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무예24기 시범공연의 첫 장을 여는 동개궁 쏘기 시범입니다. 동개궁은 기병이 사용하던 활로 일반적인 활보다 크기가 작고 화살의 깃이 큰 대우전 방식의 활쏘기입니다. 과녁을 향해 힘차게 날아가는 화살 소리가 매력적입니다.
ⓒ 이진욱
조선의 무혼이 살아 숨쉬는 '무예24기' 시연이 오는 12월까지 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수원 화성행궁에서 펼쳐진다. 평일에는 오후 2시부터 그리고 일요일에는 오후 3시에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그 힘찬 조선 정통무예를 만날 수 있다.

무예24기는 조선 정조 때에 완간 된 무예도보통지(1790)에 실린 24가지 기예를 말하며, 조선조 무과시취(武科試取)의 과목으로 구한말 구식군대가 해체될 때까지 조선의 관군들이 익혔던 군사무예다.

▲ 무예24기 중 기창시범입니다. 작은 깃발이 달린 창으로 적을 깃발로 현혹하고 단호히 찌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갑옷 입은 당찬 조선무사의 기백이 넘쳐 흐릅니다.
ⓒ 이진욱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 무예도보통지가 만들어진 1790년 4월 29일에 정조는 이 책의 편찬을 극찬하며 편찬 작업을 했던 규장각의 이덕무, 박제가 그리고 무예실기를 담당한 장용영 초관 백동수 등에게 노고를 치하하고 상을 내렸다. 이는 정조가 당시 무예도보통지를 얼마나 귀한 책이고 이것이 조선의 군사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책인지를 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 편곤 교전 시범입니다. 편곤은 일종의 쇠도리께로 상대의 무기를 감아서 공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성안에서 성벽에 붙은 적을 공격하기에 좋은 무기입니다.
ⓒ 이진욱
무예도보통지에서 무예(武藝)는 도(刀)·검(劍), 창(槍)·곤(棍), 권법(拳法) 등 병장기와 맨손 무예를 통칭한다. 도보(圖譜)는 어떠한 사물을 그림과 해설을 통하여 설명함으로써 계통을 세워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지(通志)란 모든 것을 총망라한 종합서임을 뜻한다. 책명만 보아도 무예 기예를 그림을 통하여 설명한 종합서임을 알 수 있다.

▲ 쌍검베기 시범으로 두 손에 한 자루씩 칼을 쥐고 짚단을 베는 시범입니다. 쌍검은 좁은 공간에서나 난전에서 효과적인 무예입니다. 빠르면서도 날카로운 쌍검을 보고 싶다면 지금 바로 화성행궁으로 오세요.
ⓒ 이진욱
정조는 문으로는 규장각을, 무로는 장용영을 건설하여 문무를 아우르는 강력한 군주 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다. 특히 장용영은 정조 시대 국왕직속의 친위부대 명칭이다. 장용영은 근위체제의 강화를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나중에 화성을 건설한 후 직제를 승격시키면서 화성에도 같은 부대를 두어 외영으로 하였다.

▲ 조선세법이라 불렸던 예도 시범입니다. 예도는 중국에까지 조선의 검법으로 널리 알려져 조선의 무예를 세상에 알린 기예입니다. 염시세 자세 중 상대공격을 거짓으로 홀리고 공격하는 자세입니다.
ⓒ 이진욱
여기에는 억울하게 뒤주 속에 갇혀 생을 마감한 생부인 사도세자에 대한 위신회복이라는 특별한 목적도 있다. 무예사적으로 볼 때 사도세자의 명으로 만든 무예신보(혹은 무기신식)의 18가지 기예를 근간으로 하여 정조대에 무예24기가 정착되어 무예도보통지에 실리게 되었다. 바로 이곳 화성과 화성행궁을 숙위하던 장용영의 군사들이 익힌 무예가 바로 조선의 국기(國技) 무예24기인 것이다.

▲ 삼국지의 관운장이 사용하였던 월도시범입니다. 그 크기와 무게가 대단한 만큼 시범 또한 위력적인 모습입니다.
ⓒ 이진욱
앞서 설명한 장용영에 대해 좀 더 깊이 살펴보자. 정조는 즉위후 자신의 신변보호를 위해 숙위소를 설치하였으나 잇따른 암살문제로 인하여 이를 폐지하고 장용위를 설치하였다. 장용위는 전적으로 국왕호위 전담 부대였고, 1789년에 장용위를 확대 개편하여 장용영을 설치하였던 것이다.

▲ 무기술을 배우기 이전에 수련하였던 맨손무예 권법 시범입니다. 권법은 신체를 단련하고 담력을 키우는 데 매우 효과적인 기예로 두 사람이 서로 공방을 펼치는 교전으로 마지막을 장식합니다.
ⓒ 이진욱
장용영에는 내외영을 두어 내영은 근위체제의 강화를 목적으로 도성에 두고, 외영은 1789년에 이전을 마친 수원부에 두고 아버지 사도세자가 누워 계신 현륭원을 지킨다는 것을 명분으로 삼았다. 수원부가 정식으로 화성으로 개칭되고 유수가 정2품으로 승격되면서 유수는 장용영 외영의 책임관을 겸하게 되어 군사지휘권까지 가진 막강한 권한을 지니게 된다.

▲ 기창 찌르기 시범입니다. 공연의 마지막 부분에 단체 짚단 베기를 하고 바로 이어 기창수들이 일렬 횡대로 돌격하여 적을 사살하는 시범입니다. 실제로 날카롭게 날이 선 기창이기에 관람객들의 등이 오싹할 정도입니다.
ⓒ 이진욱
이처럼 사도세자의 한이 서리고, 정조대왕의 무(武)에 대한 열정이 스민, 조선의 국기 '무예24기' 시연을 보러 화성행궁으로 가는 건 어떨지.

▲ 곤방 교전 중 마지막에 상대를 쓰러뜨리는 장면입니다. 곤방의 기예는 무기술 중에 으뜸으로 상대의 무기나 신체를 두드려 치는 기법이 인상적입니다.
ⓒ 이진욱

▲ 등패와 기창이 짝을 이뤄 곤방을 공격하는 장면입니다. 등패는 상대방의 무기를 등패로 밀치고, 깊숙이 파고들어 적을 사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은 낭선이라는 무기와 함께 사용되는데 공연에서는 기창과 짝을 이뤘습니다.
ⓒ 이진욱

덧붙이는 글 | 화성행궁은 수원 남문과 북문 사이 종로사거리 윗편에 있으며, 무예24기 정기시범은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시범이 진행됩니다(평일 오후2시, 일요일 오후 3시).

사진촬영을 해주신 '이진욱'님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최형국 기자는 무예24기보존회 마상무예단 '선기대'의 단장이며, 수원 무예24기 조선검 전수관장입니다. 몸철학과 무예사를 공부하며 홈페이지는 http://muye.ce.ro 입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무예의 역사와 몸철학을 연구하는 초보 인문학자입니다. 중앙대에서 역사학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경기대 역사학과에서 Post-doctor 연구원 생활을 했습니다. 현재는 한국전통무예연구소(http://muye24ki.com)라는 작은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