노래했던 여성 아티스트 '솔가'가 함께했다.
 
‘순이삼촌’ 모이재판에 참여한 시민들
▲ 모이재판 ‘순이삼촌’ 모이재판에 참여한 시민들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이번 '혼디가게 4380' 콘서트를 준비한 백경진 제주4.3범국민위원회 상임이사는 "청년학생들이 4.3의 미래라는 주제로 높은 호응 속에 올 한해 찾아 가는 4.3평화인권교육을 진행했다"며 "각 학교 교사는 물론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는 한편 4.3평화인권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확인하는 한 해였다고 자부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한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준비한 이번 이야기 콘서트는 실제 전국 4.3교육을 기획한 당사자와 4.3 평화교육에 참여한 강사들, 또 교육의 대상이자 4.3 알리기에 동참 중인 청년학생들이 참여해 4.3의 미래를 고민하고 소통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4.3 유족은 물론 청년학생 및 일반 시민들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많이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덧붙이는 글 | <시민포커스>에도 같은 내용으로 송고할 예정입니다.


태그:#혼디가게, #4389, #제주4·3, #전국화, #세계화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는 철도청 및 국가철도공단, UNESCAP 등에서 약 34년 공직생활을 하면서 틈틈히 시간 나는대로 제 주변에 대한 이야기를 글로 써온 고창남이라 힙니다. 2022년 12월 정년퇴직후 시간이 남게 되니까 좀더 글 쓸 수 있는 시간이 되어 좀더 열심히 하려고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